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000647
한자 民俗
영어의미역 Folklore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개관)
지역 충청남도 논산시
집필자 민정희

[정의]

충청남도 논산 지역에서 전승되고 있는 민간의 생활 풍습.

[개설]

민속은 한 문화권 내에서 다수가 향유하고 있는 전통적이고 보편적인 문화로 민중들이 자연적·역사적·사회적 환경에 대처하고 적응하는 지혜와 믿음으로 엮어낸 생활양식이다. 또 각 절기에 따른 생활 풍습과 생산 관계가 반영되어 있다. 이는 민속 문화의 창작자와 수요자 자체가 생산자 농민이거나 어민·수공업자·상인들이었던 탓이다. 민의 일상생활과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는 민속은 평생의례, 민간신앙, 세시풍습, 생산풍습, 의·식·주 생활 풍습, 사회풍습, 예술, 놀이, 전설, 민간의료 등으로 그 범주가 다양하다. 논산은 오랫동안 농사를 주업으로 생활해 온 고장으로 농경 문화와 관련한 고유한 민속들이 많이 전해져 오고 있다.

[민간신앙]

논산 지역의 마을신앙은 여타 충청남도 지방과 마찬가지로 이중구조를 지니고 있다. 마을 뒷산이나 인근의 산에 상당신인 산신을 모시고, 마을 입구에는 장승이나 여러 수구맥이를 비롯한 하당신을 모신다. 물론 이러한 이중구조에서 다소 벗어나 상당만 위하는 경우도 있고, 하당이 주신(主神)으로 기능하는 사례도 있지만 전체적으로 보아 이중구조를 이룬다.

특히 산신제는 매우 보편적이며 우세하게 나타난다. 하당제로서 가장 중요한 장승제가 전승되고 있으며, 논산 지역의 많은 마을에서는 둥구나무를 신목(神木)으로 여겨 역시 중요한 하당신으로 모신다.

논산 지역에서는 각 지역에 따라 약간의 편차는 있지만, 한국의 다른 지방과 거의 마찬가지로 안방이나 마루에는 성주·조상·삼신을, 부엌에는 조왕을, 장광에는 터주와 칠성신을 위했다. 매년 정초나 시월상달에 가정의 평안을 위해서 집안의 여러 신령을 모신다.

한편 집안이 다소 불안해지겠다 싶으면 정초에 서낭제나 거리제를 지낸다. 또한 가내의 평안을 위해 깨끗한 물이 있는 장소를 정하여 용왕제를 지낸다. 이외에도 집밖을 다녀온 후나 나무·돌·흙을 취급한 후에 원인도 모르게 갑자기 아프면 해물리기, 잔밥먹이기, 동토잡기 등을 하였다.

마을 공동으로 산제와 거리제를 지낼 때에는 풍물패들이 지신밟기를 하였다. 산신제를 마치면 집집마다 산신의 가호를 집안으로 유치하기 위해 마짐시루를 올리기도 한다. 이러한 가정신앙은 산업화·도시화의 물결 속에 1970년대를 고비로 급속하게 쇠퇴·소멸해갔다.

[세시풍속]

논산 지역은 설 풍속과 관련하여 전라북도와 인접한 지역인 양촌면을 중심으로 조상차례에 앞서 집안의 여러 신령인 당산 혹은 성주, 삼신께 제물을 올린다. 반면 광석면, 상월면 등지에서는 설 차례에 앞서 집안 신령을 위하는 사례가 거의 보이지 않는다. 두레 김매기와 관련하여 7월 칠석에는 술멕이, 백중에는 두레먹기 등의 의례가 나타난다. 두레가 중단된 지금도 칠석의 술멕이기가 광범위하게 나타난다. 한편 광석면, 상월면, 연산면 등지의 벼농사 집중 지역에서는 ‘지와바지’, ‘연산백중놀이’(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14호)’ 등의 다양한 놀이문화가 발달하였다.

전라북도 일부와 경상남도, 경상북도, 강원도 등지에서 나타나는 이월할머니(영등할머니)가 전혀 나타나지 않는 점도 주목된다. 아울러 다른 지역에서는 정월 보름에 액막이로 베풀어지던 낙화놀이를 논산 지역에서는 부처님 탄신을 축하하기 위해 사월 초파일에 행했음이 확인된다.

[구비문학]

논산은 역사의 변혁기에 중심에 있던 지역이다. 예전에 백제 지역으로 황산벌 전투가 있었고, 고려 태조 왕건후백제를 무너뜨린 격전지이며, 조선태조 이성계가 도읍을 옮기려 했던 곳이기도 하다. 따라서 계백장군, 왕건, 이성계를 비롯한 장군 또는 장수에 대한 전설이 많이 전하고 있다. 아울러 기호예학의 요람이었던 까닭에 사계 김장생 등의 명현과 관련된 이야기도 전해 내려오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