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002653 |
---|---|
한자 | 加平李氏墓域 |
영어의미역 | Graves Area of Gapyeong Yi Clan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능묘 |
지역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청동리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정현정 |
성격 | 묘역 |
---|---|
건립시기/일시 | 조선 전기~조선 중기 |
관련인물 | 이다림|이형손|이철근|이장생|우씨부인|최씨부인|이씨부인 |
소재지 주소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청동리
![]()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청동리에 있는 조선 전기에서 조선 중기까지의 가평이씨 묘역.
가평이씨 집안은 고려시대에 판도판서(版圖判書)를 지낸 이춘계(李椿桂)의 손자 이다림(李多林, 1394~1468)이 송리의 딸과 혼인하면서, 연산면 화악리에 세거하던 여산송씨의 사회적·경제적 기반을 바탕으로 화악리와 가까운 청동리에 세거의 계기를 마련하였다. 이다림의 아들인 이형손(李亨孫, 1418~1496)은 세조의 즉위를 도운 공로로 원종공신(原從功臣) 2등에 녹훈되고, 1467년(세조 13) 연산군(連山君)에 봉해졌다가 곧이어 가평군(嘉平君)으로 고쳐 봉해졌다.
연산중학교 앞을 지나는 국도 1호선을 따라 동쪽으로 350m 가면 신도로와 만난다. 이곳에 남에서 북으로 뻗은 능선의 북서쪽에 이형손의 묘가 있으며, 이형손의 묘 바로 위쪽에 이형손의 아버지 이다림의 것으로 추정되는 묘가 있다. 또한 이형손과 이다림의 묘역 서쪽에 남쪽 골짜기로 들어가는 소로가 있는데, 이 길로 250m 정도 들어가면 구릉의 북서쪽 비탈면에 이형손의 손자인 이장생(李長生)의 묘가 있다. 이장생의 묘 남서쪽에 이형손의 아들인 이철근(李鐵根)의 묘가 있다.
이다림과 이형손의 묘는 쌍분이며 묘역에는 묘비, 상석, 문인석, 묘갈 등이 조성되어 있다. 이철근의 묘 전면에는 묘비가 세워져 있으며, 이장생의 묘역에는 문인석과 묘비 등이 조성되어 있다.
이다림의 묘비 2기에는 각각 ‘현감가평이공지묘’, ‘선인조씨지묘’라고 음각되어 있다. 이형손의 묘비에는 ‘정충출기적개공신가선대부동지중추부사겸오위도총부부총관함길도도진무사가평군평호공지묘정부인단양우씨지묘(精忠出氣敵愾功臣嘉善大夫同知中樞府事兼五衛都摠府副摠管咸吉道都鎭撫使嘉平君平胡公之墓貞夫人丹陽禹氏之墓)’라고 새겨져 있다.
이철근의 묘비에는 ‘증가선대부이조참판겸동지의금부사이공지묘정부인전주부최씨지묘(贈嘉善大夫吏曹參判兼同知義禁府事李公之墓貞夫人全州府崔氏之墓)’라고 새겨져 있다. 이장생의 묘비에는 ‘가선대부병조참판가원군이공지묘정부인전의이씨지묘(嘉善大夫兵曹參判嘉原君李公之墓貞夫人全義李氏之墓)’라고 새겨져 있다.
이다림의 묘역으로 추정되는 곳의 묘비는 심하게 훼손되어 내용을 판독하기 어려우며, 이형손의 호패형 묘비도 매우 심하게 훼손된 상태이다.
이형손이 연산군이라 봉해졌다는 사실은 이형손의 집안이 연산에서 세거하였다는 사실을 보여 주는 자료이다. 또한 처음 여산송씨의 토착적 기반은 혼맥으로 연결된 타성에게 나뉘어져 새로운 이거 성씨 정착의 근거를 제공하여 지금까지도 이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여타의 다른 성씨들이 연산의 대표적인 가문인 광산김씨와 학맥 또는 혼맥으로 연결되어 광산김씨를 중심으로 세력을 키워 나가며 연대하는 경향을 엿볼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이다림의 묘는 흔히 볼 수 없는 형태로 규모가 크며 조선 초기의 봉분 축조 형태를 보여 주는 좋은 사례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