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000338
한자 舊邑聚落
영어의미역 Old Town Settlement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충청남도 논산시
시대 조선/조선
집필자 성희제

[정의]

조선시대 충청남도 논산 지역에서 조선시대 지방 행정기관의 소재지로 형성되었던 취락.

[개설]

구읍취락(舊邑聚落)은 조선시대 중앙에서 파견된 수령이 주재하던 부·목·군·현 등 지방 행정기관의 소재지인 읍취락 중 여러 가지 원인에 의해 소재하던 행정기관이 폐쇄 혹은 이전됨에 따라 행정적 기능을 상실한 취락을 의미한다. 현재 논산시의 구읍취락은 은진면(조선시대 은진현)의 연서리, 연산면(조선시대 연산현)의 연산리, 노성면(조선시대 니산현)의 읍내리 등인데, 이들은 조선시대 읍치(邑治, 고을)의 중심지였다.

[구성]

일반적으로 조선시대의 읍취락은 행정·경제·군사·교육·종교 등의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시설들이 들어서 있어서 일반 촌락과는 다른 경관 및 구조를 가지고 있었다. 우선 가장 중요한 시설로는 행정 기능을 수행하는 관아가 있었는데, 관아는 몇 개의 건물로 나눠진다.

수령이 공무를 집행하고 기거하는 동헌(東軒), 향리들이 행정 사무를 보는 이청(吏廳), 중앙에서 내려오는 관리들을 위한 객사(客舍), 재지사족 세력의 자문기관인 향청(鄕廳), 죄인을 다스리는 옥사(獄舍) 등이 그것이다. 그 밖에 지방 경제의 중심이 되는 장시(場市), 군사 시설인 군기고·군량고, 교육기관인 향교, 종교적 기능을 수행한 성황단·사직단·여단(厲壇: 돌림병의 퇴치를 기원하는 제사를 지내는 제단) 등이 있었다.

조선시대 읍취락을 구성하는 이러한 시설들은 일정한 규칙에 따라 배치되었는데, 먼저 진산[鎭山: 나라나 수도 또는 각 고을이 진호(鎭護)하는 주산(主山)으로 정하여 제사하던 산]을 정하고 관아를 배치하였다. 관아의 위치는 자연 조건에 따라 다소 다르지만 진산 기슭의 가장 생기가 넘치는 곳에 관아를 배치하였다.

또한 조선시대 읍치는 성곽의 유무에 따라 성곽 읍치와 비성곽 읍치로 구분할 수 있다. 논산 지역에 있던 은진현·연산현·니산현(노성현) 또한 조선시대의 이러한 일반적인 경향에 따라 진산을 정하고 그 아래 관아를 배치하였는데, 이 세 읍취락은 관아 주변에 성곽이 없는 비성곽 읍치였다.

18세기에 제작된 「해동지도(海東地圖)」를 보면 은진현의 경우 진산 아래 아사(衙舍, 관아)를 두고 그 아래쪽에 객사, 진산 넘어 위쪽에 향교, 아사 아래쪽 하천 너머에 창고인 강창(江倉)을 배치하였다. 연산현의 경우 진산 아래쪽에 아사를 두고, 그 좌측에 객사, 좌측 하천 너머에 향교를 두었다.

니산현은 주변을 둘러싸고 있는 진산 아래 아사를 두고, 그 오른쪽 아래 객사를, 좌측 한참 아래쪽 강변에 해창(海倉)이라는 창고를 두었다. 이러한 읍치락을 중심으로 하여 면 단위 마을이 산재해 있었다. 당시 은진현은 14개면 4,568호, 연산현은 8개면 3,147호, 니산현은 11개면 2,444호를 관할하였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