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남도 논산시 광석면 항월리에서 원풍산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994년에 논산문화원에서 출간한 『논산의 민속』에 수록되어 있다. 조선시대 때의 일이다. 충청남도 논산시 광석면 일대에 오랫동안 가뭄이 들어 논밭의 곡식이 타들어가고 논바닥은 거북등처럼 갈라졌다. 농민들은 하늘만 쳐다보고 발만 동동 구르며 애를 태우고 있었다. 설상가상으로 민심도 흉흉해져 좀도둑이 극성을...
-
충청남도 논산시 은진면 교촌1리 망북동에서 매년 음력 정월 14일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하여 지내는 마을 제사. 교촌리 망북동 서낭제는 예부터 지내왔는데, 산제를 겸하여 여성들이 주관하는 것이 특징이다. 1970년대 이후 한동안 서낭제가 중단된 적이 있는데 그 뒤로 마을에서 불상사가 자주 발생하여 다시 제를 모시게 되었다. 제일(祭日)은 해마다 음력 정월 14일로 고정되...
-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교촌리에서 매년 음력 정월 14일 농사의 풍년과 마을의 안녕, 그리고 돌림병을 예방하기 위해 장승에게 지내던 마을 제사. 교촌리 장승은 사람의 출입이 빈번한 주막거리 근처의 장승배기와 노성면 내리와의 경계 지점에 한 쌍의 부부 장승으로 세워져 있었다. 예전에는 이곳이 전라도에서 서울로 올라가는 큰길이었다. 마을에서는 주막거리에 위치한 장승을 ‘윗장승’, 그...
-
충청남도 논산 지역에서 가뭄이 들었을 때 비가 내리기를 기원하며 올리는 의례. 기우제는 농경사회의 한 풍습으로 비가 오지 않을 때 주민의 집단행사로서 마을 단위로 지내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규모가 큰 경우에는 면 단위 또는 군 차원에서 기우제를 거행하기도 한다. 예전에 기우제장으로 주로 활용되었던 곳은 용(龍)이 깃들어 있는 산천을 비롯하여 민간에서 신성시되는 우물·바위·못·저수지...
-
충청남도 논산 지역에서 부녀자들이 부르는 작업요. 논산 지역의 민요는 대체로 노동요, 의식요, 내방요, 놀이요, 동요 등으로 구분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내방요는 옛 부녀자들이 방 안에서 작업을 하면서 부르는 노래로서 규방요(閨房謠) 또는 규중요(閨中謠)라고도 한다. 내방요는 한 평생을 엄격한 시집살이와 속박된 생활 속에서 지내며 억제된 감정을 승화시킨 노래이다. 특히 시어머니와...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송정1리에서 음력 2월 초하루에 노래기를 없애려고 행하던 세시풍속. 옛날 농촌의 가옥은 짚으로 지붕을 덮은 초가집이었기 때문에 짚 안에 노래기가 알을 까고 번식을 하는 경우가 많았다. 노래기는 본래 냄새가 지독한 벌레이다. 마을에는 이를 예방하기 위한 ‘노래기 바늘주기’라는 속신이 전해져 왔다. 이러한 풍속은 논산 지역을 비롯하여 전국적으로 나타나고 있다....
-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하도리에서 두레로 김을 매거나 두레먹이 할 때 행해지던 풍물놀이. 노성두레풍장의 연원은 분명치 않다. 다만 두레의 김매기가 조선 후기 이앙법의 확산과 긴밀한 관련이 있음을 상기할 때 18세기 이후의 산물로 추정될 뿐이다. 이러한 두레풍장의 전통은 6·25전쟁을 전후로 두레가 사실상 소멸되면서 중단되었다. 그러다가 1980년대 노성두레풍장전승보존회가 결성되어...
-
충청남도 논산 지역에서 음력 5월 5일에 지내던 명절. 단오는 음력 5월 5일로서, 수리 혹은 수릿날이라고도 부르고, 또는 천중절(天中節)이라고도 부른다. 단오는 초오(初五)의 뜻으로 5월의 첫째 말날[午日]을 가리킨다. 이 날은 해가 가장 또렷할 뿐만 아니라 정오 때가 되면 하늘 한가운데 온다 하여 생긴 말이기도 하다. 과거에는 풍년을 기원하는 제사일이기도 하였으나 근래에 와서는...
-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대명1리에서 매년 음력 10월 초이튿날 지내는 마을 제사. 대명리 산신제는 계룡산신으로 치성을 받는 산신할머니에게 마을의 안녕과 농사의 풍년을 기원하는 의례이나 언제부터 지내 왔는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거리제는 마을에 전염병을 예방할 목적으로 지냈으나 약 35년 전에 중단되었다. 거리제는 개인 신앙으로 많이 지내오기도 했고, 부락의 수호신으로서 부락제로도...
-
충청남도 논산시 벌곡면 도산2리에서 매년 음력 정월 14일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지내던 마을 제사. 도산2리 산신제와 장승제는 예부터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기 위해 해마다 빠짐없이 지내왔으나 기독교의 영향으로 30여 년 전에 중단되었다. 산제당은 도산2리 마을 뒤편에 있으며, 마을 입구에 서 있는 돌장승을 신체로 하였다. 도산2리 산제와 장승제의 절차는 제관을 선정하는...
-
충청남도 논산 지역에서 전해 내려오는 어린아이들의 노래. 동요는 원시시대 미분화 예술로까지 소급될 수 있으며, 민요라는 큰 줄기 속에 자리 잡아온 전승동요가 그 첫 모습이었다. 동요는 언제 누가 지었는지 모르는 채 입에서 입으로 전해 내려오는 전승동요(傳承童謠)와 어른이 어린이들을 위하여 만든 창작동요로 구분된다. 전승동요는 민요·설화·속담 등과 더불어 구비문학에 속하며 내용도 자...
-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마산리에서 매년 음력 정월 14일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하여 지내는 마을 제사. 마산리는 약 300여 년 전에 형성된 마을이다. 유래를 정확히 알 수 없으나 옛날부터 마산2리와 마산4리가 해마다 번갈아가면서 산제와 장승제를 지내왔다. 산제당은 마산초등학교 뒷산에 콘크리트 제단과 우물이 있다. 예전에는 신목으로 치성을 받는 소나무가 있었는데 말라 죽...
-
충청남도 논산시의 현대 문화 예술 전반과 예술 문화 단체들의 활동 현황. 논산 지역 문화·예술의 양대 산맥은 논산문화원과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논산지회라 할 수 있다. 처음 논산에서 현대 문화·예술 활동이 시작되어 걸음마 단계에 있던 1950년대부터 1980년대 정도까지는 논산문화원에서 향토전통문화 발굴, 축제행사, 문학, 미술, 음악, 영화, 서예, 농악 등 거의 모든 문화·예...
-
충청남도 논산 지역에서 전승되고 있는 민간의 생활 풍습. 민속은 한 문화권 내에서 다수가 향유하고 있는 전통적이고 보편적인 문화로 민중들이 자연적·역사적·사회적 환경에 대처하고 적응하는 지혜와 믿음으로 엮어낸 생활양식이다. 또 각 절기에 따른 생활 풍습과 생산 관계가 반영되어 있다. 이는 민속 문화의 창작자와 수요자 자체가 생산자 농민이거나 어민·수공업자·상인들이었던 탓이다. 민의...
-
충청남도 논산시 부적면 반송리 구정마을에서 매년 음력 정월 14일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지내는 마을 제사. 논산시 부적면 반송리 구정마을은 옛날에 아홉 개의 우물이 있어서 구정(九井), 또는 거북정이란 정자에서 구정(龜亭)이란 지명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현재는 우물이 하나밖에 남아 있지 않은데, 마을에서는 우물을 신성시하여 샘고사를 지낸다. 이 샘고사는 물을 주관하는...
-
충청남도 논산시 은진면 방축4리에 있는 돌기둥. 방축리 선돌은 은진면 방축4리 토끼재마을 남쪽 들녘 기슭에 위치한다. 토끼재마을은 동서 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야산 구릉지의 남쪽 비탈면에 위치한 마을로 남쪽 전방에 방축들과 방축천이 자리하고 있다. 마을 입구에 장방형(長方形)의 선돌 2기가 동서에서 서로 마주보는 형태로 세워져 있다. 선돌의 규모는 하나는 높이 140㎝, 너비 30~...
-
충청남도 논산시 은진면 방축4리 토끼재에서 주민들이 신성시하는 선돌에 올리던 마을 제사. 방축리 토끼재 선돌은 일설에 백제와 신라의 경계 표시로 세워졌다고 하나 전혀 확인할 길이 없고, 입지로 미루어 보아 애당초 마을의 허한 방위를 비보(裨補)하기 위한 풍수상의 목적으로 건립된 것으로 추정된다. 토끼재 선돌은 은진면 방축4리 마을 남쪽 기슭에 위치한다. 예전에는 일정한 간격을 두고...
-
충청남도 논산 지역에서 음력 7월 보름에 행하는 세시풍속. 음력 7월 15일을 말하는 백중은 원래 백종(百種)이라고 했다. 중원(中元) 혹은 망혼일(亡魂日)이라는 다른 이름도 있다. 백종은 이 무렵 과실과 소채(蔬菜)가 많이 나와 옛날에는 100가지 곡식의 씨앗을 갖추어 놓았다는 데서 유래되었다. 백중의 유래는 도가와 불교에서 찾을 수 있다. 중원(中元)은 도가(道家)에서 말하는...
-
현재까지 백중놀이가 열리고 있는 지역은 김해와 서울, 연산 지역이 전부이다. 그 중에서도 연산의 백중놀이는 효자와 효부에게 상을 주고, 불효자를 응징하며 농사짓는 머슴에게 상을 주어 충·효·근면을 장려하는 민속놀이로 527년의 전통을 지니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연산의 백중놀이가 언제 어떻게 시작되었는지는 논산문화원에서 발행한 『논산의 민속』이라는 책과 연산백중...
-
충청남도 논산시 부적면 부인2리 지밭마을에서 매년 음력 정월 14일 왕건을 도운 무녀를 기려 지내는 마을 제사. 부인 당산제는 왕건을 도와 통일의 위업을 달성하는 데 조력한 무당을 산신으로 신격화한 독특한 사례이다. 이 마을 산제의 역사는 분명치 않지만 『여지도서(輿地圖書)』에 관련 설화가 기록되어 있을 정도로 오랜 전통을 자랑한다. 더욱이 그 의례 및 부인당에 수반되는 엄격한 금...
-
충청남도 논산시 양촌면 양촌리 탑안이마을에서 음력 정월 초3일 낮에 화재를 막기 위해 지내는 의례. 양촌1리 탑안이마을에서는 산신제와 천륭제를 지내기에 앞서 속칭 ‘불맥이(불막이)’를 한다. 이는 화산으로 지목된 앞산 상봉에 간수를 담은 작은 단지를 묻고 불을 놓는 의례를 일컫는다. 이러한 불맥이의 관행은 탑안이마을 외에도 양촌면 신기리·양촌리 등에서 전승되는 독특한 화재막이 의식...
-
충청남도 논산 지역에서 정월 대보름이나 시월 상달에 산신을 모시고 드리는 마을 제사. 산신제는 산악 숭배의 전통을 잇는 대표적인 마을 신앙의 하나이다. 건국신화에 녹아 있는 천신강림(天神降臨)의 우주관이나 고대의 제천의례(祭天儀禮)에서 잘 드러나듯이 산신 신앙은 천신 숭배에 뿌리를 두고 있다. 또한 신라의 삼산오악(三山五嶽)이나 백제의 삼산신앙(三山信仰), 그리고 고구려의 산천제(...
-
충청남도 논산시 양촌면 산직리 승적골에서 매년 음력 정월 14일 수호목 느티나무 앞에서 지내던 마을 제사. 산직리 승적골 목신제는 마을 입구에 있는 수령 300여 년 가량 되는 고목에 대한 동제(洞祭)이다. 본래는 각 가정에서 느티나무에 치성을 드리던 것이 마을의 안녕과 풍년을 기원하는 동제로 승화된 것이다. 산적리 승적골 목신제는 시대의 변화에 따라 더 이상 전승되지 못한 채 중...
-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상도2리 용동에서 매년 음력 정월 14일에 지내던 마을 제사. 상월면 상도2리 용동은 마을의 공동우물에서 살던 용이 승천했다고 해서 유래된 지명인데, 자연마을을 이루는 쇠점과 더불어 산신제와 거리제를 지냈다. 제(祭)의 유래는 확인할 길이 없으나, 촌로들의 말에 따르면 옛날에 마을이 형성되면서 농사의 풍년을 빌고 돌림병을 방지하기 위해 시작된 것이라고 한다....
-
충청남도 논산 지역에서 죽은 사람을 장사 지낼 때 행하는 의례. 상례는 한 인간이 거쳐야 하는 통과 의례 중 마지막 관문이다. 상례는 임종 직전과 직후에 망인을 다루는 초종례부터 시신을 처리하는 염습, 죽은 자를 저승으로 보내는 발인과 매장에 따르는 의례, 상주들이 현실 사회로 복귀하는 매장 후부터 탈상까지의 과정으로 나누어볼 수 있다. 아울러 지금은 소멸되어 기억 속에 남아 있는...
-
충청남도 논산 지역에서 마을을 수호하는 서낭신에게 지내는 제사. 논산 지역에 분포하는 서낭당은 마을과 마을을 연결하는 고갯마루나 동구 밖에 위치한다. 그 형태는 신목으로 치성을 받는 서낭나무 밑에 오랜 세월 길손들이 던져놓은 잡석의 돌무더기가 수북이 쌓여 있다. 이처럼 마을의 경계에 자리한 서낭당은 길을 지나는 행인들이 침을 세 번 뱉고 왼발을 세 번 구른다든지, 소지한 동전이나...
-
충청남도 논산시 은진면 성덕리에서 음력 정월 초3일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하여 지내는 마을 제사. 성덕리 거리제는 마을 어귀나 큰길 등 사람들의 발길이 많은 곳에서 거리신[路神]에게 돌림병이 들지 않고 아무런 사고가 없게 해달라고 치성을 드리는 의례이다. 마을에서는 속칭 거리제 또는 도로제(道路祭)라고 한다. 마을 입구에 신목으로 치성을 받는 플라타너스 1기가 서 있고...
-
충청남도 논산시 은진면 성평1리에서 매년 음력 정월 초사흗날 탑정저수지 둑 아래에서 지내던 마을 제사. 은진면 성평1리에서는 탑정저수지 아래의 ‘성겁보’에서 매년 둑제(마을에서는 ‘뚝제’라고 함)를 지내왔으나 지금은 중단되었다. 이 마을은 탑정저수지 밑에 위치한 마을로 홍수가 날 때마다 물에 대한 공포심을 갖지 않을 수 없었다. 이에 저수지의 둑이 무너지지 않고 마을이 무탈하기를...
-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소룡리에서 매년 정월 대보름날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하여 장승 앞에서 지내는 마을 제사. 소룡리 장승은 나무로 다듬은 목장승이다. 예전의 마을 입구에 2기가 한 쌍으로 건립되어 있다. 덥수룩한 할아버지 모습의 남장승은 천하대장군(天下大將軍)이라 묵서했고, 할머니의 모습으로 표현된 여장승에는 지하여장군(地下女將軍)의 명문이 묵서되어 있다. 특이하게...
-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신화3리 선들마을에 있는 돌기둥. 신화3리 주민들의 말에 따르면, 마을의 역사가 150년 정도 되는데 당시에도 선돌이 있었으며 과거 배가 출입하던 당시 배를 묶어 놓는 돌기둥으로 썼다고 한다. 선돌의 윗부분이 부러졌을 당시 마을 여자들이 정신 이상이 되기도 하는 등 불상사가 자주 발생하여 주민들이 시멘트로 붙였다고 한다. 이후 매년 초파일에 마을 부녀자들이...
-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신화3리 선들마을에서 매년 음력 4월 초파일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하여 지내는 마을 제사. 신화리는 드넓은 논산평야에 위치한 마을로서 일제강점기에는 마을 앞까지 금강 물이 들어왔고 한다. 마을이 형성된 것은 약 150년 전으로 알려져 있다. 당시에도 선돌이 서 있었는데, 일설에는 당시 배가 출입할 때 선돌의 돌기둥에 배를 묶었다고 한다. 그런가 하...
-
충청남도 논산시 부적면 아호1리에서 매년 음력 정월 14일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하여 지내는 마을 제사. 예부터 부적면 아호1리에서는 마을 입구 장승 앞에서 장승제를 지내 왔다. 일제강점기 때 장승이 소실된 이후에도 그 자리에서 매년 장승제를 지내며 시화연풍(時和年豐)을 빌고 마을의 단합을 다지고 있다. 장승은 일제강점기에 일본인들에 의하여 파괴되어 현재는 전하지 않는다...
-
충청남도 논산시 가야곡면 양촌리 가정자마을에서 매년 음력 정월 14일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하여 지내는 마을 제사. 양촌리 가정자 목신제는 가야곡면 양촌리 입구 둥구나무 앞에서 약 70여 년 전부터 부녀자들이 제(祭)를 주관하여 지내 오고 있다. 양촌리의 가정자마을 입구에는 수령이 500여 년으로 추정되는 두 그루의 둥구나무가 있다. 둘레 각 720㎝와 420㎝인 이 고...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청동리에서 매년 백중에 열리는 두레먹이. 연산 백중놀이는 논산시 두마면 왕대리[지금의 계룡시]를 중심으로 하는 열두 두레의 ‘합두레먹이’로 전승되었던 놀이인데, 1989년 연산면 청동리에서 연산 백중놀이로 새롭게 복원되었다. 이 놀이는 두레먹이[호미씻이]의 특징이 잘 녹아 있는 대동놀이이자 지역 축제의 성격을 띤다. 흔히 두레먹이는 자연 마을 단위로 베푸는...
-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북옥리 옥녀봉 정상에 있는 조선시대 암각군. 옥녀봉의 정상에서 내려다본 금강은 가히 절경이라 할 수 있다. 금강이 옥녀봉 앞에서 휘돌아 흘러 넓은 강폭을 이루며, 잔잔한 물가에 물고기들이 노닐며 머무는 곳이기도 하다. 그 때문에 자연 경치를 즐기며 곳곳에 암각을 새겨 놓은 것이라 추측된다. 그리고 암각 해조문은 선박들의 왕래를 돕기 위해 조수가 들어오고 나가...
-
충청남도 논산시 광석면 왕전3리 말머리마을에서 매년 정월 초이틀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하여 지내던 마을 제사. 왕전리 말머리 산신제의 준비를 위해 소요되는 비용은 가가호호 걸립을 돌아 충당했다. 이 기금으로 논산장에 가서 제물(祭物)을 구입했는데, 장을 보러 갈 때는 부정을 피하기 위해 삿갓을 쓰고 가되 값을 깎지 않는 것이 불문율이었다. 제관은 마을회의에서 생기복덕(生...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원봉1리 대미마을에서 매년 음력 정월 14일 마을의 평안과 무병장수를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원봉리 대미 다리제(거리제)는 오래 전부터 부녀자들의 주도로 마을의 평안과 무병장수를 기원하며 지내오던 마을 제사였다. 6·25전쟁 이전에 중단되었는데, 이후 마을 앞 도로에서 교통사고가 자주 발생하여 주민들의 근심이 많았다. 그러던 어느 날 한 노인이 “사고가...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원봉리 선돌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하여 왕재나무(느티나무)에 지내던 마을 제사. 원봉리 선돌 목신제는 오래 전부터 지내오던 마을 제사였으나 6·25전쟁 무렵 중단되어 상세한 내용은 알 길이 없다. 다만 지금도 마을에서는 왕재나무를 영험한 존재로 생각하여 절대 손을 대지 않을 뿐 아니라 설령 고사목이 있어도 집으로 가져 가지 않는다고 한다....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원북리 장뚝골에서 음력 정월 14일 장군석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하여 지내던 마을 제사. 원북리 장뚝골 장승제는 해방 이전에 중단된 마을 제사를 1985년에 부활한 것이다. 이후 노인들과 부녀자가 중심이 되어 몇 해 동안 장승제를 지냈으나 다시 중단되었다. 이 마을의 장군석은 음기를 제어할 목적으로 건립되었다는 점에서 조선 후기 비보풍수(裨補風水...
-
충청남도 논산시 가야곡면 육곡리에서 음력 정월 14일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해 지내던 마을 제사. 육곡리는 시냇물을 중심으로 여섯 개의 골짜기가 있다 하여 육곡(六谷) 또는 여섯 개의 자연마을이 ‘육두레’를 형성하는 까닭에 육곡이라 부른다. 육두레란 서풍골·산정너머·행정·고사뜸(음지뜸)·큰두레·양지뜸 등을 일컫는다. 산신제와 다리제는 이들 여섯 마을이 매년 음력 정월 1...
-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주곡리 숯골에서 매년 음력 정월 14일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하여 지내는 마을 제사. 주곡리 술골 장승제는 부인당 산제와 더불어 논산 지역에서 가장 널리 알려진 마을 제사이다. 마을의 수호신으로 치성을 받는 장승과 솟대[오릿대]는 마을 어귀 양쪽에 마주보고 있는데, 장승제를 지내면서 깎아 세운 20여 기의 목장승군이 장관을 이룬다. 이 마을 장승제...
-
충청남도 논산 지역에서 정월 대보름 이웃마을과의 경계에서 횃불을 밝혀 승부를 가리는 놀이. 쥐불의 본디 뜻은 들쥐나 해충을 제거하기 위해 논둑과 밭둑에 놓는 불을 의미하지만, 동시에 횃불을 들고 싸움을 하는 행위가 포함된 개념이다. 논산 지역의 쥐불놀이는 후자를 의미하며, 흔히 쥐불싸움, 횃불싸움으로 불린다. 그것은 쥐불놀이가 으레 이웃마을과의 치열한 편싸움으로 비화되기 때문이다....
-
충청남도 논산 지역에서 음력 7월 7일에 지내는 명절. 농가에서는 칠석날 아침에 논이나 밭에 나가지 않는 풍습이 있다. 그것은 칠성할머니가 논밭의 곡식을 둘러보러 내려오므로 농가에서는 칠성할머니가 다시 올라갈 때까지 집에서 근신한다. 속설에 따르면 이날 짚신할머니와 짚신할아버지가 만나는데 까치가 다리를 놓아 준다고 한다. 그런 까닭에 칠석이 지나면 까치의 머리가 다 벗겨져 있다고...
-
충청남도 논산시 광석면 항월리에서 비가 오기를 기원하며 지냈던 기우제. 항월리 기우제는 여성들이 주관하는 이른바 ‘날궂이 기우’의 전형적인 사례이다. 이는 가뭄이 닥쳐 농작물이 타들어갈 때 여성들이 ‘미친 짓을 해야 비가 내린다’거나, ‘도깨비짓을 해야 비가 온다’는 민간 사고에 기초한 것으로 일제강점기에 시작되었다고 전하는데 근래에는 지내지 않고 있다. 오래도록 비가 내리지 않으...
-
충청남도 논산시 광석면 항월리 서변마을에서 매년 정월 초3일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하여 지내는 산제와 장승제. 항월리 서변마을 산제는 애당초 돌림병을 막기 위해 유래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대해 마을에서는 다음과 같은 전설이 구전된다. 고려 때의 일이다. 마을에 전염병과 홍역이 창궐하여 아이들이 거의 죽어나가는 일이 발생했다. 집집마다 청수를 올리고 거리제를 지냈지...
-
충청남도 논산시 광석면 항월3리 대동마을 입구 바위에서 매년 음력 정월 초이틀에 지내는 마을 제사. 항월3리 대동 석불제와 관련해서는 ‘호열자’라고 불렸던 콜레라와 관련한 전설이 전해지고 있다. 옛날 온 나라에 콜레라가 번성하여 민심이 흉흉할 시절 이 마을에도 병이 번졌는데, 어느 날 노승이 지나다가 마을 입구에 서 있는 바위를 모시면 재난을 방지할 수 있다고 말하고는 사라졌다....
-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화곡리 큰덕골에서 격년으로 음력 정월 14일 저녁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빌며 지내던 마을 제사. 화곡리 큰덕골에서는 2년에 한 번 장승제를 지낸다. 이를 위해 설이 지나면 제관을 뽑아 제를 주관하게 한다. 비용은 호당 쌀 3~4되(5.42~7.21ℓ)씩을 갹출하여 충당하고, 제물은 삼색실과, 술, 백설기 3되 3홉 등이다. 큰덕골 장승의 유래는 분명치 않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