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대유물
-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논산훈련소 부근에서 발견된 초기 철기시대 의식용 기구인 청동방울의 하나. 원래는 강원도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해 왔으나, 근래 논산시 연무읍 논산훈련소 부근에서 출토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청동 쌍두령·환상 쌍두령·청동 거울과 함께 출토된 것으로 전한다. 1973년 3월 19일 국보 제146-2호로 지정되었다. 나무자루를 끼워 사용한 방울로 한 쌍을 이루고 있다...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표정리 하표정마을에서 발굴·조사된 백제시대의 토기. 논산 표정리 고분군 출토 병형토기는 목이 짧고 주둥이가 밖으로 벌어진 병 모양 토기로 굳기가 단단하며 회흑색을 띠고 있다. 바닥은 편평하고 몸체는 위로 갈수록 넓어져 중상부에서 지름이 가장 넓어지며 위쪽으로 가면서 급격하게 좁아져 목 부분이 수직이 되고 주둥이는 바깥쪽으로 벌어진 형태이다. 전체 높이는 10...
-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논산훈련소 부근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하는 초기 철기시대 의식용 기구인 청동거울. 다뉴세문경은 청동 쌍두령·청동 간두령·청동 팔주령과 함께 출토된 것으로 전한다. 1971년 12월 21일 국보 제141호로 지정되었다. 조문경(粗紋鏡)에서 발전하여 집선이 정치하여 1㎜ 폭에 약 2~3조의 선문이 채워져 있는 정문경(精紋鏡)으로 제작수법이 매우 정교하다. 거울면은...
-
충청남도 논산시 양촌면 모촌리 고분군에서 출토된 백제시대 칼. 모촌리 고분군은 백제문화개발연구원의 지원으로 공주대학교 박물관에서 1992년과 1993년 2차에 걸쳐 발굴 조사하였다. 1992년 조사에서는 백제 수혈식 석실분 13기, 횡혈식 석실분 1기, 옹관묘 1기가 조사되었으며, 1993년 조사에서는 수혈식 석실분 15기와 함께 석축묘 2기, 옹관묘 2기가 배장 형태로 조성되었다...
-
충청남도 논산시 가야곡면 육곡리 고분군에서 출토된 백제시대 귀걸이. 금동제 이식은 육곡리 고분군 가운데 2호분과 6호분에서 각각 한 쌍씩 출토되었다. 모두 같은 형태로 동지금장(銅枝金裝)된 중간식이나 수하식이 전혀 없는 고리형의 세환식이다. 백제고분에서 일반적으로 출토되는 형태이다. 금동제 이식은 주로 횡혈식 석실분에서 출토되는 것으로, 육곡리 고분군 출토 금동제 이식은 백제 금속...
-
충청남도 논산시 가야곡면 육곡리 고분군에서 출토된 백제시대 관모(冠帽) 장신구. 육곡리 고분군 7호분에서 출토된 은제 장신구로, 은판의 가운데를 접어 꽃봉오리와 줄기 모양이 나도록 오려서 만들었다. 곁가지 없이 중심 줄기를 기준으로 중앙의 꽃봉오리와 좌우 각각 2개의 꽃봉오리를 포함하여 모두 5개의 꽃봉오리가 있다. 줄기의 끝부분은 모자의 정면 테두리에 꽂히는 부분이다. 은제 화형...
-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논산훈련소 부근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하는 초기 철기시대 의식용 기구인 청동방울의 하나. 원래는 강원도 지역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해 왔으나, 근래에 논산시 연무읍 논산훈련소 부근에서 출토된 것으로 확인되었다. 청동 거울·청동 간두령·청동 팔주령과 함께 출토된 것으로 전한다. 1973년 3월 19일 국보 제146-3호로 지정되었다. 청동 쌍두령은 아령 모양 한...
-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논산훈련소 부근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하는 초기 철기시대 의식용 기구인 청동방울의 하나. 청동 쌍두령·청동 간두령·청동 거울과 함께 출토된 것으로 전한다. 1973년 3월 19일 국보 제146-1호로 지정되었다. 한 쌍을 이루고 있으며, 크기는 각각 직경 12.2㎝와 12.8㎝이다. 모서리가 길게 연장된 팔각 청동판 끝에 방울이 각각 1개씩 달려 있다. 방울...
불교유물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천호리 개태사지에서 출토된 고려 전기 금동탑. 개태사지는 고려 태조 왕권이 후백제를 물리치고 창건한 절터이다. 개태사 금동대탑은 고려 전기(10~11세기)에 만들어진 것으로 추정되는데, 개태사의 폐사로 역사 속에 묻혀 있다가, 1960년대 세상에 나오게 되었다. 금동탑은 절의 중심적인 존재라기보다 건물 안에 장식품으로 안치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탑의 성격보다...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천호리 개태사에 있는 고려 전기 가마솥. 개태사 철확은 원래 개태사 창건 이후 고려 태조 왕건이 승려 5백여 명이 밥을 지어먹을 솥으로 내려 준 것이라고 전한다. 개태사가 폐허가 된 이후 벌판에 방치되어 있다가 1887년(고종 24)의 정해년 대홍수 때 4㎞ 정도 떠내려가 연산읍 앞 냇가에 방치되었다. 일제강점기인 1935년에 일본 사람들이 일본으로 가져가려...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천호리 개태사지 부근에서 발굴된 고려시대 불교의식용 쇠북. 개태사 청동금고는 개태사지 부근에서 주택 개량 사업을 실시하던 중 발견되었다. 불구(佛具)는 사찰 행사 때 사용되는 도구들로서, 금고는 이러한 불구 가운데 범종·운판·목어 등과 함께 소리를 내며, 징 모양을 하고 있고 반자라고도 부른다. 양쪽 모두 사용할 수 있는 쇠북이라는 뜻에서 금고라 부르고, 한...
-
충청남도 논산시 개태사에 있는 고려 전기 불상. 논산 개태사지 석조여래삼존입상은 본래 개태사지에 있던 것을 현재의 장소로 옮겨 놓은 것이다. 구체적으로 언제, 어느 곳에서 옮겨 온 것인지는 확실하지 않다. 개태사지에서는 발굴 조사 결과 건물 터가 확인되었고 개태사의 명문기와도 수습되었다. 아울러 구 개태사를 조성하기 위해 축조해 놓은 석축도 마을에서 쉽게 찾아볼 수 있다. 논산 개...
-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동 관촉사에 있는 고려 전기 불상.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과 관촉사 사적비에 따르면, 968년(광종 19)에 사제촌의 여자가 반야산 서북쪽 모퉁이에서 고사리를 채취하고 있는데, 홀연 동자의 울음소리가 들렸다. 이상하게 생각하고 가보니 큰 돌이 땅 속에서 솟아나오고 있었다. 괴이한 일이라고 생각하면서 집으로 돌아와 사위에게 말하니, 사위가 곧 현감에...
-
충청남도 논산시 부적면 덕평리에 있는 고려 시대 불상. 논산 덕평리 석조여래입상은 현재 무릎 이하 부분이 흙에 묻혀 있어 원래의 크기는 분명히 알 수 없지만 남아 있는 불신만 1.95m인 거상이다. 머리 부분은 다소 마멸되었으나 육계가 큼직하며 얼굴이 풍만하고 이마의 백호 형태가 확인된다. 이목구비가 오밀조밀하면서 복스러운 편이나 얼굴 전체에 비해 작게 표현되어 조잡한 모습을 보인...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연산리 송불암에 있는 고려 후기에서 조선 전기 불상. 송불암 미륵불은 석불사라는 옛 절에 안치되어 있었던 것으로, 당시의 석불사는 지금의 자리에서 동쪽으로 약 50m 들어간 산기슭에 있었으나 임진왜란 당시 불에 타 없어졌다고 전한다. 현재의 송불암(松佛庵)이란 명칭은 송불암 미륵불 바로 옆의 노송이 불상과 조화를 이루며 지붕처럼 퍼져 있기 때문에 붙여졌다고...
-
충청남도 논산시 양촌면 중산리 쌍계사에 있는 조선 후기 불상. 논산 쌍계사 목조 석가여래 삼불 좌상은 2011년 3월과 4월 각각 문명 대학교와 한국 미술사 연구소의 두 차례에 걸친 복장 조사를 통하여 발원문을 비롯한 후령통(候鈴筒), 『묘법연화경(妙法蓮華經)』「관세음보살 보문품」[1462], 『묘법연화경』, 『아비달마대비바사론』 권240, 다라니 등이 발견되었다. 발원문을 통하여...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천호리 용화사에 있는 고려 전기 불상. 연산 천호리 비로자나석불은 용화사에서 약 500m 거리에 있는 구 개태사지(開泰寺址)에서 출토된 것으로, 처음 발견했을 때 불두가 파손되어 있었으나 최근에 보수되었다. 1980년 10월 23일 충청남도 유형문화재 제91호로 지정되었다. 연산 천호리 비로자나석불은 높이 110㎝로, 화강암으로 조상하였다. 왼쪽 무릎을 세우...
-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상도리 용화사지 주변에서 확인된 시대 미상의 불상 머리 부분. 용화사지 불두는 용화사지의 사역(寺域) 뒷면 계룡산 서쪽 사면에 약 165.29㎡ 규모의 평탄 대지에 자리하고 있다. 용화사지 불두는 본래 현 위치에서 위로 5m 떨어진 거리에 세워져 있었던 것으로 전한다. 목 부분 이하는 결실되었고, 머리에 육계(肉髻)의 형태가 있는데 절단되어 있는 것으로 미루...
-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동에 있는 고려 시대 불상. 은진 관촉리 비로자나석불입상은 높이 340㎝의 화강석으로 만든 비로자나불(毘盧舍那佛)이다. 낮은 육계(肉髻)를 지닌 머리는 윤곽이 뚜렷하며, 귀가 어깨까지 내려와 있다. 얼굴은 둥그렇고 풍만한 모습을 지녔는데, 이마의 정중앙에는 백호공이 선각되어 있고, 눈썹을 선명하게 음각으로 표현하였으며, 그 아래 은행알 형태의 눈을 표현하고 있다...
유교유물
-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학당리에 있던 조선 전기 유학자 박증의 후손들이 남긴 유물. 박증(朴增, 1461~1517)은 외조부 성삼문의 충절을 추모하여 벼슬의 뜻을 버리고 32세 되던 1492년(성종 23) 노성현 암천(현 논산시 상월면 학당리)로 은거하여 일생을 마쳤다. 이로써 무안박씨 노성파가 형성되었다. 박증이 노성 지역으로 입향한 이후 후손들이 지금까지 노성 지역에 세거하고...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임리 돈암서원 장판각에 소장되어 있는 책판. 『돈암서원지』 「장판각기」에 따르면 “사계 선생께서 돌아가신 지 292년 후 임술년(1922)에 전서(全書)가 완성되어 판각에 올리니 모두 1,793판이요, 또 유고(遺稿)와 『변의집람(辨疑輯覽)』과 『비요(備要)』에 구판(舊版)이 모두 1,137판이요, 「황강실기」와 『신독재전서』 및 유고가 모두 1,2...
-
충청남도 논산시 부적면 부황리에 있는 파평윤씨 충헌공파 종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후기 윤원거·윤유·민준의 문집 판각. 조선 중기의 유학자 용서(龍西) 윤원거(尹元擧, 1601~1672)와 그의 아들 봉계(鳳溪) 윤유(尹揄, 1647~1721), 제자 성재(省齋) 민준(閔晙, 1642~1776)의 문집 판목 150판으로, 윤원거의 『용서집』, 윤유의 『봉계집』, 민준의 『성재집』...
-
충청남도 논산 출신의 학자 윤증이 그려진 조선 후기 초상화 5점과 문서. 윤증 초상 일괄은 조선 중기 송시열(宋時烈)과 쌍벽을 이루었던 문신 윤증(尹拯)을 그린 초상화 5점과 『영당기적(影堂紀蹟)』 1점을 말한다. 윤증 집안에서 관리하던 윤증 초상 일괄은 2006년 12월 29일 보물 제1495호로 지정되었으며, 현재 충청남도 공주시 신관동에 있는 충남역사박물관에 기증되어 그 곳에...
-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교촌리에 있는 조선 후기 파평윤씨 노종파 윤증가의 책판. 윤증가 책판은 윤선거의 『노서유고』를 비롯하여 『명재연보』, 『가례원류』 등을 널리 보급하고 길이 보존하고자 만든 것이다. 1982년 10월 28일 논산시 향토유적 제12호로 지정되었다. 책판은 『노서유고』 573판, 『명재연보』 119판, 『명재언행록』 45판, 『일암유고』 111판, 『의례문답』 1...
-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교촌리에 있는 조선 후기 파평윤씨 노종파 윤증가에서 사용했던 물건들과 문중에 전해 내려오는 유물. 명재(明齋) 윤증(尹拯, 1629~1714)은 조선 숙종 때의 학자로 성리학과 예학에 밝고 학업과 행실이 뛰어났다. 조정에 천거되어 여러 관직에 임명되었으나 모두 마다하고 논산군 이산에 머물며 학문 연구와 후진 교육에 힘썼다. 1970년 12월 29일 중요민속문...
-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주곡리의 이삼 장군 고택에 소장되어 있는 조선 후기 무신 이삼의 유물. 이삼(李森, 1677~1735)은 조선 영조 때의 무신으로 본관은 함평(咸平), 자는 원백(遠伯), 호는 백일헌(白日軒)이다. 상월면 주곡리에서 출생하여 윤증(尹拯)의 문하에서 수학하였고, 1705년(숙종 31) 무과에 올랐다. 힘이 세고 지략이 많으며 기계 제조법과 도창(刀槍) 기예에...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화악리 원훈각에 있는 익안대군 이방의의 초상화. 「익안대군 영정」은 조선을 건국한 태조 이성계의 셋째 아들인 익안대군 이방의(李芳毅, ?~1404)를 그린 초상화이다. 현재는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화악리 316번지에 있는 익안대군 영당인 원훈각(元勳閣)에 보관되어 있다. 이방의는 고려 공양왕 때 판밀직사사가 되었고, 1392년 태조가 즉위하자 익안대군에 봉...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연산리 광산 김씨 돈촌가에서 전해 오는 조선 후기 성리학자 김만증의 초상. 김만증(金萬增)[1635~1720]의 본관은 광산(光山)으로 김장생(金長生)[1548~1631]의 증손자이며, 송시열(宋時烈)[1607~1689]의 문하에서 공부하였다. 과거에 급제하여 벼슬길에 올랐으나 만년에는 고향에서 학문에 몰두했다. 「김만증 초상」은 복건에 심의를 입은 김만증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