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000846
한자 安宅
영어음역 Antaek
영어의미역 Ritual Pressing Down Household Spirits
이칭/별칭 안택굿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의례/제
지역 충청남도 논산시 광석면 항월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강성복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무속의례
의례장소 부엌, 장독대, 안방 등의 집안

[정의]

충청남도 논산시 광석면 항월리에서 집안에 모신 여러 신령에게 가정의 안녕을 기원하는 의례.

[개설]

안택(安宅)은 글자 뜻 그대로 집안을 평안하게 하는 굿을 말한다. 대개 독경(讀經)을 하는 앉은굿 법사(法師)가 주관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논산 지역에서는 부녀자들이 집안에 모신 여러 신령을 위로하고 치성을 드리는 ‘첫무리’를 아우르는 개념으로 혼용되기도 한다. 첫무리란 가을걷이를 마친 시월상달에 햅쌀로 ‘갈떡’을 찌어 집안이 무고하라는 의미에서 조왕·당산·성주·조상 등의 신령을 치제하는 것을 말한다.

집안 형편이 다소 여유가 있다면 매년 안택을 하지만,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수년에 한 번씩 하기도 한다. 안택은 집안의 평안을 기원하는 종합 제의이면서 동시에 집안의 우환을 다스리는 굿의 역할도 겸하고 있다.

[절차]

안택을 하는 집에서는 법사를 초빙하여 굿을 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안택굿은 먼저 부정풀이로 잡귀를 물리치는 의식을 행한 다음, 부엌(조왕)에서부터 시작된다. 조왕굿이 끝나면 당산 장독대로 가서 칠성과 터주를 위하고, 다음으로 안방에 성주상과 조상상을 차려놓고 성주풀이와 조상풀이를 하며 치성을 드린다. 만일 성주를 새로 받는 집에서는 이때 성주를 받는다.

조상풀이를 한 후 법사는 ‘대잡이’로 하여금 참나무로 만든 대를 잡게 하는데, 여기에 신이 실리면 가족의 길흉을 보아서 처방을 내려준다. 이렇게 운수풀이까지 마치면 굿은 끝이 나고, 마지막으로 ‘파경’ 또는 ‘내전(內奠)’의 절차를 행한다. 이는 안택에 모여든 잡귀잡신을 남은 제물로써 잘 풀어먹이는 의례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