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000316 |
---|---|
한자 | 灌燭寺石門 |
영어의미역 | Stone Gate of Gwanchoksa Temple |
분야 |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지역 |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동 254[관촉로1번길 25] |
시대 | 고려/고려 |
집필자 | 조원창 |
문화재 지정 일시 | 1984년 5월 17일![]()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21년 11월 19일 - 관촉사석문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재지정 |
성격 | 석문 |
건립시기/연도 | 고려시대 |
높이 | 196㎝ |
너비 | 바깥 너비 194㎝|안 너비 137㎝ |
소재지 주소 |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동 254[관촉로1번길 25]![]() |
소유자 | 관촉사 |
문화재 지정번호 |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동 관촉사에 있는 고려시대 석조물.
관촉사석문은 고려시대에 조성된 것으로 추정되나 이를 고증할 만한 기록이나 고고학적 자료가 없다. 석문의 경우 특히 다른 사찰에서 예를 거의 찾아볼 수 없기 때문에 비교 자료 또한 없는 실정이다. 1984년 5월 17일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79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충청남도 문화재자료로 재지정되었다.
관촉사가 조성된 이후 참배객들이 몰려드는 것을 막기 위해 동·서·남·북 네 곳에 문을 달고 담을 둘렀다고 하는데, 관촉사석문은 동문에 해당된다.
관촉사석문은 암반 위에 세워져 있는데, 석문에 사용된 석재는 화강암으로 전면이 정교하게 다듬어져 있다. 바깥 너비는 194㎝이고 안 너비는 137㎝이며, 바깥 높이는 196㎝이다. 석문 자체의 높이는 180㎝, 너비 200㎝이다. 사찰 입구 양쪽에 돌기둥을 세우고 윗면 천정에 다섯 개의 장대석을 얹음으로써 4각형(터널형)의 석문을 구축하고 있다. 돌기둥은 너비 40㎝의 직사각형으로 다듬어져 있다. 문기둥의 오른쪽에는 ‘관촉사’, 왼쪽에는 ‘해탈문(解脫門)’이라 음각되어 있다.
사찰 문의 경우 흔히 목재로 조성되는데 관촉사석문의 경우 석재로 만들어져 재료상의 특성을 보여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