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개척리에서 개재마을의 나무다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989년에 논산문화원에서 출간한 『놀뫼의 전설』에 수록되어 있다. 옛날 논산시 성동면 개척리에 있는 개재마을에 노름판을 전전하는 농부와 부지런한 아내가 살고 있었다. 하루는 농부 아내가 보리밭에 거름을 주려고 거름독을 이고 나갔다. 거름독을 내려놓으려 하는데 어디선가 갑자기 백사 한 마리가 나...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우곤리에서 궁골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988년 논산문화원에서 간행한 『놀뫼의 전설』에 실려 있다. 의자왕은 젊었을 때에 나라의 정사를 잘 돌보아 백성들로부터 존경을 받았다. 특히 그는 병법이 뛰어나 신라의 여러 고을을 정벌하여 백제의 땅을 넓혔다. 이처럼 전쟁에서 승리를 거두자 그는 자만하게 되었다. 가까이에 둔 간신들의 농간에 놀아나 충신들이...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정지리에서 금박재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988년 논산문화원에서 간행한 『놀뫼의 전설』에 실려 있다. 옛날 어느 해에 흉년이 들어 성동면 정지리, 즉 지금의 금박재 고개 아래의 마을 사람들은 먹고 살기에 어려움을 겪었다. 이렇게 살기 어려운데 왜적이 침입하여 약탈까지 하였다. 이 마을은 주위에 농토가 적고 토질도 나빴다. 때문에 마을 사람들은 항...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정지리에서 도적굴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981년에 논산문화원에서 출간한 『놀뫼의 전설』에 수록되어 있다. 삼국시대 백제가 패망할 때의 이야기이다. 사비성에서 끝까지 싸우다가 갈 곳을 잃은 백제군은 석성산성으로 피하였다. 그리하여 전열을 가다듬은 백제군은 신라와 당나라의 연합군을 기습하여 여러 번 승전하였다. 그러던 중 군량이 떨어져 백제군은 굶...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개척리에서 불암사 도승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981년 논산문화원에서 출간한 『놀뫼의 전설』에 수록되어 있다. 옛날에 현재의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개척리 산골에 불암사라는 사찰이 있었다. 불암사에는 학식을 겸비한 도승이 있어 많은 불자들이 찾아왔다. 어느 날 도승은 불상에 벼룩이 까맣게 달라붙은 것을 보았다. 도승은 이것이 불길한 전조라 생각하...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원북리에서 구렁이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981년에 논산문화원에서 출간한 『놀뫼의 전설』에 수록되어 있다. 오랜 옛날 북쪽의 오랑캐가 쳐들어왔다. 오랑캐는 물건을 약탈하고 사람들을 죽여 그 악명이 전국에 퍼졌다. 원북리 마을 사람들도 모두 피란을 갔다. 피란처는 인근 산에 있는 굴속이었다. 마을 사람들이 피신한 이튿날 오랑캐 무리가 마을로 쳐들어...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우곤리에서 여수고개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여수란 ‘여우’의 방언으로 강원도·경상남도·전라도·충청도 지방에서 통용되는 말이다. 1981년에 논산문화원에서 출간한 『놀뫼의 전설』에 수록되어 있다.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우곤리에 고개가 하나 있는데, 이 고개를 여수고개라 한다. 옛날에 이 고개에는 수목이 우거져 있었고 민가도 드물어 밤에는 혼자 지나...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우곤리에서 아기장수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우곤리 아기장수」는 1991년 논산문화원에서 간행한 『놀뫼의 전설』에 수록되어 있다. 백제 말엽 지금의 우곤리 마을에 농부 부부가 살고 있었다. 부부는 열심히 일하여 남부럽지 않게 살림을 꾸려갔으나 한 가지 슬하에 자식이 없는 것을 항상 아쉬워하였다. “아기 하나만 있으면 부러울 게 없을 텐데.” 하면서...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삼산리에서 전한로의 효행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전한로는 조선 후기 성동면 삼산리 사람으로, 부모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여 1779년(정조 3) 승정원 좌승지에 증직되었다. 정려문 현판은 ‘효자진무부위우군 사용증 승정원좌승지 전한로지문(孝子振武副尉右軍司勇贈承政院左承旨 田漢老之門)’이라 되어 있다. 전한로 효행 정려는 원래 성동면 삼산리에 있었는데,...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우곤리에서 지네와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지네산은 지네의 발모양처럼 양쪽으로 늘어선 모습을 하고 있다. 지네산은 성동면 우곤리 배다리에서 좌측으로 1㎞쯤 떨어진 곳에 있으며, 2㎞ 전방에는 백제의 계백 장군이 나당연합군을 물리치기 위하여 파진했다는 파지산이 있다. 「지네산 설화」는 홍수 때에 금강 물을 따라 올라온 이무기와 파지산에서 독을 품은 지네...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원북리에서 효죽골과 관련하여 전해 내려오는 이야기. 1988년 논산문화원에서 간행한 『놀뫼의 전설』에 실려 있다. 옛날 삼한시대에 지금의 원북리 마을에 늙은 홀아버지를 모시고 가난하게 살아가는 착한 부부가 있었다. 그들은 집안이 너무 가난하여 생활이 어려웠지만 아버지를 정성껏 모셨다. 그러던 어느 겨울날 아버지가 갑자기 병으로 자리에 눕게 되었다. 용하다는...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물이 흐르고 낮은 산등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개척이라 부르게 되었다. 본래 석성군(石城郡) 병촌면(甁村面)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불암리(佛岩里)·원당리(元堂里)와 우곤면(牛昆面)의 서당동, 임천군(林川郡)의 일부를 병합하고 개척리라 하여 성동면에 편입되고, 1932년에는 채운면(彩雲面) 신촌리가 추가 편입 되었다. 19...
-
일제강점기 논산 출신의 독립운동가. 김욱배는 1941년 5월 광복군 공작원 김천성(金天成, 1914~1945), 이덕산(李德山, 1919~?)과 접선하여 광복군 제2지대 제1구대 구대원으로 입대한 후 1945년 8월까지 3년 9월간 광복군으로 활동하였다. 1945년 7월 한미 합동정보교육과정인 OSS훈련 정보·파괴반을 수료하였으며, 광복군 국내 정진군 충청도반의 제1조에 소속되어...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남양전씨 문중에서 소장하고 있는 조선 전기부터 조선 후기까지의 고문서. 남양전씨 종중에서 소유하고 있는 문서는 모두 27건으로 교지(敎旨) 23건, 유서 1건, 호적단자 3건 등이다. 1416년 전흥(田興)에게 내린 왕지(王旨)는 36.2×31.2㎝, 1417년 내린 왕지는 30.0×28.0㎝, 1434년에 내린 교지는 39.2×48.0㎝이다. 1454년 전...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우곤리에 있는 장애인 복지 시설. 논산다애원은 뇌 병변 장애인들에게 더욱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재활 서비스를 제공하여 장애인의 신체적 자립과 정신적 재활을 촉진하고, 지역 사회와 더불어 사는 사회를 만들기 위한 장애인 복지 시설 운영을 목적으로 설립되었다. 2004년 4월 12일 장애아 전담 어린이집으로 지정 받았다. 2004년 12월 31일 시설을 준공하고...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원북리에 있는 조선시대 돌다리. 논산 석성 수탕교는 논산과 부여의 경계 지역에 위치한 성동뜰의 넓은 평야 지역을 흐르는 석성천을 가로질러 놓였던 석교이다. 『동국여지승람』 등 조선시대 편찬된 지리지에는 수탕석교·수탕천교·수탕교 등의 이름으로 기록되어 있으나 현지 주민들은 주창다리로 부르고 있다. 수탕교는 일제강점기까지도 석성뜰에 농사일을 하러 가는 큰 길 역...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정지리와 원남리, 원북리에 있는 산업 집적화 시설. 논산지방산업단지는 수도권 산업체의 지방 분산과 함께 논산 지역 제조업체의 입지 수요를 충족시키고 지역 경제를 활성화시키기 위해서 중소공업진흥공단과 논산시가 공동으로 사업비 183억 원을 들여 조성하였다. 1997년 10월 24일 지방산업단지로 지정 승인을 받아 착공하였다. 2004년 6월 30일 논산지방산업...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우곤리에 있는 교정 행정 기관. 대전교도소 논산지소는 대전지방법원 논산지원 관할 제1심 피의자 및 피고인과 초범 수형자를 수용하기 위하여 설립되었다. 1997년 8월 13일 대전교도소 강경구치지소로 개청되었으며 1998년 2월 28일 대전교도소 논산지소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2006년 6월 12일 「법무부와 그 소속기관 직제」의 개정(대통령령 제19508호)...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의 지형이 마치 병 모양과 같이 생겨 병골 또는 병촌이라 부르게 되었다. 본래 석성군(石城郡)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소중리(小中里)·원궁리(元宮里)·대중리(大中里)·개척리(盖尺里)의 각 일부와 삼산면(三山面) 대장리(大長里)의 일부를 병합하고 병촌리라 하여 성동면에 편입되었다. 1996년 3월 1일 논산군이 논산시로...
-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개척리에 설립된 기독교대한성결교회 소속 교회. 병촌교회는 성동면 개척리에서 1938년 5월 7일 이계섭 목사를 중심으로 시작되었다. 1943년 12월 일제의 탄압으로 해산되었다가 광복과 더불어 교회를 재건한 뒤 1948년 6월 15일 새 예배당을 건립했다. 6·25전쟁 때 공산군들이 도주에 앞서 병촌교회 신도 16세대 66명을 한꺼번에 흙구덩이를...
-
충청남도 논산시 불암산에 있는 시대 미상의 산성. 강경읍의 북쪽으로 금강의 지류인 논산천(論山川)이 동에서 서로 흘러 금강에 유입된다. 논산천을 건너 금강 본류를 타고 북쪽으로 2㎞ 정도 올라가면 해발 60m의 나지막한 독립 구릉인 불암산이 나타난다. 불암산성은 불암산의 정상부에 위치한다. 불암산성은 산 정상부의 능선을 따라 남북 방향으로 길게 축조된 테뫼식 산성이다. 성벽은 동벽...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에 산이 세 개 있어 삼산리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에 소하리와 대하리 일부를 병합하여 삼산리라 하고 성동면에 편입하였으며, 1996년 논산군이 논산시로 승격함에 따라 논산시 성동면 삼산리가 되었다. 삼산1리, 삼산2리의 2개 행정리로 이루어져 있다. 전 지역이 해발 고도 20여m 안팎의 낮고 평평한 평야 지대로, 남부는...
-
조선 말기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삼산리 지역에 있던 천주교 교회. 공소는 천주교 교회 중 본당보다 작은 단위의 기초 교회를 말하며, 신부가 상주하지 않고 연2회 정기적으로 방문하여 성사를 집행하는 곳이다. 한국에서는 천주교 전파 초기부터 박해로 인해 깊은 산속이나 왕래가 드문 외진 곳에 교우촌이 형성되면서 공소가 설립되기 시작하였다. 충청남도 논산 지역에도 1883년부터 삼산리를...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삼호리에 있는 기독교대한감리회 소속 교회. 삼호감리교회는 일제강점기에 기도처로 시작하여 해방 이후 설립된 교회이다. 기독교 복음 전파를 통한 지역민의 심신 안정을 위해 설립하였다. 일제강점기인 1927년 강경황산교회의 삼호리 기도처로 처음 시작되었다. 그리고 해방 직후인 1945년 10월에 일제가 남긴 소위 ‘적산’을 인수하면서 삼호교회를 설립하여 현재에 이...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 장호의 이름을 따서 삼호리라 하였다. 1914년 행정구역 폐합 때에 오산리 외 7개 지역의 일부를 병합하여 삼호리라 하였다. 1988년 2월 17일 현재의 단일 행정리로 재조정되었으며, 1996년 논산군이 논산시로 승격함에 따라 논산시 성동면 삼호리가 되었다. 삼호리는 곡창 지역으로 산지는 거의 없고 전 지역이...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병촌리에 있었던 공립 초등학교. 첫째, 자신감과 희망을 가지고 원대한 포부로 끊임없이 노력하는 사람을 육성하는 것이다. 보다 나은 내일을 꿈꾸며 자신의 길을 개척해 나아가는 사람은 쉽게 좌절하지 않으며 언젠가는 승리한다는 목표이다. 둘째, 언제 어디서나 감사할 줄 아는 사람을 육성하는 것이다. 감사한 마음은 문화시민이 가지는 가장 큰 성품 중의 하나이며, 감...
-
충청남도 논산시에 속하는 행정구역. 금성산의 동쪽에 위치하고 있어 성동이라고 하였다. 본래 석성군(石城郡) 원북면(院北面) 지역으로, 하동(下東)·하서(下西)·중리(中里)·소죽(小竹)·악산(岳山)·장상(壯上)·양상(陽上)·갈산(葛山)·음상(陰上)·도리(島里)·동상(東上)·서상(西上)·송촌(松村)의 13개 리를 관할하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병촌면(甁村面)의 불암(佛岩)...
-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에 있던 계몽운동 단체. 3·1운동 이후 서구 문명 유입에 따른 개조 열풍에 의한 문화운동은 확산과 발전을 거듭하는 상황이었다. 군·면 단위로 조직된 청년단체와 종교기관을 중심으로 조직된 사회단체는 문화운동을 주도하는 중심단체였다. 논산 지역도 논산청년회(청년구락부)·강경청년회 등을 비롯한 많은 단체 결성이 이어졌다. 성동면 광흥친목회는 시세 변화에...
-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에 있던 노동운동단체. 3·1운동 이후 급속하게 유입된 사회주의 이념은 특히 노동운동과 농민운동 활성화로 귀결되었다. 노동자와 농민에 대한 인식 변화는 민족해방운동 세력을 결집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성동면 노동청년조합은 논산 지역의 노동자 권익옹호와 정서 함양을 통한 사회적인 인식 변화를 도모하고자 설립되었다. 1927년 3월 16일 성동면 노동청...
-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지역에 있던 청년 노동운동단체. 3·1운동 이후 조선 사회로 급속하게 유입된 사회주의 이념, 특히 노동운동과 농민운동이 활성화되면서 노동자와 농민에 대한 인식 변화는 민족해방운동 세력을 결집하는 방향으로 나아갔다. 문화운동 확산은 부문별로 진행되던 민족해방운동을 한 단계 진전시켰으며, 노동자와 농민에 대한 사회적인 인식도 변화를 거듭하는 상황이 되...
-
일제강점기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에 있던 농민운동 단체. 성동면 농민회는 3·1운동 이후 사회주의 이념이 유입됨에 따라 노동운동과 농민운동이 활성화되자 성동면에 거주하는 김병열과 박희창 등이 농민의 권익을 옹호하고, 농민들의 단결심 배양과 문화 계발, 회원 상호 부조 등을 위하여 설립하였다. 1927년 10월 30일 원남리(院南里) 서기철(徐基喆) 집에 50여 명이 모여서 창립총회...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에 있는 수령 500년의 은행나무. 은행나무는 높이 5~10m에 달하는 낙엽 교목이다. 잎은 어긋나고 부채 모양이며, 잎맥이 차상(叉狀)으로 갈라진다. 꽃은 이가화(二家花)로 5월에 잎과 같이 피는데, 수꽃은 1~5개의 미상꽃차례에 달리고 암꽃은 한 가지에 6~7개 달린다. 길이 2㎝ 정도의 꽃자루에 2개의 배주[胚珠, 밑씨]가 달리는데 이 가운데 1개만 10...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삼산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알찬 실력을 다지는 꿈이 있는 학생 육성을 교육 목표로 하고 있다. 또한 꿈과 사랑이 충만한 행복한 학교, 꾸준히 연구하는 긍지 높은 교원, 참여와 이해로 교육을 사랑하는 학부모를 지향하고 있다. 성동초등학교는 1935년 6월 11일 설립인가를 받았다. 1981년 3월 1일 병설유치원이 설립인가를 받았다. 1991년 3월 1일...
-
일제강점기 논산 지역에서 활동한 독립운동가. 소진형은 1886년 6월 19일 전라북도 익산군 왕궁면 광암리 464번지에서 출생하였다. 이후 충청남도 논산군 성동면 개척리 298번지로 이주하였다. 공주농업학교를 졸업하고 논산에서 약종상을 운영하던 중 안종운과 같은 서당에서 동문수학한 안종운과 함께 대한광복회에 가입하였다. 1919년 소진형은 우재룡·안종운·권영만 등과 함께 전국의 부...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원북리에 있는 조선시대 수탕석교에 대한 3기의 비석.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석성현조」에 “수탕포와 수탕석교가 석성현의 동쪽 7리에 있고, 수탕원이 동쪽 13리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는 성동면 지역이 포구에 원과 다리가 있는 중요한 교통 요지였음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수탕석교를 중수하고 그에 대한 기록을 남긴 수탕석교비군은 사적비,...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뒤에 있는 산의 형태가 마치 소와 같이 생겼다고 하여 소골이라 불리다 후에 우곤이라 불리게 되었다. 본래 석성군(石城郡)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상리(上里)·월외리(月外里)·포전리(浦田里)와 서당동(書堂洞)의 각 일부와 비당면(碑堂面)의 옥산리(玉山里) 일부와 현내면(縣內面)의 창리(倉里)·남산리(南山里)의 각 일부...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옛날 성동면에 행인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수탕원(水湯院)을 두었는데, 이 수탕원 남쪽에 있는 마을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본래 석성군(石城郡) 원북면(院北面)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하동리(下東里)·하서리(下西里)·중리(中里)·소죽리(小竹里)의 각 일부와 우곤면(牛昆面) 상리(上里)의 일부를 병합하고 원남리라 하여...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안에 원형인 산봉우리가 있어 두리봉 또는 원봉이라 부르게 되었다. 본래 석성군(石城郡)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중리(中里)·하리(下里)·화정리(花亭里)·야동(冶洞)의 각 일부와 은진군(恩津郡) 성본면(城本面) 해창리(海倉里)의 일부와 노성군(魯城郡) 광석면(光石面) 입석리(立石里)·논산리(論山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원봉리에 있는 청동기시대 무덤. 원봉리 고인돌은 논산시에서 북서쪽으로 약 1.5㎞ 거리에 있는 성동면 원봉리에 있다. 원봉리는 논산천 북서쪽에 인접해 있는 곳으로 해발 25.7m 안팎의 나지막한 봉우리를 중심으로 형성된 마을이다. 고인돌은 마을 한가운데 능선 상에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원봉리 고인돌은 1977년 마을 주민이 집을 짓다가 발견하여 신고함으로...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원봉1리 대미마을에서 매년 음력 정월 14일 마을의 평안과 무병장수를 기원하며 지내던 마을 제사. 원봉리 대미 다리제(거리제)는 오래 전부터 부녀자들의 주도로 마을의 평안과 무병장수를 기원하며 지내오던 마을 제사였다. 6·25전쟁 이전에 중단되었는데, 이후 마을 앞 도로에서 교통사고가 자주 발생하여 주민들의 근심이 많았다. 그러던 어느 날 한 노인이 “사고가...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원봉리 선돌마을에서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하여 왕재나무(느티나무)에 지내던 마을 제사. 원봉리 선돌 목신제는 오래 전부터 지내오던 마을 제사였으나 6·25전쟁 무렵 중단되어 상세한 내용은 알 길이 없다. 다만 지금도 마을에서는 왕재나무를 영험한 존재로 생각하여 절대 손을 대지 않을 뿐 아니라 설령 고사목이 있어도 집으로 가져 가지 않는다고 한다....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정지리에 있는 공립 초등학교. 예절을 알고 바르게 실천하는 학생, 스스로 공부하는 창의적인 학생, 소질을 찾아 꿈을 키워가는 학생, 서로 돕고 사랑하며 봉사하는 학생, 몸과 마음이 건강한 학생의 육성을 교육목표로 하고 있다. 1960년 4월 23일 원봉국민학교로 개교하였다. 1982년 3월 8일 병설유치원을 개원하였다. 1996년 3월 1일 현재의 원봉초등학...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이 수탕원의 북쪽에 있다고 하여 원북이라 부르게 되었다. 본래 석성군(石城郡)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부산리(缶山里)·장상리(壯上里)·양상리(陽上里)·갈산리(葛山里)·음상리(陰上里)·도리(島里)의 각 일부를 병합하고 원북리라 하여 성동면에 편입하였다. 1996년 3월 1일 논산군이 논산시로 승격되면서 논산시 성동면 원...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원북리에 있는 조선 전기 기와 가마터. 원북리 와요지는 논산시의 북서쪽으로 광석면 득윤리와 성동면 원북리 사이 약 4.5㎞ 내외의 범위에 위치하고 있다. 장축 방향은 나지막한 구릉의 남사면에 북을 기준으로 24° 편동하여 등고선 방향과 직교하는 남북 방향으로 두고 있다. 원북리 와요지는 국도 4호선 부여~논산 간 도로를 확·포장 공사하는 구간 내에서 확인되었...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원북리 장뚝골에서 음력 정월 14일 장군석에 마을의 안녕과 풍요를 기원하기 위하여 지내던 마을 제사. 원북리 장뚝골 장승제는 해방 이전에 중단된 마을 제사를 1985년에 부활한 것이다. 이후 노인들과 부녀자가 중심이 되어 몇 해 동안 장승제를 지냈으나 다시 중단되었다. 이 마을의 장군석은 음기를 제어할 목적으로 건립되었다는 점에서 조선 후기 비보풍수(裨補風水...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원북리에 있는 청동기 및 백제시대 유적. 원북리 주거지 유적에 대한 발굴 조사는 천안논산고속도로 인접 지역에 물류 단지가 건설되는 과정에서 이루어졌다. 조사 결과 청동기시대 주거지 및 돌널무덤, 초기 철기시대 돌덧널무덤 및 백제시대 주거지와 저장 구덩, 그리고 고려시대 및 조선시대의 토광묘가 확인되었다. 출토 유물로는 청동기시대 민무늬토기편과 석기, 그리고...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예부터 성벽에 비추어진 달빛의 수려함이 으뜸이라 하여 월성이라 부르게 되었다. 본래 석성군(石城郡) 원북면(院北面)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개편에 따라 동상리(東上里)·서상리(西上里)·송촌리(松村里)와 삼산면(三山面) 대하리(大下里)의 일부를 병합하고 월성리라 하여 성동면에 편입하였다. 1988년 2월 17일 월성3리가 분리되었다....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월성리 월명산에 있는 시대 미상의 산성. 월성리 산성이 자리한 월성리 일대는 논산 강경 일대에 펼쳐져 있는 이른바 논강평야의 일부로, 주변 지역이 드넓은 평야로 되어 있다. 이 평야 지대에 해발 70m의 월명산이 있다. 월성리 산성은 월명산 정상부에 자리하고 있다. 월명산은 해발 70m에 불과하지만 주변 지역이 온통 평야로 되어 있어 주변을 손쉽게 내려다볼...
-
논산 출신의 극작가·소설가·영화감독. 윤백남은 1888년 현재의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에서 태어났다. 윤백남은 예명이며 본명은 윤교중(尹敎重), 아명은 윤학중(尹學重)이다. 그는 1901년 경성학당 중학부에 입학하여 신학문을 배웠고, 일본의 와세대대학 고등예과를 거쳐 정경과에 진학하였다가 동경고등상업학교로 전학하여 졸업했다. 그는 동경 유학 시절에 일본 현대문학을 섭렵하면서 당시...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마을 안에 동지미라는 이름의 산이 있어 정지리라 부르게 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이 통폐합되면서 상리 외 6개 지역의 일부를 병합하여 정지리라 하고 성동면에 편입하였다. 1988년 2월 17일 정지4리가 추가 편입되었다. 1996년 논산군이 논산시로 승격되면서 논산시 성동면에 속하게 되었다. 행정구역은 정지1리·정지2리·정지3리·정지4리로...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정지리에 있는 청동기 및 백제시대 취락지. 유적에 대한 발굴 조사는 1999년 천안논산고속도로 건설 부지에 대한 문화재 조사 과정에서 이루어졌다. 발굴 조사 결과 청동기시대 및 백제시대 주거지와 저장 구덩이, 그리고 고려시대 및 조선시대의 토광묘가 확인되었다. 정지리 백제 취락지는 논산시 북서쪽으로 약 4.5㎞에 위치하는데, 천안논산고속도로 건설 과정에서 확...
-
조춘을 시조로 하고 조인을 입향조로 하는 충청남도 논산시 세거 성씨. 평양조씨(平壤趙氏)의 시조는 조춘(趙椿)으로 고려 때 남송(南宋)에 가서 금(金)나라를 정벌하는 데 큰 공을 세워 송나라 상장군(上將軍)이 되었다고 한다. 조춘은 상원(祥原, 현 평안남도 중화)에 정착하여 4세손까지 내려오다가 5세손인 조인규(趙仁規)의 딸이 충숙왕의 비가 되자 평양부원군(平壤府院君)에 봉해지게...
-
조맹을 시조로 하는 충청남도 논산시 세거 성씨. 풍양조씨는 고려조 개국공신 조맹(趙孟)을 시조로 하는 성씨이다. 조맹은 후삼국시대 왕건을 도와 고려 건국에 참여하여 개국공신으로 문하시중평장사(門下侍中平章事)에 이르렀다. 풍양조씨들은 시조 조맹의 출생지이자 세거지였던 풍양(豐壤, 현 경기도 남양주시)을 본향으로 두었다. 풍양은 조맹은 이곳에서 태어나 노년까지 살...
-
일제강점기 논산 출신의 독립운동가. 홍진유는 1897년 10월 24일 현재의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삼호리 224번지에서 출생하였다. 일본 동경으로 건너가고 나서 1921년 11월 박열(朴烈) 등과 함께 무정부주의 활동을 하고자 흑도회(黑濤會)를 결성하였다. 그러나 내분이 생기자 1922년 흑우회(黑友會)를 창립하여 『현사회(現社會)』와 『민중운동』 등의 잡지를 통해 무정부주의를...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에 속하는 법정리. 들 가운데에 통뫼와 화정(花亭)이 앞에 있는 홧대벌이 있어 화정이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상리와 5개 지역의 일부를 병합하여 화정이라 하고 성동면에 편입되었다. 1996년 논산군이 논산시로 승격되면서 논산시 성동면에 속하게 되었다. 행정구역은 화정1리와 화정2리로 구성되어 있다. 북서부와 북동부는 해발고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