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민간신앙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201184
한자 民間信仰
영어공식명칭 Folk Religions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상남도 함양군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한양하

[정의]

경상남도 함양군의 민간에 전해오는 여러 신앙.

[연원 및 변천]

민간신앙은 인간의 기원과 함께 시작된 원시종교에서부터 비롯되었다고 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부족국가에서 연중행사로 행하던 제천의식(祭天儀式)[하늘을 숭배하고 제사하는 의식]이 그것이다. 부여의 영고, 고구려의 동맹, 마한·변한·진한에 천신제 등이 있었다. 예(濊)에서는 무천(舞天)이라고 하여 10월이면 밤낮을 가리지 않고 술을 마시고 가무를 즐겼다. 이와 같은 제천의식은 농경문화와 관련하여 그해의 풍년을 기원하고, 가을이 되면 하늘에 감사를 드리는 의식으로 집단 공동체에 전승되어 왔다. 고려나 조선까지도 이런 행사들을 국가 단위, 마을 단위로 행하여 왔다. 하지만 개화기에 이르러 3·1운동 이후 군중이 모이는 것을 싫어한 일제는 산신제·기우제·별신제 등의 제사와 민속놀이까지 위생과 치안을 이유로 거행하지 못하게 하였다. 그리고 근대화와 함께 민속과 미신을 동일시하는 경향으로 인해 민간 신앙은 설 자리를 잃어갔다. 그러나 오늘날에는 보존해야 할 문화유산으로 여기는 인식들이 차츰 생겨나고 있다.

[현황]

경상남도 함양군에 전해오는 민간 신앙은 주로 무속(巫俗)에 대한 믿음이나 속신(俗神)에 대한 관념으로 일상생활에서 추앙의 대상이 된다. 주로 점복(占卜)·금기(禁忌)·주술(呪術) 등의 형태를 띤다. 경상남도 함양 지역에서 두드러지는 민간 신앙은 무속과 세시풍속, 금기이다.

경상남도 함양군은 백무동이라는 깊은 골짜기에 백 명의 무녀가 탄생한 전설이 있다. 경상남도 함양군 휴천면 한남마을의 박찬조 전 이장[2018년 기준 69세]은 “지금도 함양엔 무녀들이 많아. 우리 동네만 하더라도 절이라고 하지만 무속이지. 그런 집이 두 집 있었는데 한 집은 나가고 한 집만 있어. 여기 강에 와서 축석대 거기도 절을 하고 제를 지내기도 해. 요 밑에 강가에도 촛불 켜고 제를 지내고 가기도 해. 엄천강인데 정식 명칭은 임천이라고 되어 있어. 여기 백무동이 있는데 거기 일백 백(百)자에 무녀 무(巫)자야. 바로 밑에 동네에 가면 절터라고 불리는데 동호마을이야. 거기 신라 시대 때 큰 절이 엄천사라고 있었는데 주지 스님이 하루는 강가를 산책을 하다가 맑은 날 물이 갑작스레 불어나더래. 이상하다 해서 축지법을 써서 근원지를 찾아갔는데 어느 여자가 오줌을 누고 있더래. 지리산 산신령이 마고 할미인데 그 할미와 스님이 천생연분이라 부부 연을 맺자고 해서 99명의 딸을 낳았대. 우리나라 무녀들이 기를 받으려면 지리산에 와서 기를 받아야지” 하며 함양의 무속에 대해 이야기하였다. 경상남도 함양군은 섣달그믐에 무신제를 올리는 무당들의 제의가 전승되고 있다.

과거 경상남도 함양군의 각 가정에서는 당골집을 두어 집안이나 마을에 변고가 있을 때마다 무당을 찾아가곤 하였고, 마을 단위로는 산신제·당산제·기우제 등을 지냈다. 각 가정에서는 지신인 터주신, 곡식을 관장하는 제석신, 부뚜막과 불을 관장하는 조왕신, 문간의 출입을 단속하는 문간신, 변소에는 측신, 우물에는 용왕신 등이 있다고 믿었기에 빌고자 하는 신들에게 정성을 올렸다. 산신제는 마을 뒷산에 있는 신을 모시는 제의이고, 당산제는 마을 입구의 큰 나무나 돌에 마을의 안녕을 기원하는 제를 올리는 의식이다. 마을을 지키는 신들에게 정성을 다하여 제를 지내야 전염병이나 화재 등 마을의 액을 막아준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기우제는 농경 문화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한여름에 가뭄이 들면 하늘에 기우제를 지냈다. 기우제는 이미 사라진 지 오래되었지만, 당산제와 산신제 정초에 마을 단위로 간략하게 지내는 곳이 아직 남아 있다.

경상남도 함양 지역에서 놀이와 관련하여 민간 신앙의 뿌리 깊은 놀이는 줄다리기와 디딜방아 훔치기이다. 둘 다 농경문화와 관련한 풍속이며 놀이이다. 줄다리기의 경우 암줄과 수줄을 만들어 암줄이 이겨야 그해 풍년이 든다고 믿었고, 디딜방아 훔치기는 다른 마을의 디딜방아를 훔쳐 오는 데 성공하면 마을에 풍년이 든다고 믿었다. 두 놀이 모두 마을 단위의 놀이로 한 해의 농사를 점치는 역할을 했을 뿐 아니라, 풍년을 기원하는 마음이 담긴 놀이라고 할 수 있다.

그 외 금기들도 있는데, 특히 정월은 한 해의 시작이기 때문에 금기가 많다. 섣달그믐에 잠을 자면 눈썹이 하얗게 센다든지, 야광귀에게 신발을 빼앗기지 않기 위해 신발을 숨겨 놓아야 한다는 금기도 있었다. 또한 새해 복조리를 사면 복이 들어온다고 하여, 마을마다 복조리 장수가 다니면 집집마다 복조리를 사서 걸어두었다. 정월 보름에 하는 달집태우기는 달집을 태우면서 속옷을 함께 태워 액운을 함께 없앤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참고문헌]
  • 『함양군사』 (함양군사편찬위원회, 2012)
  • 인터뷰(휴천면 한남마을 전 이장, 박찬조, 남, 69세, 2018)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