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3000117 |
---|---|
한자 | 交通 |
영어음역 | Gyotong |
영어의미역 | Transportation |
분야 | 지리/인문 지리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서울특별시 구로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손승호 |
[정의]
서울특별시 구로구에서 이루어지는 사람과 물자의 이동과 이를 원활하게 해주는 도로와 철도 등의 주요 시설물.
[개설]
구로구는 서울의 남서부에서 서울과 서울 이외의 지역을 연결하는 길목에 자리하고 있었기 때문에 예로부터 교통·통신의 요지였다.
[도로]
도로는 국도와 지방도로 살펴볼 수 있다. 국도는 서울에서 구로구 남쪽의 광명시로 연결되는 국도 1호선과 서울에서 부천을 지나 인천으로 연결되는 국도 46호선 경인국도 등 2개 노선이 있다. 이들 두 국도는 구로구를 각각 남북 방향과 동서 방향으로 관통한다.
과거에는 경인로라고 불렸던 경인국도는 경인선 철도가 개통되기 이전까지 서울과 인천을 연결하는 유일한 육상 교통로였다. 경인로는 자동차 운수 사업이 활발해짐에 따라 영등포와 인천 사이에서 더욱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게 되었다. 서울의 남부 지역을 동서로 연결시켜주는 남부순환로와 안양천을 따라 남북 방향으로 이어지는 서부간선도로가 구로구를 통과한다.
[철도]
철도는 서울에서 부산으로 이어지는 경부선 철도와 인천으로 이어지는 경인선 철도가 구로구를 통과하며 경부선과 경인선은 구로역에서 분기한다. 경인선은 우리나라 최초로 건설된 철도로 1899년에 인천의 제물포에서부터 서울의 노량진까지 운행했으며, 구로는 그 중간 지점에 해당하였다. 경인선을 이용하여 서울과 인천을 오가는 여객이 증가함에 따라 1971년부터 경인선 철도의 전철화 사업이 진행되었다. 그리고 경부선 철도는 1905년에 운행을 시작한 철도로 서울에서 부산까지 이어지며, 2005년에는 경부고속철도가 개통되었다.
[전철]
전철은 지하철 1호선·서울지하철 2호선·서울지하철 7호선이 구로구를 통과한다. 지하철 1호선은 서울의 중심부와 인천을 연결시켜주며, 서울지하철 2호선은 서울의 강남 지역과 강북 지역을 연결시켜주고 서울지하철 7호선은 서울의 동북부와 서울의 남서부를 연결하는 교통로에 해당한다.
지하철 1호선이 구로구에서 정차하는 역으로는 개봉역·구일역·구로역·신도림역이 있다. 서울지하철 2호선의 역으로는 구로디지털단지역·대림역·신도림역이 있으며, 서울지하철 7호선의 역으로는 7호선의 종점인 온수역을 비롯하여 천왕역·남구로역·대림역 등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주요 간선 교통로를 통해 보면 구로구는 서울 남서부의 주요한 교통 중심지일 뿐만 아니라 서울로 진입하는 관문 역할을 하는 교통의 중심지 역할을 수행하는 지역에 해당한다.
[자동차 등록]
구로구에 등록된 자동차는 2008년 말 현재 135,862대로 서울시 전체의 4.63%를 차지하고 있다. 이는 110,678대로 서울시에서 4.1%를 차지했던 2002년과 비교하면 서울시의 다른 지역에 비해 구로구의 자동차 동록대수의 증가율이 다소 높아졌음을 보여주는 것이다. 등록된 자동차 가운데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는 것은 승용차로 107,933대에 달하며 이어서 화물차가 18,713대, 2륜차가 12,901대, 승합차가 9,100대 등의 순이다. 그리고 자가용은 114,326대이다.
[교통시설물]
2008년 1월 현재 구로구의 교통 시설물은 462개가 설치되어 있다. 도로 안내 표지판이 가장 많은 209개를 차지하며, 다음으로 버스 정류장 표지판 133개, 버스 승차대 67개소, 자전거 보관소 41개소, 택시 승차대 12개소 등의 순이다. 도로 안내 표지판은 경인로에 44개가 설치되어 있으며 구로큰길에 17개소, 가마산길에 15개소, 구로동길에 10개소 등이 설치되어 있다.
[통행패턴]
서울특별시에서 발생하는 총 통행량에 기초하여 통행 패턴을 추출한 연구에 따르면, 구로구는 인접한 영등포구·관악구 등지와 함께 서울시에서 제2의 통행권을 형성한다. 인구 밀집 지역인 구로동이 주요한 출발지로 기능하며, 구로동과 신도림동 등지는 주요한 도착지로 기능한다. 사람과 물자의 이동에 의한 지역 구조를 살펴보면, 구로구는 서울시에서 뿐만 아니라 수도권에서 중요한 교통의 결절점 역할을 수행한다. 특히 서울의 남서부에서 주변 지역과 서울을 연결시켜주는 결절점으로서의 기능이 강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