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삼자뱅이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601594
한자 三字-
영어음역 Samjabaengi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북도 김제시
집필자 박진화

[정의]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이사나 신행을 갈 때 운이나 신수가 나쁜 사람이 행하는 방법.

[개설]

삼자뱅이는 이사 운이 없는 사람이 이사를 갈 때 재난에서 벗어나고자 시행하거나, 신수가 나빠서 삼자가 든 사람이 신행을 할 때 위험에서 벗어나고자 정성을 드리는 뱅이이다. 굿이란 무당이 제물과 가무와 소원을 동반하여 신과 함께 자리하고 소통하는 큰 규모의 무속 제의이다. 반면에 뱅이·치성·비손·고사·기도 등은 각각의 필요와 형편에 따라 실현되는 작고 다양한 형태의 무속 제의이다.

‘뱅이’는 기도나 비손과는 달리 은밀한 소원성취를 위해서 취하는 직접적인 주술적 수단을 말한다. 뱅이는 방자·방법·비방 등이라고도 한다. 뱅이는 남을 위해하기 위한 부정적인 목적으로 쓰이기도 하지만, 배우자의 바람을 잡거나 상대를 떨어지게 하기 위해 혹은 처분이 잘 안 되는 물건을 속히 매매하기 위해 긍정적으로 쓰이기도 한다. 뱅이의 종류에는 삼자뱅이, 하루사리뱅이 등이 있다. 삼자뱅이의 형태에는 이사할 때와 신행할 때의 두 가지가 있다.

[이사할 때 삼자뱅이]

이사 운이 없는 사람이 이사를 갈 때 하는 뱅이이다. 아주까리대로 디딜방아를 만들어서 삼색 실[빨강·노랑·파랑]로 잔등을 동여서 그 집안의 대주(大主)가 먼저 가지고 가서 이사든 집 큰 방 상량에다 못을 박고 걸어 놓으면 재난을 면할 수 있다고 한다.

[신행할 때 삼자뱅이]

신행을 할 때 신수가 나빠서 삼자가 들면 계란에다 삼자(三字: 地·土·天)를 써서 신부가 들어오는 방문 바로 집시랑 처마 밑에다 파묻고 그 곳으로 데려오면 삼자를 면한다고 한다. 이때는 가마가 들어오기 전에 사립문이나 대문 밖에다 장만한 음식을 차려 놓고 단골[무당]을 데려다가 행치 물림을 해야 한다.

[참고문헌]
  • 『김제시사』 (김제시사편찬위원회, 1995)
  • 전주한옥마을(http://hanok.jeonju.go.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