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2601583
영어의미역 Exorcism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전라북도 김제시
집필자 박진화

[정의]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무당이 인간의 길흉화복을 위해 행하는 무속 제의.

[개설]

굿이란 무당이 원시종교적 관념에 따라 제물과 가무와 소원을 동반하여 신과 함께 자리하고 소통하는 큰 규모의 무속 제의이다. 음식을 차려 놓고 노래를 부르며 춤도 추면서 귀신에게 인간의 길흉화복을 조절하여 달라고 빈다.

[종류]

굿은 목적에 따라서 개인굿과 공동체를 위한 마을굿이 있다. 개인굿으로는 천신굿·안택굿·재숫굿·성주굿·삼신굿·병굿·조상굿·염탐굿 등이 있다. 천신굿은 천지제신을 모시고 발복을 염원하는 것이고, 안택굿은 우환을 없애고 가택의 안전을 기원하는 굿이다. 재수굿은 사업의 번창이나 재물의 번성을 위한 것이고, 성주굿은 주택의 신축이나 개축 후에 안녕을 기원하는 굿이다. 또한 삼신굿은 구자득손을, 병굿은 병의 치료를, 조상굿은 죽은 이의 천도를, 염탐굿은 혼례 등 대사를 앞두고 잘 되기를 기원하는 굿이다.

동신제는 마을의 안녕과 무사를 빌기 위한 공동 제의로써 기일이 되면 온 동네 사람들이 푼푼이 걸립을 하고 제관을 뽑아 준비를 하는 것이 특징이다. 이러한 과정은 주민들이 대동단결하는 계기가 된다. 마을굿의 유형으로는 당산제·신굿·수륙재 등이 있다. 그러나 신굿이나 수륙제는 지금은 그 맥이 완전히 끊긴 상태이다. 현재 전북 지역에서 단골이 마을의 사제자가 되어 마을굿을 행하는 곳은 정읍시 오성리의 두닢마을이 유일하다.

이밖에도 강신무가 신을 받아 모시는 내림굿[허주굿·가릿굿·솟을굿], 무당의 신들을 위해 바치는 진적굿 등의 무당만을 위한 특수한 형태의 굿도 있다.

[절차]

굿이 필요하다고 제가의 뜻과 합의가 되면 먼저 그 규모와 날짜를 정한다. 굿의 규모는 비용을 대는 사람의 형편에 따라 다르며, 날짜는 식구들의 생기복덕을 가려 이로운 날로 택일한다. 화급을 요하는 굿은 택일의 과정 없이 당일에 준비하여 진행되기도 했지만 요즘은 그런 일이 거의 없다.

굿을 하게 된 제가에서는 택일 날짜 이전에 비용을 무당에게 전달한다. 그리고 무당의 신당이나 제가집의 조왕에다가 백미를 바치고 촛불을 밝히거나 청수를 바치면서 굿을 올리게 된 사연을 고한다. 조례를 잡고 나서는 무당이나 제가집 모두 부정한 것을 가리고 신을 맞이할 심신을 준비한다. 육어류의 음식을 금하고 상갓집이나 임산부를 보지 않고 살생하지 말아야 하며, 부부간의 동침도 피해야 할 정도로 신령을 모시는 자리가 깨끗하고 맑아야 한다.

무당은 특히 제가의 소원성취를 위해 신을 향한 기도를 그치지 않으며, 비용을 적절히 배분하여 필요한 제물을 정성껏 마련한다. 지화와 신복·무구 등 굿에 필요한 물품을 챙기고, 굿에 필요한 제관만신의 섭외와 장소도 결정한다. 굿 당일에는 준비된 제물로 드디어 제가집과 무당, 굿청 등이 어우러져 한바탕 굿판이 벌어지게 된다.

[구성]

굿은 통상적으로 ‘열두거리’로 구성되고, 거리거리마다 성격이 어우러지는 신령들을 한 거리에 모아 한 무당이 주관한다. 각 거리마다 모셔지는 신이 다르며, 한 거리 한 거리 진행되어짐에 따라 결국은 무속에서 모시는 신들이 모두 굿판에 참여하게 된다.

무당굿은 규모와 상황에 따라 굿의 성격이 다른 굿거리와 결합하기도 한다. 집안에서 무당굿을 연행할 때는 조왕·천륭·성주·지신 등을 위한 가택굿이 크게 강화되지만, 집 바깥에서 굿을 연행할 때는 가택굿은 간략히 축소되고 집 바깥 신들을 위한 굿거리가 첨가되고 강화된다. 굿의 목적에 부합되는 핵심 굿거리가 굿 전체를 대표하는 굿 명칭이 된다. 굿의 핵심 굿거리에서는 거기에 합당한 무구를 갖추고 각종 제의적 행위를 펼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