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2601582 |
---|---|
한자 | 巫- |
영어음역 | Mugut |
이칭/별칭 | 당골굿,무당굿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
지역 | 전라북도 김제시 |
집필자 | 박진화 |
[정의]
전라북도 김제 지역에서 단골이 무악의 반주에 따라 노래하고 춤추면서 제의를 진행하는 굿.
[개설]
무굿은 사제자인 단골이 무악의 반주에 따라 노래하고 춤을 추면서 제의를 진행하는 굿이다. 이를 ‘당골굿’, ‘무당굿’ 등이라고도 한다. 고대국가의 영고·무천·동맹·오월제 등의 제천의식이 오늘날 별신굿·대동굿·당제 등과 같은 무교적인 제전으로 전승되는 것은 민족의 문화 현상이다. 무굿은 전통성과 지방성을 가지고 전문 기능인들이 주제하는 민간신앙으로 민속예능의 살아 있는 자료이다.
[무굿의 종류]
굿은 큰 굿과 작은 굿으로 구분된다. 큰 굿은 여러 굿을 종합한 극락천도를 위한 굿이고, 작은 굿은 기자·초복·치병을 위한 굿이다. 또한 집안굿과 바깥굿으로 나눌 수 있다. 집안굿으로는 가정의 안녕과 번영을 기원하는 성주굿, 자손의 행운과 명복을 비는 제석굿, 해원송령굿인 오구굿, 죽음의 살을 씻어 극락으로 보내는 씻김굿 등을 들 수 있다. 바깥굿으로는 마을굿인 별신굿, 풍어를 비는 용왕굿 등이 있다.
[김제 지역의 무굿]
종교적인 믿음이 강한 김제 사람들은 마을의 안녕과 풍농·풍어를 기원하는 당제와 갯제, 가족과 개인의 안녕을 비는 무굿 등 많은 종교의례를 행한다. 김제시 일원에서 가장 많이 행해지는 씻김굿은 원한을 갖고 죽어 이승을 떠도는 영혼의 한을 씻겨 주어 극락왕생 하도록 기원하는 천도굿이다. 곽머리 씻김굿은 사람이 죽었을 때 방에 관을 두고 출상하기 전날 밤 마당에서 하는 굿이고, 날받이 씻김굿은 집안에 궂은 일이 있을 때 단골의 지시를 받아 행하는 굿이다. 혼맞이굿은 교통사고 등으로 사고를 당한 경우에 하는 굿이고, 영화굿은 집안에 경사가 있거나 비를 세울 때 조상을 위해 하는 굿이며, 저승혼사굿은 처녀총각으로 죽은 영혼들의 결혼을 위한 굿이다.
[현황]
현대에는 미신을 불신하는 풍조와 기독교 전파의 영향으로 무속이 배격되고, 또한 일부 무속은 기독교식으로 바뀌기도 했다. 당제와 같은 공동체 제사는 점점 사라지고 있으며, 성주굿은 상량예배나 준공예배로 대체되고 있다. 그리고 과거 단골이 하던 역할은 교회의 목사나 전도사의 몫으로 전환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