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000688 |
---|---|
한자 | 鄭坰兌 |
영어공식명칭 | Jeong Gyeongtae |
이칭/별칭 | 석암(石菴),정영옥 |
분야 | 문화·교육/문화·예술 |
유형 | 인물/예술인 |
지역 | 전라북도 부안군 주산면 사산리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김창주 |
출생 시기/일시 | 1916년 2월 7일 - 정경태 출생 |
---|---|
수학 시기/일시 | 1930년 - 정경태 주산보통학교 졸업 |
수학 시기/일시 | 1931년 1월 - 정경태 시조창 입문 |
수학 시기/일시 | 1934년 - 정경태 임재희[가사] 사사 |
수학 시기/일시 | 1936년 - 정경태 진문규[여창 가곡] 사사 |
수학 시기/일시 | 1936년 - 정경태 이병재[남창 가곡과 12가사] 사사 |
활동 시기/일시 | 1946년 - 정경태 『조선 창악보』 발간 |
활동 시기/일시 | 1948년 10월 - 정경태 전주명륜대학교 전임 강사 부임 |
수학 시기/일시 | 1950년 - 정경태 임석윤[거문고회상] 사사 |
수학 시기/일시 | 1950년 - 정경태 김용근[현금가곡] 사사 |
활동 시기/일시 | 1952년 - 정경태 김제여자고등학교 교사 재직 |
활동 시기/일시 | 1953년~1958년 - 정경태 전주고등학교 교사 |
활동 시기/일시 | 1953년 10월 - 정경태 전주국악원 창설 |
활동 시기/일시 | 1955년 11월 - 정경태 『국악보』발간 |
활동 시기/일시 | 1963년 - 정경태 『가곡 선율선보』발간 |
활동 시기/일시 | 1963년 10월 - 정경태 대한시우회 창립 |
활동 시기/일시 | 1965년 10월 - 정경태 전국 시조 가사 가곡 경창 대회 개최 |
활동 시기/일시 | 1975년 7월 12일 - 정경태 국가 무형 문화재 제41호 가사 기예능 보유자 지정 |
활동 시기/일시 | 1980년 8월 - 정경태 대한정악회 창립 |
활동 시기/일시 | 1981년 2월 - 정경태 대한시우회관 건립 |
활동 시기/일시 | 1985년 - 정경태 『김립 시집 직역본』,『석암 병서 화제집』발간 |
활동 시기/일시 | 1985년~1993년 - 정경태 우석대학교 국악과 강사 |
활동 시기/일시 | 1990년 - 정경태 대한시우회 이사장 취임 |
활동 시기/일시 | 1997년 10월 20일 - 정경태 대한민국 보관문화훈장 수훈 |
활동 시기/일시 | 2000년 12월 - 정경태 KBS 국악 대상 수상 |
활동 시기/일시 | 2001년 11월 16일 - 정경태 제8회 방일영 국악상 수상 |
몰년 시기/일시 | 2003년 12월 31일 - 정경태 사망 |
추모 시기/일시 | 2006년 - 석암 정경태 시비 건립 |
출생지 | 정경태 출생지 - 전라북도 부안군 주산면 사산리 |
거주|이주지 | 정경태 거주지 - 전라북도 부안군 주산면 사산리 |
묘소 | 정경태 묘소 - 전라북도 부안군 주산면 |
성격 | 예능 보유자|가곡·가사 명인 |
성별 | 남 |
본관 | 진주(晋州) |
대표 경력 | 대한시우회 이사장|국가 무형 문화재 제41호 가사 예능 보유자 |
[정의]
부안 출신의 가곡·가사 명인.
[활동 사항]
정경태(鄭坰兌)[1916~2003]의 본관은 진주(晋州)이며, 호는 석암(石菴)이다. 1916년 2월 7일 전라북도 부안군 주산면 사산리에서 태어났다. 12세에 나이봉 문하에서 한문과 서예를 수학하고 14세에 정도경 문하에서 사서삼경(四書三經)과 시문을 배웠다. 1930년에 주산보통학교를 졸업하였다. 1931년 1월 시조창에 입문하여 오성현, 김춘경에게 배웠다. 1932년에 전라북도 고창의 이도삼에게 사설시조를 배우면서 시조 백여 수를 기록하였다. 1933년에 전라북도 고창군 무장의 오윤명에게 「상사별곡」과 「처사가」를 배우고, 장성의 안계향에게 사설지름시조를 배웠다. 1934년에는 임재희 문하에서 「권주가」·「어부사」·「처사가」·「양양가」 등을 배웠다.
1936년에 전라북도 정읍의 죽민 전계문에게 긴여창 가곡, 진문규에게 여창 가곡(女唱歌曲), 이병재에게 남창 가곡(男唱歌曲)과 12가사(歌詞)를 배웠다. 1939년에 서울로 올라가 이병성에게 정가를, 1941년에는 전라북도 부안에 내려온 이병성에게 여창 가곡 두 바탕과 남창 가곡 두 바탕을 배웠다. 이후 3년간 독공(獨功)[득음을 위하여 토굴 또는 폭포 앞에서 하는 발성 훈련]을 하며 시조의 음률을 통달하였다. 1944년에 금사 김용근의 초청으로 전라북도 정읍시 신태인으로 가서, 가곡을 가르쳐 주는 조건으로 춤을 배우게 되었다. 1946년 『조선 창악보』를 발간했고, 부안농업고등학교의 국어 교사로 재직하였다. 1948년 10월 전주명륜대학교[전북대학교의 전신]의 전임 강사로 부임하였다.
1950년 임석윤에게 거문고 회상을, 김용근에게 현금 가곡(玄琴歌曲)[현금은 거문고를 말함]을 배웠고, 1952년에는 김제여자고등학교 교사로 재직하였다. 1953년부터 3년간 전주고등학교 국어 교사로 재직하면서, 1953년 10월 전주국악원을 창설하였다. 1955년 11월 국악의 악보를 집대성한 『국악보』를 발간하였다. 이후 국악 보급과 연구를 하며 1963년 『가곡 선율선보』를 발간하였다. 같은해 10월 학술 단체 대한시우회를 창립하고 초대 회장으로 취임하였다.
1965년에 전국 시조 가사 가곡 경창 대회를 개최하였다. 같은 해 경상남도 포항에서 첫 시화 서예전을 개최하고, 1971년 제2회 시화 서예전을 전라남도 해남 양지 다방에서, 1972년 제3회 시화 서예전을 대한시우회 영주지회 초대로 경상북도 영주 청자 다방에서 개최하였다. 1975년에 국가 무형 문화재 제41호 가사 기예능 보유자로 지정되었다. 1977년에 제4회 시화 서예전은 대전, 제5회 시화 서예전은 전라남도 구례, 1978년 제6회 시화 서예전은 전라남도 여수, 1980년 제7회 시화 서예전은 부산에서 개최하였다.
1980년 8월 대한정악회를 창립하고 초대 회장으로 취임하였다. 1982년 제8회 시화 서예전을 서울 예총화랑에서 개최하였는데, 이때 정건, 정섭과 함께 삼정삼절(三鄭三絶)이란 절찬을 받았다. 1985년부터 1993년까지 우석대학교 국악과 강사로 재직하였다. 2003년 12월 31일 사망하였다.
[저술 및 작품]
저서에는 『조선 창악보』[1946], 『국악보』[1955], 『가곡 선율선보』[1963], 『(증보 주해(增補註解) 선율선 시조보(旋律線時調譜)』[1981], 『김립 시집 직역본』[1985], 『석암 병서 화제집』[1985], 『고금 천문학(古今天文學)』[1988], 『만방 길흉결(萬方吉凶訣)』[1988], 『한자 성인 원리(漢字成因原理)』[1996], 『석암 시문집』[1998] 등이 있다. 시조의 선율선(旋律線) 악보를 창안하여 전국의 시조를 정리하였으며, 석암제 시조를 전국에 널리 보급하여 시조 대중화에 크게 기여하였다.
[묘소]
묘소는 전라북도 부안군 주산면에 있다.
[상훈과 추모]
1997년에 대한민국 보관문화훈장을 수훈하였고, 2000년에 KBS 국악 대상 공로상, 2001년에 제8회 방일영 국악상을 수상하였다. 2004년 국악협회 부안지부는 새만금 방조제에서 석암 정경태 시조 한마당 공연을 개최하였다. 2006년에 한국예술문화단체총연합회 부안지부는 『석암 정경태 선생의 생애와 정가』를 발간하였다. 2006년부터 매년 전라북도 부안군에서는 석암제 전국 시조 경창 대회를 개최하고 있다. 2006년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에 있는 부안호 문학 동산에 석암 정경태 시비가 건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