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000007
한자 邊山半島
영어공식명칭 Byeonsanbando Peninsula
분야 지리/자연 지리
유형 지명/자연 지명
지역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진서면|보안면|상서면|하서면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조성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전구간 변산반도 - 전라북도 부안군
해당 지역 소재지 변산반도 -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지도보기
해당 지역 소재지 변산반도 - 전라북도 부안군 진서면
해당 지역 소재지 변산반도 - 전라북도 부안군 보안면
해당 지역 소재지 변산반도 - 전라북도 부안군 상서면
해당 지역 소재지 변산반도 - 전라북도 부안군 하서면
성격 반도

[정의]

전라북도 부안군의 남서부에 해당하는 지역으로 북쪽에는 동진강, 남쪽에는 곰소만 사이에 서쪽으로 삐죽 나온 반도.

[개설]

변산반도(邊山半島)는 행정 구역으로는 부안군 변산면, 진서면을 중심으로 보안면, 상서면, 하서면에 해당하는 산지 지역이다. 변산반도는 산지 지역인 내변산과 해안 지역인 외변산으로 구분하고 있다. 이 중 내변산 지역은 부안군 변산면중계리상서면청림리에 해당하고, 외변산은 주로 변산면의 서부 해안 지역을 의미한다.

하천은 부안군 상서면 분수계에서 시작된 백천이 서쪽과 북쪽으로 흘러 봉래 계곡에서 흐르는 물과 합쳐지고 중계 계곡과 부안 댐을 거쳐 해창에서 새만금 지역으로 유입된다. 백천 이외의 하천은 부안군 보안면, 상서면, 하서면내변산의 외부로 흘러간다. 변산반도는 지질적으로는 백악기(白堊紀)의 화산 활동에 의한 유문암(流紋巖)과 응회암(凝灰巖) 등의 화산암류로 이루어져 있으며, 단층선은 말재[86m]와 바드재[180m] 주변의 두 곳에서 남북 방향으로 나타난다.

[명칭 유래]

변산(邊山)이라는 지명은 삼한(三韓)의 하나인 변한(卞韓, 弁韓)에서 유래하였다는 설과 가장자리와 끝을 의미하는 변(邊) 자에 산(山) 자가 결합되어 바다 쪽으로 삐죽 나온 산이 많은 반도 지역을 의미한다는 설이 있다. 기록상에서 ‘변’ 자는 한자로 변(邊) 또는 변(卞)이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다.

[자연환경]

1. 내변산 지역

변산반도내변산 지역은 북쪽에서부터 최고봉인 의상봉[508.6m]을 중심으로 북옥녀봉[354.7m], 동쪽으로는 우금산[329.0m]과 상여봉[395.0m], 남쪽으로는 남옥녀봉[434.4m]과 신선봉[488.2m], 서쪽으로는 망포대[494.1m]와 쌍선봉[460.7m] 등으로 둘러싸여 있다. 그 한가운데를 백천이 동쪽에서 서쪽 방향으로 흐르고 있다.

변산반도의 산지는 백천 유역을 둘러싸고 있다. 북쪽에는 변산반도에서 가장 높은 의상봉, 쇠뿔 바위, 북옥녀봉으로 연결되는 북부 산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동부에는 우슬재[120m]에서 바드재 사이의 산지로 우금산, 상여봉 등이 있다. 남부에는 바드재에서 말재에 이르는 산지가 형성되어 있으며 남옥녀봉, 용각봉[370.0m], 세봉[433.0m], 관음봉[424.5m], 신선봉, 갈마봉[486.4m], 갑남산[413.4m] 등이 있다. 서부에는 망포대, 분초대[422.0m], 낙조대[447.0m], 쌍선봉 등의 산지가 있다.

변산반도에서 가장 높은 산은 북부에 있는 의상봉이며, 400m 이상의 산지로는 망포대, 신선봉, 갈마봉, 쌍선봉, 낙조대, 남옥녀봉, 세봉, 관음봉, 분초대, 갑남산 등이 있다. 그리고 백천 유역 내부에는 삼예봉[355.0m], 덕성봉[332.0m], 천종산[266.4m], 군관봉[294.0m], 선인봉[264.0m] 등이 있다. 이러한 백천 유역 내의 산지는 회양 계곡봉래 계곡과 중계 계곡을 형성하면서 다양한 하천 지형을 보여 주고 있다. 백천 유역에는 상류 지역인 부안군 상서면 청림리에 하천 유역의 평지가 약간 있지만, 백천을 따라 좁은 평지를 형성할 뿐 평탄지가 적다. 현재 중계 계곡은 부안 댐[1996년]에 의해서 수몰 지역이 되었다.

그리고 단층 지역은 동부 바드재의 남북 방향과 서부 말재의 남북 방향으로 두 곳이 관찰되고 있다. 백천 유역 내부와 외부를 연결하는 고개로는 동부에서부터 우슬재, 학치[140m], 사창재[220m], 바드재, 재백이 고개[160m], 말재, 남여치[100m], 중계 터널[120m] 등이 있다.

2. 외변산 지역

바다와 면해 있는 외변산 지역은 북서부 해안, 서부 해안, 남부 해안의 세 개 권역으로 구분할 수 있다. 북서부 해안은 변산 해수욕장, 고사포 해수욕장 등 퇴적 해안과 사빈 해안이 우세하며, 썰물 때 걸어서 갈 수 있는 하섬이 있다. 서부 해안은 격포 해수욕장이 있지만 주로 암석 해안으로 침식 작용이 활발한 적벽강채석강 등이 있다. 남부 해안은 상록 해수욕장, 모항 해수욕장과 갯벌 등의 퇴적 지형과 솔섬 같은 침식 지형이 혼재되어 나타나고 있으나, 남부 해안은 변산반도 국립 공원 지역에서 제외되어 있다. 작용하는 힘에 의해서는 암석 해안 지역에는 주로 침식 작용이 주를 이루고, 사빈 해안에는 퇴적 작용이 주를 이룬다.

해안 지형은 구성 물질에 따라 암석 해안과 사빈 해안으로 구분할 수 있는데, 암석 해안은 기반암이 노출된 지역으로 해식애(海蝕崖), 해식동(海蝕洞), 파식대(波蝕帶), 시스택(sea stack), 시아치(sea arch), 노치(notch), 마린 포트 홀(marine pot hole), 해안 타포니[coastal tafoni] 등의 지형이 나타난다. 변산반도에서는 주로 서부 해안인 채석강적벽강, 대항리 해변에서 암석 해안이 나타난다. 그리고 사빈 해안에는 모래 해안, 패사 해안, 사주, 사구, 사취, 연안 사주, 육계사주, 육계도, 비치 리지, 범, 석호, 해안 사구, 사구 습지 등의 지형이 나타난다. 변산반도에서는 북서부의 변산 해수욕장고사포 해수욕장, 남부의 모항 해수욕장상록 해수욕장 해변에서 사빈 해안이 나타난다.

3. 변산반도의 하천과 계곡

변산반도에서 가장 물이 풍부하고 하천 지형이 다양하게 발달한 곳은 내변산 지역의 백천 유역이다. 백천변산반도의 동북쪽 우슬재에서 시작하여 서북쪽 변산교 방향으로 흘러 새만금 지구를 거쳐 서해로 흘러간다[본류 약 18㎞]. 백천 유역은 내변산에 해당하며, 중계 계곡[봉래 계곡], 회양 계곡[와룡소 계곡, 가마소 계곡] 등이 형성되어 있다.

내변산 지역은 동쪽에서 서쪽으로 흐르는 백천 수계에 해당하며, 하류에는 부안 댐이 건설되어 있다. 동쪽에서 서쪽으로 흐르는 백천우슬재 서쪽에 있는 가는골 저수지에서 시작되어 서남쪽으로 흐르다가, 부안군 상서면 청림리에서 남쪽에서 흘러오는 거석천[거석제, 청림제]과 합류하고, 더 서쪽으로 흘러 중계교 부근에서 역시 남쪽에서 흘러오는 가마소천[회양 계곡]과 합류하고, 중계교 서쪽에서는 역시 남쪽에서 흘러오는 직소천과 합류한다. 그리고 북쪽에서는 의상봉과 쇠뿔 바위 사이의 계곡인 구시골의 물이 합류한다.

지류들을 합류한 백천은 서쪽으로 흘러 부안 댐에서 멈추다가, 해창만의 변산교에서 서해안의 새만금 방조제로 유입된다. 백천으로 흐르는 하천들은 주로 백천의 남쪽에서 흘러오는데 직소천에서는 봉래 계곡, 가마소천에서는 회양 계곡, 백천 본류에서는 중계 계곡을 형성하고 있다. 백천 수계는 북쪽과 남쪽에 400m급의 산지로 둘러싸여 있고, 백천 계곡과 외부를 연결하는 고개로는 동쪽에는 우슬재, 남쪽에는 바드재와 재백이 고개, 서쪽에는 남여치 등이 있다.

내변산 내부는 백천의 단일 수계로 이루어져 있지만, 내변산 외부의 수계는 내변산을 중심으로 동서남북의 4개 방향으로 구분할 수 있다. 먼저 북쪽은 부안군 하서면 백련리[문수제, 금광제], 석상리, 상서면 통정리 등 분수계를 중심으로 북쪽으로 흐르는 지류들이 있다. 동쪽은 부안군 상서면 가오리, 감교리[개암제, 사산 저수지], 보안면 남포리 신창천[영전 저수지]으로 상서면보안면의 경계를 이루는 호벌치를 분수계로 하여 상서면의 물은 북쪽으로, 보안면의 물은 남쪽으로 흐른다. 남쪽은 부안군 보안면 우동리[우동제], 진서면 진서리[연동제], 석포리[석포천, 석포제], 운호리[운호 저수지, 말재] 지역으로 남쪽으로 흐른다. 서쪽은 부안군 변산면 대항리, 격포리의 종암 방죽, 마포리유유제, 운산리의 운산제 등이 있다.

백천의 지류는 북쪽 의상봉과 쇠뿔 바위에서 남쪽으로 흐르는 구시천[구시골]을 제외하고는 모두 남쪽에서 북쪽으로 흐른다. 먼저 남쪽의 바드재와 학치에서 시작하는 거석천은 거석제와 청림제의 인공 저수지를 거쳐 북서 방향으로 흘러 부안군 상서면 청림리 거석교에서 백천과 합류한다. 하천 주변에는 하천 퇴적물로 평탄지가 형성되어 마을과 농경지가 있으며 바드재를 통하여 부안군 상서면 청림리보안면 우동리를 연결하는 군도가 개설되어 있다. 그러나 평탄지로 되어 있어 하천 지형의 발달은 미미하다.

회양 계곡[와룡소 계곡, 가마소 계곡]은 용각봉과 남옥녀봉 사이의 계곡물이 서쪽으로 흐르는데, 이 물은 세봉에서 시작된 가마소 계곡과 가마소에서 합류하여 북쪽으로 흘러 군관봉과 천종산의 사이를 지나 백천으로 유입된다. 이 계곡에는 와룡소 폭포와 가마소 폭포 등의 폭포와 소 등 다양한 하천 지형이 발달해 있다.

봉래 계곡직소천은 망포대와 신선봉에서 시작되어 동쪽으로 나아가다가 북쪽으로 흐르는데 폭포와 소 등을 9개 형성하면서 중계교 부근에서 백천과 합류한다. 봉래 계곡은 9개의 하천 지형으로 인하여 봉래 구곡[대소 폭포, 직소 폭포, 분옥담, 선녀탕, 봉래곡, 영지, 금강소, 백천, 암지]이라고도 한다. 봉래 계곡백천의 지류 중 수량이 가장 많고 고도 차이[구배]가 커서 가장 다양한 하천 지형이 나타나고 있다.

백천 출구의 부안군 변산면 중계리 군막동에는 부안 댐이 축조되었다. 부안 댐의 높이는 47m, 길이는 330m, 유역 면적은 58㎢이며, 저수량은 4,200만㎥이다. 용수 공급량은 3,600㎥으로 1996년 11월 6일 완공되어 주로 부안군 및 고창군의 상수원과 영광군 한빛 원자력 발전소의 용수로 사용하고 있다. 그 이전에는 봉래 계곡에 있는 직소보[직소 폭포~분옥담 사이]가 식수 공급처의 역할을 하였다.

변산반도 수량의 80% 이상이 내변산을 흐르는 백천 유역으로 모이지만, 내변산 지역에는 평탄지가 적어 농경지와 마을이 적다. 이에 비하여 백천 유역 외부의 경우 농경지와 마을이 많기 때문에 농업용수가 많이 필요하지만 상대적으로 하천의 발달이 미미하여 수량이 부족하다. 따라서 부족한 물을 저장하여 이용하기 위해서 소규모 저수지를 많이 축조하였는데, 북쪽에 문수제, 금광제가 있고, 동쪽에 개암제, 사산 저수지, 영전 저수지가 있으며, 남쪽에 우동제, 연동제, 석포제, 운호 저수지가 있고, 서쪽에 종암 방죽, 유유제[마포 저수지], 운산제 등이 있다. 그러나 백천 유역 내부에는 가는골 저수지와 거석제, 청림제 등 세 개의 저수지와 부안 댐이 있다.

이러한 백천 유역과 바깥 지역 물 수급의 불균형을 해소하고 백천 유역 내부[내변산]의 물을 외부 지역에서 이용하기 위해서 거석천청림제[해발 고도 100m]를 만들고, 이 물을 남부의 우동제[해발 고도 40m, 1957년]로 유역을 변경하여 남부 지역의 농경지에 활용하려는 성계 지구 농업용수 사업이 시행되었다. 성계 지구 농업용수 사업은 해발 고도가 높은 백천 유역 내부[100m]에 댐을 축조하고 두 개의 지하 도수로[각각 길이 1,000m, 600m]를 뚫어 남쪽의 우동제로 물을 유역 변경시키는 사업으로 2008년에 완공되었다. 해발 고도 차이를 이용하여 물이 풍부한 백천 유역 내부의 물을, 물이 많이 필요한 남쪽의 농경지 지역으로 끌어들여 이용하는 방식으로, 이 지역의 지형 조건을 활용한 사업이다.

[현황]

부안군의 남서부에 있는 변산반도는 대부분 변산반도 국립 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변산반도 국립 공원의 위치는 동경 126° 37' 40"~126° 44' 20", 북위 34° 21' 40"~34° 47' 20" 범위이며, 면적은 153.934㎢이다. 1971년에 변산반도 도립 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1988년 6월 변산반도 국립 공원으로 승격되었다. 변산반도는 산지 지역인 내변산과 해안 지역인 외변산으로 구분하고 있다. 내변산에는 부안 실상사지(扶安實相寺址) 등 유적과 의상봉, 울금 바위, 직소 폭포, 선계 폭포, 가마소 등 경승지가 있다. 해안가에는 변산, 고사포, 위도, 모항, 상록, 격포 해수욕장이 있으며, 부안군 변산면에는 변산 온천이 있다. 그리고 천연기념물로는 부안 도청리 호랑가시나무 군락[천연기념물 제122호], 부안 격포리 후박나무 군락[천연기념물 제123호], 부안 중계리 꽝꽝나무 군락[천연기념물 제124호] 등이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