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102263
한자 五聖圖
이칭/별칭 「오현도」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경상북도 영천시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이상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706년 이전연표보기 - 윤두서 「오성도」 제작
현 소장처 호연정 유고각 - 경상북도 영천시 성내동 지도보기
성격 그림
작가 공재 윤두서
서체/기법 견사 묵화 5폭
소유자 병와공 종중
관리자 병와공 종중

[정의]

경상북도 영천시 호연정 병와유고각에 소장된 공재(恭齋) 윤두서(尹斗緖)가 그린 중국 5현의 초상화.

[개설]

병와(甁窩) 이형상(李衡祥)은 자신의 생질서이자 당대 최고의 화가인 공재 윤두서에게 기자(箕子)·주공(周公)·공자(孔子)·안자(顔子)·주자(朱子) 등 오성현의 묵화, 즉 「오성도(五聖圖)」를 그리게 하여 당시 영천 오수동에 있었던 성남서원 감실에 안치해 두고 매일 분향 추모하였다.

윤두서[1668~1715]의 본관은 해남, 자는 효언(孝彦), 호는 공재·종애이다. 윤선도의 증손이며 숙종 때 진사에 급제하였다. 글씨와 그림에 능하였는데 특히 인물, 동식물 등의 그림에 뛰어나 현재(玄齋) 심사정(沈師正)·겸재(謙齋) 정선(鄭敾)과 함께 조선의 ‘3재’라 불린다.

작품으로 「노승도」·「산수도」·「자화상」·「유하백마도」·「나물 캐는 여인」·「짚신 짜는 노인」·「동국여지지도」 등이 있다. 공재병와의 백씨인 이형징(李亨徵)이 청금록 사건으로 어려움에 처해 있을 때 생질녀인 형징의 딸을 데려다 키웠는데 윤두서의 계비로 취가하자 공재가 바로 병와의 생질서가 되었다.

병와는 또한 윤두서의 요청으로 제주도 박물지인 『남환박물지』를 지어서 주었을 뿐만 아니라 학문적으로도 끊임없이 소통하였다. 근기 남인(近畿 南人)계열에 있었던 식산(息山) 이만부(李萬敷)와 더불어 공재 윤두서공재의 동서 이옥(李沃)[1661~1698], 성호(星湖) 이익(李瀷),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모두 남인 실학계의 구성원이었다.

공재의 초취인 전주 이씨 부인 역시 지봉 이수광의 증손녀였으며 이씨 부인의 아버지인 이동규(李同揆)는 병와와 막역한 동학이었기 때문에 조선 후기의 실학파의 근원이라고 할 수 있다.

「오현도」 또는 「오성도」 역시 공재 윤두서의 「자화상」과 동일한 세필의 사실적 묘사와 화풍이 유사한 동시에 「십이성현화상(十二聖賢畵像)」을 통한 유교적 인간상을 사실적으로 묘사한 뛰어난 작품이다.

병와의 『행장록』에 따르면 “병술년 청유환가 시영귀계야(丙戌年 請由還家 是永歸計也) 〈중략〉사윤상사 두서 모오성진 안벽감 유시분향전배(使尹上舍 斗緖 摹五聖眞 案壁龕 有時焚香展拜)”라고 하여 윤두서가 그림 작품임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병와의 『언행록』에 “벽상괘 오성찬(기자 주공 공자 안자 주자)[壁上掛 五聖贊(箕子 周公 孔子 顔子 朱子)] 선병각이자부(순시)[扇柄刻二子符(順是)] 안유사우명 수곡괴석분 개유명이자경(案有四友銘 嗽哭怪石盆 皆有銘以自警)[벽에 다섯 성인(기자·주공·공자·안자·주자)의 찬을 걸어두고 부채 자루에는 두 글자의 부[順是]를 새겼으며 책상에는 사우(四友)의 명이 있고 수기에는 괴석분도 있는데 모두 명이 있어 그것으로 스스로를 경계하였다]”라는 기록이 있다.

『병와집』 권4 찬에 ‘오성찬’의 서문이 실려 있다. “나는 들으니 강릉에 부자(夫子)의 사당이 있고 해주에 청성사[백이 사당]가 있다고 한다. 그 이름을 사랑하고 그 곳을 존숭하는 것은 기류가 그리된 것이다. 내가 영천 성고에 우거하게 되었는데 이것이 대개 음이 공낙 사이에 두고 두 고을 이름과 같으므로 기·박·민이 멀지 않다는 생각이 있는데다가 또 일찍이 서여점·주남·빙산·누항·한천의 사이를 올라가 거닐어 보기도 하였다. 선비가 천년의 뒤에 태어나 그분들의 도학을 외우고 배우는 것도 다행인데 더구나 지명까지 서로 부합됨에랴. 이것이 오찬을 벽에 걸게 된 원인이다. 그리고 새벽이나 저녁으로 바라보고 사모하며 좌우로 조심하고 공경을 하면 엄한 스승이 엄연히 곁에 계신 듯하다. 나는 큰 제사라도 모신 듯 하노니 어찌 방구석에 부끄러움이 없게 할 뿐 이리요. 이것을 마음에 이르노라” 라고 하여 「오성도」를 마련하여 수신의 지표로 삼았음을 알 수 있다.

공재의 인물화 가운데 「오성도」와 더불어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십이성현도」·「심득경초상」·「자화상」도 동일한 화풍의 작품임을 확인할 수 있다.

[형태 및 구성]

현재 영천시 호연정 병와유고각에 보존되어 있는 「오성도」병와 이형상의 요청을 받고 공재 윤두서가 1706년 직전에 오성(五聖) 곧 기자·주공·공자·안자·주자의 화상을 명주 비단에 묵화로 그린 그림으로 43×21.6㎝ 크기이다.

5폭 모두 동일한 크기이고 배접한 괘도로 5인의 성현들은 모두 단독 입상의 그림으로 양손을 모으고 얼굴은 7분면 정도로 왼쪽으로 돌린 모습이다. 그림의 왼쪽 상단에는 성현의 명함을 표기했으며 각 인물들의 안면 묘사는 현재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십이성현화상」과 동일하기 때문에 공재의 작품임을 쉽게 판별할 수 있다.

[특징]

「오성도」공재 윤두서의 「십이성현도」·「심득경초상」·「자화상」과 더불어 뛰어난 인물화의 대표작이라고 할 수 있다. 특히 공재가 이와 같은 일련의 성현도를 제작한 것은 그의 유교적 인간상에 대한 존숭 의식이 반영된 것으로 판단된다. 공재가 그린 「오성도」는 공의 처삼촌인 병와 이형상의 요청으로 그린 것이라면 화첩으로 만든 「십이성현도」는 성호의 형인 이잠(李潛)의 요청에 따라 그린 작품이다. 이익의 『십이성현화상첩』에서 화첩으로 만든 경위를 소개하고 있듯이 당대의 유가에서 중국의 성현을 화도로 그려 존중하는 전통을 반영하고 있다.

「오성도」는 배경이 없는 인물상만을 그렸으나 「십이성현도」는 배경 그림이 있는 차이를 보여주고 있다. 당시 중국의 성현들의 모습을 판각으로 그려진 것이 유통되고 있었지만 이를 모델로 하여 당대의 최고의 화가의 사실적인 필법으로 그린 뛰어난 작품으로 평가할 수 있다. 앞으로 판각 회화와의 비교를 통해 「오성도」의 화풍이 어떻게 계승되었는지 더 깊은 연구가 요청된다.

[의의와 평가]

공재 윤두서는 당대 최고의 화가로 평가되고 있으나 실재로 그의 학문적 영역은 지리·관방·예악 등 두루 미치지 않는 곳이 없을 정도의 실학자의 선구자이기도 하다. 그의 가계를 살펴보면 공재의 초취의 장인은 지봉 이수광의 손자인 이동규이며 재취의 장인은 병와 이형상의 백시인 이형징이다.

성호 이익, 식산 이만부를 비롯하여 병와 이형상과 더불어 근기 남인 계열의 실학파의 맥으로 이어지고 있는 점으로 보아 유학과 실학을 접맥시킨 진보적 지식인이었다.

따라서 그의 작품 전면에 서정적 관찰에서부터 인물·동물·풍속 등 박학한 사물의 인식론에 근거한 화풍의 특징을 보여주는 동시에 인물화에서 나타나는 사실적 묘사는 조선 후기의 새로운 현대적 느낌을 반영해 주는 작품이라고 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