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100929 |
---|---|
한자 | 安東權氏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성씨/성씨 |
지역 | 경상북도 영천시 |
집필자 | 전민욱 |
입향 시기/일시 | 15세기 말 - 권열 입향 |
---|---|
본관 | 안동 - 경상북도 안동시 |
입향지 | 안동 권씨 - 경상북도 영천시 |
세거|집성지 | 안동 권씨 - 경상북도 안동시 법상동 |
세거|집성지 | 안동 권씨 - 경상북도 안동시 와룡면 이하동 |
세거|집성지 | 안동 권씨 - 경상북도 안동시 북후면 연곡동 |
세거|집성지 | 안동 권씨 - 경상북도 안동시 풍천면 가곡동 |
세거|집성지 | 안동 권씨 - 경상북도 청송군 진보면 광덕동 |
세거|집성지 | 안동 권씨 - 경상북도 경주시 양북면 구길리 |
세거|집성지 | 안동 권씨 - 경상북도 예천군 용문면 저곡리 |
세거|집성지 | 안동 권씨 - 경상북도 영주시 영주동 |
세거|집성지 | 안동 권씨 - 경상북도 봉화군 봉화읍 유곡리 |
세거|집성지 | 안동 권씨 - 경상북도 문경시 영순면 사근리 |
세거|집성지 | 안동 권씨 - 경상북도 영천시 화산면 가상리 |
세거|집성지 | 안동 권씨 - 경상북도 영천시 화남면 금호리 |
세거|집성지 | 안동 권씨 - 경상북도 영천시 신녕면 화남리 |
세거|집성지 | 안동 권씨 - 경상북도 영천시 매산동 |
성씨 시조 | 권행 |
입향 시조 | 권열 |
[정의]
권행(權幸)을 시조로 하고, 권열(權挒)을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영천의 세거 성씨.
[연원]
안동 권씨(安東權氏)의 시조인 권행은 신라 왕실의 후손으로, 본래는 김씨(金氏)였다. 930년 왕건(王建)의 고려군이 견훤(甄萱)의 백제군과 대치하자 김선평(金宣平), 장정필(張貞弼)과 함께 고창군(高昌郡) 병산에서 백제군과 싸워 크게 이기는 공을 세워 왕건이 고창군을 안동부로 승격하여 식읍(食邑)으로 내림과 동시에 권씨(權氏) 성을 내린 것이 안동 권씨의 시작이다.
권행·김선평·장정필 세 사람은 고려 창업의 공으로 ‘삼한벽상아부공신 삼중대광태사(三韓壁上亞父功臣 三重大匡太師)’를 제수 받았으며, 983년(고려 성종 2) 이를 기리기 위해 현재의 안동시 북문동에 삼태사묘(三太師廟)를 세웠다.
안동 권씨로 영천에 처음 입향한 사람은 17세(世) 탄옹(炭翁) 권시(權偲)의 9남 중 일곱째 아들 권열(權挒)이다.
[입향 경위]
광주목사(光州牧使)를 역임한 권열이 영천으로 입향한 시기는 목사 직을 물러난 15세기 말로 추정되며, 이곳으로 입향한 이유는 정확하지가 않다. 권열의 장남 권처원(權處元)의 후손은 광주(光州)에 세거하고, 차남 권처형(權處亨)의 후손은 경주(慶州)에 세거를 하며, 삼남 권처정(權處貞)의 후손이 영천에 세거하고 있는데, 이는 권처정의 장인인 양효지(楊孝智)가 입향한 효지(孝旨)마을과 연접(連接)한 신녕현(新寧縣) 추곡리(楸谷里)로 입향한 것으로 보아 연관이 있을 듯하다.
[현황]
입향 이후 인물을 향지(鄕誌) 『화산지(花山誌)』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충훈편(忠勳編)에 기록된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은 화산군(花山君)에 봉군된 권응수(權應銖)를 비롯하여 권응전(權應銓), 권응심(權應心), 권응평(權應平), 권덕시(權德時), 권덕성(權德成), 권응추(權應錘), 권응기(權應箕), 권응서(權應瑞), 권응생(權應生), 권구(權遘), 권명(權蓂), 권윤(權胤), 권우(權遇), 권적(權迪), 권건(權建), 권진(權進), 권일(權逸), 권수일(權遂逸), 권을생(權乙生), 권치렴(權致廉) 등이다.
충의편(忠義編)에 기록된 영조 무신년에 창의한 인물로는 권익형(權益衡)과 권성일(權聖一), 권달징(權達徵), 권사룡(權士龍)이며, 효행편(孝行編)에는 권익(權釴), 권태일(權泰一), 권상현(權相鉉), 권치하(權致夏)이며, 우애편(友愛編)에는 권지택(權智宅), 자선편(慈善編)에는 권찬(權燦)이며, 과환편(科宦編)에는 입향조 권렬(權挒), 증(贈) 호조참의(戶曹參議) 권처정(權處貞), 증(贈) 호조참판(戶曹參判) 권란(權鸞), 참봉(參奉) 권황(權凰), 참봉(參奉) 권덕충(權德忠), 증(贈) 우찬성(右贊成)으로 능라군(綾羅君)에 봉군된 권덕신(權德臣), 참봉(參奉) 권덕인(權德仁), 사마(司馬) 권응도(權應道), 참봉(參奉) 권산중(權山重), 참봉(參奉) 권상행(權尙行), 도사(都事) 권상률(權尙律), 첨정(僉正) 권억(權嶷), 찰방(察訪) 권중윤(權中倫), 부호군(副護軍) 권진형(權震衡), 무과(武科)로 부장(部將)인 권사만(權師萬), 첨사(僉使) 권사억(權師億), 부정(副正) 권세범(權世範), 현감(縣監) 권이중(權以中), 선전관(宣傳官) 권의병(權宜秉), 무과(武科)로 첨사(僉使)인 권재병(權載秉), 봉사(奉事) 권이범(權爾範), 군수(郡守) 권호병(權虎秉), 초계군수(草溪郡守) 권규병(權奎秉), 참판(參判) 권인병(權寅秉), 정언(正言) 권치화(權致和), 훈련원주부(訓練院主簿) 권상규(權祥奎), 부장(部將) 권주병(權周秉), 우후(虞侯) 권치환(權致煥), 진해현감(鎭海縣監) 권치호(權致鎬), 오위장(五衛將) 권치효(權致孝), 오위장(五衛將) 권수현(權壽鉉), 통정대부(通政大夫) 권두현(權斗鉉), 선전관(宣傳官) 권대현(權大鉉), 선전관(宣傳官) 권석천(權錫天), 사용(司勇) 권우현(權佑鉉), 사과(司果) 권귀락(權龜洛), 금부도사(禁府都事) 권재현(權在鉉)이며, 수직편(壽職編)에 자헌대부(資憲大夫) 권이평(權以枰), 지중추부사(知中樞府事) 권상정(權尙正), 익위(翊衛) 권현(權炫), 첨정(僉正) 권의범(權宜範)이며, 문학편(文學編)에 권복형(權復衡), 권익구(權益九), 권유(權柔), 권사열(權師烈), 권치경(權致經), 권치목(權致穆), 권치직(權致直), 권최현(權最鉉), 권호현(權浩鉉), 권상현(權尙鉉), 권기현(權祺鉉), 권상락(權相洛), 권기락(權耆洛) 등이 있다.
안동 권씨의 세거지는 주로 경상북도에 밀집되어 있다. 경북 안동시의 법상동, 와룡면 이하동, 북후면 연곡동, 풍천면 가곡동, 청송군 진보면 광덕동, 경주시 양북면 구길리, 예천군 용문면 저곡리, 영주시 영주동, 봉화군 봉화읍 유곡리, 문경시 영순면 사근리 등에 세거하고 있으며, 영천 지역에는 영천시 화산면 가상리를 비롯하여 화남면 금호리, 신녕면 화남리, 영천시 매산동 등지에 세거하고 있다.
[관련 유적]
안동 권씨 관련 유적으로는 영천시 화산면 가상리에 권열(權挒)의 묘재인 모선재(慕先齋), 권처정(權處貞)의 수강당(壽康堂), 권란(權鸞)의 묘재인 원모재(遠慕齋), 권응심(權應心)의 일성정(日省亭), 권덕온(權德溫)의 묘재인 입동재(卄洞齋), 권응도(權應道)의 풍영정(風詠亭), 권응형(權應衡)의 경휘정(景徽亭)이 있다.
암기리에는 권태일(權泰一)의 춘영정(春暎亭)이 있으며, 신녕면에는 치산리에 권응수(權應銖)의 귀천서원(龜川書院)과 어사영각(御賜影閣)이 있고, 화남리에 권응수장군유물(權應銖將軍遺物), 경충사(景忠祠), 권상현(權象鉉)의 면와(俛窩)고택, 권산보(權山甫)의 청류당(聽流堂), 권재병의 화남재(花南齋), 권호현(權浩鉉)의 화포정(華圃亭)이 있으며, 화남면에는 금호리에 권응평(權應平)의 동암정(東巖亭)이 있고, 오산리에 권덕신(權德臣)의 묘재인 광사재(廣思齋)가 있고, 영천시 매산동에 권달호의 요산정(樂山亭)이 남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