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5100920 |
---|---|
한자 | 密陽朴氏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성씨/성씨 |
지역 | 경상북도 영천시 |
집필자 | 전민욱 |
입향 시기/일시 | 1470년대 - 박영손 입향 |
---|---|
본관 | 밀양 - 경상남도 밀양시 |
입향지 | 박영손 -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 우항리 |
세거|집성지 | 밀양 박씨 -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 우항리 |
세거|집성지 | 밀양 박씨 - 경상북도 영천시 괴연동 |
세거|집성지 | 밀양 박씨 -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고지리 |
세거|집성지 | 밀양 박씨 -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도천리 |
세거|집성지 | 밀양 박씨 -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효리 |
관련 유적 | 우고서사 -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 우항리 |
관련 유적 | 청풍당 -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 우항리 |
관련 유적 | 사호청풍당박선생유허비 -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 우항리 |
관련 유적 | 석연정 -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 우항리 155 |
관련 유적 | 도계서원 -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도천리 |
관련 유적 | 영모재 -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도천리 |
관련 유적 | 만취정 -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고지리 |
관련 유적 | 모원재 - 경상북도 영천시 임포리 |
관련 유적 | 예곡재 -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 신촌리 |
관련 유적 | 임천정 - 경상북도 영천시 괴연동 |
성씨 시조 | 박혁거세|박언침 |
입향 시조 | 박영손 |
[정의]
박혁거세(朴赫居世)를 원조(元祖)로 하고, 박언침(朴彦忱)을 시조로 하며, 박영손(朴英孫)을 입향조로 하는 경상북도 영천 지역의 세거 성씨.
[연원]
밀양 박씨(密陽朴氏)는 박혁거세(朴赫居世)를 원조(元祖)로 하고 경명왕(景明王)의 맏아들로서 밀성대군(密城大君)에 봉해진 박언침(朴彦忱)을 시조로 하여 본관(本貫)을 밀양(密陽)으로 삼아 세계를 이어왔다.
영천에 세거하는 밀양 박씨는 고려 충목왕(忠穆王) 때 과거에 급제하여 재상에 오르고 순성보리공신(純誠輔理功臣) 대광보국숭록대부(大匡輔國崇祿大夫)에 녹훈되었으며, 밀직부원군(密直府院君)에 봉군된 박중미(朴中美)를 중조(中祖)로 하는 밀직부원군파(密直府院君派)의 후손이며, 청풍당(淸風堂) 박영손(朴英孫)이 처음으로 영천에 입향하였다.
[입향 경위]
박영손(朴英孫)이 영천에 입향한 시기는 대체로 벼슬에서 물러난 1470년경으로 추정되며, 영천을 입향지로 정한 이유는 정확하게 알 수가 없다. 다만 최초로 입향한 지역은 울목[명항(鳴項): 현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 우항리]으로, 못가에 집을 짓고 성리학을 깊이 연구하며, 김종직(金宗直)과 도의로 교유하며 임천에서 만년을 마쳤다.
[현황]
입향 이후 인물은 향지(鄕誌)인 『영양지(永陽誌)』를 중심으로 하여 살펴보면, 입향조인 박영손(朴英孫)을 비롯하여 생원(生員) 박빈(朴璸), 참봉(參奉) 박정(朴珽), 무과(武科)로 부장(部將)인 박유(朴瑜), 생원(生員) 박윤수(朴允秀), 의성교수(義城敎授) 박윤청(朴允淸), 진사(進士) 박윤창(朴允昌), 참봉(參奉) 박린(朴磷), 승의부위(承議副尉) 박석(朴碩), 수직(壽職) 돈녕도정(敦寧都正) 박사신(朴士愼), 임진왜란 때 순절한 박사염(朴士恬), 가사문학(歌辭文學)의 대가(大家) 박인로(朴仁老), 효행으로 이름난 박인수(朴仁叟), 생원(生員) 박점(朴點), 생원(生員) 박돈(朴暾), 진사(進士) 박현(朴晛), 선무랑(宣務郞) 박민수(朴敏修), 장사랑(將仕郞) 박우(朴旴), 생원(生員) 박창우(朴昌宇), 사마(司馬) 박세도(朴世衜), 생원(生員) 박증효(朴曾孝), 생원(生員) 박침(朴 雨아래心), 생원(生員) 박전(朴 專아래心), 문과(文科)에 급제하여 학정(學正)인 박성세(朴聖世), 수직(壽職) 돈녕도정(敦寧都正) 박수림(朴守林), 부사과(副司果) 박춘영(朴春永), 수직(壽職) 중추부사(中樞府使) 박사영(朴士永), 부호군(副護軍) 박경석(朴慶錫), 참봉(參奉) 박장주(朴章柱), 통정대부(通政大夫) 박동락(朴東駱), 주부(主簿) 박인걸(朴仁傑), 참봉(參奉) 박망룡(朴望龍), 생원(生員) 박희석(朴希碩), 선무원종공신(宣武原從功臣) 박윤수(朴允守), 증(贈) 충순위장(忠順衛將) 박이효(朴以孝), 임진왜란 전공으로 사직(司直)을 제수받은 박승원(朴承元), 병자호란 때 진무원종공신(振武原從功臣) 박태남(朴泰南), 수직(壽職) 가선대부(嘉善大夫) 박옥남(朴沃南), 통정대부(通政大夫) 박세경(朴世慶), 충순위부사직(忠順衛副司直) 박의택(朴義澤), 수직(壽職) 한성좌윤(漢城左尹) 박만일(朴萬一), 참봉(參奉) 박만학(朴萬學), 진사(進士) 박효근(朴孝芹),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박신창(朴信昌), 도정(都正) 박상회(朴尙檜), 증(贈) 사복시정(司僕寺正) 박부석(朴富石), 훈련원판관(訓練院判官) 박명삼(朴命三), 증(贈) 가선대부(嘉善大夫) 박효신(朴孝臣), 증(贈) 가선대부(嘉善大夫) 박부림(朴富林), 증(贈) 가선대부(嘉善大夫) 박석남(朴碩南), 수직(壽職) 돈녕부도정(敦寧府都正) 박진일(朴鎭一), 장사랑(將仕郞) 박봉재(朴鳳載), 무과(武科) 수문장(守門將) 박영기(朴永基), 참봉(參奉) 박상수(朴尙洙), 부사과(副司果) 박진수(朴震秀), 증(贈) 통정대부(通政大夫) 박계만(朴啓萬), 참봉(參奉) 박복림(朴馥林), 증(贈) 가선대부(嘉善大夫) 박희운(朴熙運), 부사직(副司直) 박문기(朴文基), 효행으로 이조참판(吏曹參判)으로 제수된 박흥원(朴興元), 참봉(參奉) 박수인(朴秀仁), 동지중추부사(同知中樞府事) 박두혁(朴斗赫), 증(贈) 통정대부(通政大夫) 박재신(朴再新), 증(贈) 통정대부(通政大夫) 박차연(朴次連), 증(贈) 통정대부(通政大夫) 박수억(朴守億), 증(贈) 장락원정(掌樂院正) 박상영(朴尙永), 가선대부(嘉善大夫) 박동설(朴東說), 증(贈) 가선대부(嘉善大夫) 박치각(朴致恪), 참봉(參奉) 박이화(朴利和), 통정대부(通政大夫) 박정진(朴楨鎭), 감역(監役) 박치린(朴致璘), 수직(壽職) 도정(都正) 박동식(朴東植), 부호군(副護軍) 박해양(朴海陽), 부호군(副護軍) 박재곤(朴在坤), 주사(主事) 박경래(朴景來), 수직(壽職) 통정대부(通政大夫) 박동준(朴東俊), 수직(壽職) 통정대부(通政大夫) 박인문(朴仁文), 참봉(參奉) 박경흠(朴景欽), 가선대부(嘉善大夫) 박기영(朴基英), 가선대부(嘉善大夫) 박능태(朴能泰)가 있는데, 신녕현(新寧縣)에 터를 잡은 박심문(朴審問)의 후손과 밀양 박씨의 다른 파들도 포함되어 있다.
세거지는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 우항리와 경상북도 영천시 괴연동,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의 고지리·도천리·효리에 세거하고 있다.
[관련 유적]
경상북도 영천시 임고면 우항리에 박영손의 우고서사(愚皐書社)와 청풍당(淸風堂) 그리고 사호청풍당박선생유허비(賜號淸風堂朴先生遺墟碑), 박성세(朴聖世)의 석연정(石淵亭)이 있다.
경상북도 영천시 북안면에는 도천리에 박인로(朴仁老)의 도계서원(道溪書院)과 박돈(朴暾)의 영모재(永慕齋), 고지리에 박시원(朴始元)의 만취정(晩翠亭)과 임포리에 박영손(朴英孫)의 묘재인 모원재(慕遠齋), 신촌리에 박만학(朴萬學)의 예곡재(乂谷齋)가 있다. 경상북도 영천시 괴연동에는 박선(朴譔)의 임천정(臨泉亭)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