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4301536 |
---|---|
이칭/별칭 | 척사놀이,사희,척사희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놀이/놀이 |
지역 | 경기도 양주시 |
집필자 | 한정수 |
[정의]
경기도 양주 지역에서 윷가락을 매개로 하여 말을 움직여 승부를 겨루는 놀이.
[개설]
윷놀이는 네 개의 윷가락을 던져 그것이 나타내는 형상을 통해 일정한 행로를 통과하도록 말[馬]을 놓아 승부를 겨루는 민속놀이이다. 이를 척사(擲柶)놀이, 사희(柶戱), 척사희(擲柶戱) 등이라고도 한다. 4개의 윷가락을 던져 도, 개, 걸, 윷, 모 등이 나오면 그에 따라 29개로 구성된 말판 위 말을 움직여 최종 목적지에 먼저 닿으면 된다. 보통 2~3명 혹은 편을 나눠서 한다. 대개 정초에 많이 즐기는데, 이는 농민이 윷놀이로 농사의 풍흉을 점치던 고대 농경 시대의 유풍으로 보기도 한다. 양주시의 윷놀이는 가장 잘 전승되고 있는 민속놀이로서 지금도 정월에 가정에서 혹은 마을 별로 즐기고 있으며, 때로는 마을 대항으로 진행하기도 한다.
[연원]
윷놀이의 연원은 명확하지 않지만 중국의 『북사(北史)』 및 『태평어람(太平御覽)』 등에 백제에 저포·악삭 등의 잡희(雜戱)가 있었다는 기록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저포는 오늘날의 윷놀이와 유사한 것으로 여겨지므로 윷의 기원은 삼국 시대 이전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 이 윷놀이는 백제와 신라를 거쳐 일본에 건너가 일복삼향(一伏三向)의 유희로 나타나기도 하였다.
[놀이 도구 및 장소]
윷놀이의 도구는 간단하다. 4개의 윷가락과 말판과 말이 있으면 된다. 윷가락은 박달나무나 참나무로 만드는 가락윷과 밤알처럼 작은 밤윷이 있다. 또는 팥이나 콩을 쪼개 만들기도 하는데 이에 따라 팥윷, 콩윷이라 하였다. 말판은 29개의 동그라미를 그리고 이를 이은 것으로 하늘과 땅, 별자리를 본 따 만든 것이라 한다. 장소는 방안이나 야외 등 크게 상관하지 않는다.
[놀이 방법]
네 개의 윷을 던져 나오는 모양에 따라 도, 개, 걸, 윷, 모 등이라고 지칭한다. 네 개가 다 엎어진 것은 모, 네 개가 다 잦혀진 것은 윷, 세 개가 잦혀진 것은 걸, 두 개가 엎어지고 두 개가 잦혀진 것은 개, 한 개가 잦혀진 것은 도라 하였다. 윷가락이 나오는 경우에 따라 말을 움직인다. 도는 한 발, 개는 두 발, 걸은 세 발, 윷은 네 발, 모는 다섯 발을 간다. 모나 윷이 나오면 한 번 더 할 수 있다. 또 상대방의 말을 잡을 수도 있다.
[생활 민속적 관련 사항]
양주시에서 이 윷놀이는 가장 잘 전승되고 있다. 대개 정월 대보름날에 논다. 가족끼리 하기도 하지만 마을 단위로 시합을 하기도 한다. 마을 단위로 할 때는 20명씩 편을 짜서 논다. 진 편에서 술과 안주, 곧 막걸리 4~5통과 안주로 동태찌개로 한 턱 낸다. 특히 마을 대항전으로 할 때 결승전에는 장작윷으로 논다. 예전에는 윷놀이 때 기생들을 데려다 “기화자, 기화자” 하고 노래하게 한 뒤 돈을 주기도 했다고 한다.
[현황]
현재 양주시에서는 부녀회, 청년회, 노인회 등이 중심이 되어 일 년에 한 번 정월 12~13일에 100여 명이 모여 윷을 논다. 여기에는 시계, 솥 등의 상품이 마련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