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춘리 계석암 각석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5200662
한자 長春里繼昔巖刻石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유적(일반)
지역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장춘리 산77-2
집필자 김용만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조성|건립 시기/일시 1895년 - 장춘리 계석암 각석 조성
현 소재지 장춘리 계석암 각석 -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장춘리 산77-2지도보기
성격 각석
양식 음각
관련 인물 김재성(金在誠)
크기(가로) 50㎝
크기(세로) 65㎝
크기(깊이) 1.2

[정의]

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장춘리에 있는 개항기의 각석.

[건립 경위]

장춘리 계석암에는 당시의 상황이 기록되어 있어 건립 경위를 확인할 수 있다. 바위에 새겨진 내용에 따르면, 본래 바위의 이름은 ‘계석(桂石)’이었다. 당시 바위 주변에서 살며 십여 세대를 이어온 선산 김씨의 후손 김재성(金在誠)이 자신의 가계와 이 바위가 변치 않고 ‘옛과 같이 계속 이어져[繼昔]’ 오고 있고, 마침 이런 이어짐을 뜻하는 ‘계석(繼昔)’과 본래 바위의 이름인 ‘계석(桂石)’의 발음이 동일하기 때문에 바위의 이름을 계석암(繼昔巖)으로 고쳐 글씨를 새겼다고 한다.

[위치]

장춘리 계석암 각석경상북도 의성군 비안면 장춘리에 있다. 장춘리의 항골에서 위천을 따라 북쪽으로 약 150m 정도 올라간 강가 바위벽에 있다.

[형태]

장춘리 계석암 각석은 강가 바위벽에 해서(楷書)로 음각되어 있다. ‘계석암(繼昔巖)’이라고 큰 글자로 새기고 그 아래 약간의 선각으로 외곽 경계선을 새긴 다음 그 안에 작은 글씨로 계석암의 명칭 유래에 대한 내용을 새겼다.

〈원문〉

계석암(繼昔巖)

천○박지하용연지양○○박연즉(天○朴之下龍淵之陽○○朴淵卽)/오가십여세소거연지남애암호(吾家十餘世所居淵之南厓巖號)/계석역아(桂石亦我) 선유촉소재자암계(先遺躅所在玆巖繼)/석이불변기고오가계석이불이(昔而不變其高吾家繼昔而不移)/기수오유자암창감자다잉용암(其守吾遊玆巖愴感者多仍用巖)/호상사지음제이계석이우계계(號相似之音題以繼昔以寓繼繼)/여석지의운이영력후오을미중양절박연만○생(如昔之意云爾永曆後五乙未重陽節朴淵晩○生)/선산(善山) 김재성근지(金在誠謹識)

〈번역문〉

계석암

천○박(天○朴)의 아래쪽 용연(龍淵)의 양지인 ○○ 박연(朴淵)은 곧 오가(吾家)가 십 여 세대 동안 살아온 곳이다. 박연의 남쪽 언덕 바위 이름이 계석(桂石)이니 역시 우리 선조께서 유촉(遺躅)한 곳이다. 이 바위가 계석(繼昔)하여 그 높이가 변치 않았고, 우리 집안도 계석(繼昔)하여 그 지키며 살기를 옮기지 않았다. 내가 이 바위에서 놀며 슬픈 감정이 많았다. 이에 바위 이름이 서로 비슷한 발음인 것으로써 계석(繼昔)으로 제(題)하여 잇고 이어 옛과 같이 우거한다는 뜻을 이른 것이다.

영력(永曆)[명나라 마지막 왕인 영명왕 연호] 기원 후 다섯 번째 을미년(1895) 음력 9월 9일에 박연 만생(晩生)으로 선산(善山)을 본관으로 쓰는 김재성(金在誠)이 삼가 기록함.

[현황]

비지정 문화재이며, 보호 시설이나 안내 표지판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의의와 평가]

장춘리 계석암 각석은 조성 연대가 그리 오래되지는 않았으나 각자한 사유를 밝혀 놓은 많지 않는 각석 중 하나로서 의미가 있다. 문중의 세거지로 10여 세대를 살아왔고, 계속 이곳을 지키고 이어 가겠다는 의지를 새긴 것이다. 이는 애향심의 표현으로 당시 사람들의 거주지에 대한 애착을 이 비석을 통해 확인할 수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