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400667 |
---|---|
한자 | 李崇仁 |
영어공식명칭 | I Sungin |
이칭/별칭 | 자안(子安),도은(陶隱),문충(文忠) |
분야 |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문인·학자,인물/문무 관인 |
지역 | 경상북도 성주군 |
시대 | 고려/고려 후기 |
집필자 | 진갑곤 |
출생 시기/일시 | 1347년 - 이숭인 출생 |
---|---|
활동 시기/일시 | 1360년 - 이숭인 국자감시 합격 |
활동 시기/일시 | 1362년 - 이숭인 문과 급제 |
활동 시기/일시 | 1367년 - 이숭인 성균관 교관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369년 - 이숭인 지공거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372년 - 이숭인 예문관 응교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375년 - 이숭인 경산부로 유배 |
활동 시기/일시 | 1377년 - 이숭인 성균사성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383년 - 이숭인 상호군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388년 - 이숭인 하정사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389년 - 이숭인 경산부에 유배 |
활동 시기/일시 | 1391년 - 이숭인 국조실록 수찬 |
활동 시기/일시 | 1392년 1월 - 이숭인 밀직사사 제수 |
활동 시기/일시 | 1392년 4월 - 이숭인 전라남도 순천으로 유배 |
몰년 시기/일시 | 1392년 - 이숭인 사망 |
추모 시기/일시 | 1406년 - 이숭인 이조판서 증직, 시호 문충 |
추모 시기/일시 | 1656년 - 이숭인 충현사에 배향 |
추모 시기/일시 | 1745년 - 이숭인 연봉서원에 배향 |
추모 시기/일시 | 1796년 - 이숭인 안산서원에 배향 |
추모 시기/일시 | 2001년 - 이숭인 원모재 증축 |
추모 시기/일시 | 2018년 - 이숭인 추모 청휘당 건립 |
출생지 | 이숭인 출생지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경산리 |
거주|이주지 | 이숭인 유배지 - 경상북도 성주군 |
거주|이주지 | 이숭인 유배지 - 전라남도 순천군 |
묘소|단소 | 이숭인 묘소 - 경상북도 성주군 용암면 본리리 |
사당|배향지 | 안산서원 - 경상북도 성주군 벽진면 자산3길 366-31[자산리 41] |
사당|배향지 | 청휘당 -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신파리 |
성격 | 문신 |
성별 | 남 |
본관 | 성주 |
대표 관직|경력 | 성균관 교관|지공거|예문관 응교|성균사성|상호군|밀직사사 |
[정의]
고려 후기 성주 출신의 문신.
[개설]
목은(牧隱) 이색(李墻)의 문인으로, 1362년(공민왕 11) 문과에 급제한 후 성균관 교관, 지공거(知貢擧), 예문관 응교, 성균사성(成均司成), 상호군(上護軍), 밀직사사(密直司事) 등을 역임하였다.
[가계]
본관은 성주(星州). 자는 자안(子安), 호는 도은(陶隱). 증조할아버지는 밀직사사 이백년(李百年), 할아버지는 평양부윤(平壤府尹) 이인기(李麟起)이다. 아버지는 성산군(星山君) 이원구(李元具)이고, 어머니는 판소부시사(判少府寺事) 언양(彦陽) 김경덕(金敬德)의 딸이다. 부인은 판각(判閣) 홍사보(洪師普)의 딸이다.
[활동 사항]
이숭인(李崇仁)[1347~1392]은 1347년(충목왕 3)에 성산부(星山府) 용산리[현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경산리]에서 태어났다. 어린 시절부터 학문에 매진하여 14세 때인 1360년(공민왕 9)에 국자감시(國子監試)에 합격했고, 16세 때인 1362년에는 당시 최연소로 문과에 급제하였다. 21세 되던 해인 1367년(공민왕 16)에 성균관 교관으로 임명되어 성리학풍의 사대부 계층 확장에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되었다. 문장이 탁월하여 20대부터 외교 문서를 도맡아 작성했고, 23세 때인 1369년에는 이색과 함께 지공거가 되어 유백유(柳伯濡) 등 33명을 뽑았다.
26세이던 1372년(공민왕 21)에 예문관 응교에 임명되었고, 정몽주(鄭夢周), 전녹생(田祿生), 김구용(金九容), 정도전(鄭道傳) 등 많은 사우(師友)들과 교제하며 성리학을 연찬하였다. 1375년(우왕 1) 북원(北元)의 사신 영접을 반대하여 잠시 경산부(京山府)로 유배되었다가, 2년 뒤 다시 소환되어 성균사성에 제수되었다. 1383년(우왕 9)에 상호군으로서 과거를 주관하였고, 1387년(우왕 13)에 중국의 제도를 상고하여 조정 백관의 관복(冠服)과 사대부 묘제(廟祭) 의절(儀節)을 정하였다.
1388년(우왕 14) 하정사(賀正使)로 명나라를 다녀왔고, 1389년(공양왕 1)에 영흥군(永興君) 사건에 연루된 것을 계기로 탄핵을 받아 경산부에 유배되었다. 1390년(공양왕 2) 이초(彝初)의 옥사(獄事)[윤이(尹彝)·이초(李初)의 난]에 연루되어 옥에 갇혔다가 풀려났고, 이듬해인 1391년(공양왕 3) 『국조실록(國朝實錄)』을 수찬하였다. 1392년 1월에 밀직사사에 제수되었다가, 4월 정몽주가 살해될 때 그 일당으로 몰려 순천(順天)으로 유배된 이후 남평(南平)에서 장살되었다.
[학문과 저술]
이숭인은 이제현(李齊賢)·이곡(李穀)·이색의 학문적 계통을 이었다. 이기론(理氣論)에 있어서 기(氣)를 천지의 체(體)로 보고 천지의 운행은 기의 생기적(生機的) 작용으로 보았다. 또 사람과 사물이 모두 기를 품수(禀受)하였으므로 의(義)를 지키면 천지의 기를 갖출 수 있다고 하였다. 따라서 범인(凡人)은 태어날 때 기품(氣禀)이 이미 섞인 데다 물욕(物欲)에 가려져 있지만 수양(修養)을 통하여 본연(本然)의 선(善)을 회복할 수 있다고 설명하였다. 저서로는 『도은집(陶隱集)』[시집 3권, 문집 2권]이 있다.
[묘소]
성주 두의곡방(豆衣谷坊) 용의동(龍宜洞)[현 경상북도 성주군 용암면 본리 3리] 임좌(壬坐) 언덕에 있다.
[상훈과 추모]
1406년(태종 6) 이조판서를 증직하고 문충(文忠)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1656년(효종 7) 충현사(忠賢祠)에, 1745년(영조 21) 연봉서원(延鳳書院)에, 1796년(정조 20) 안산서원(安山書院)에 배향하였다. 2018년 이숭인을 배향하는 사묘인 청휘당이 유허지인 경상북도 성주군 수륜면 신파리에 건립되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