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400639
한자 李堅幹
영어공식명칭 I Gyeongan
이칭/별칭 직경(直卿),여직(汝直),국헌(菊軒),문안(文安),이정란(李廷蘭)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경상북도 성주군
시대 고려/고려 후기
집필자 이정철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활동 시기/일시 1317년 3월 - 이견간 원나라 사신으로 파견
활동 시기/일시 1317년 3월 - 이견간 「봉사관동두견」 저술
몰년 시기/일시 1330년연표보기 - 이견간 사망
출생지 이견간 출생지 - 경상북도 성주군 초전면 월곡리 지도보기
묘소|단소 이견간 단 - 경상북도 성주군 초전면 월곡리
사당|배향지 문곡서원 - 경상북도 성주군 초전면 월곡리 지도보기
사당|배향지 용안서원 -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내진리
성격 문신
성별
본관 벽진
대표 관직 진현관 대제학

[정의]

고려 후기 성주 출신의 문신이자 시인.

[가계]

본관은 벽진(碧珍). 자는 직경(直卿) 혹은 여직(汝直), 호는 국헌(菊軒). 나중에 이름을 이정란(李廷蘭)으로 바꾸었다. 할아버지는 우사랑중(右唆郎中) 이당규(李唐揆)이고, 아버지는 예빈시 동정(禮賓寺同正) 이옹(李雍)이다. 어머니는 진주 강씨(晉州姜氏)이다.

[활동 사항]

이견간(李堅幹)[?~1330]은 경상북도 성주군 초전면 월곡리 홈실[椧谷] 마을에서 태어났다. 고려 시대 원 간섭기에 고위 관료로 재직하였다. 충렬왕(忠烈王)·충선왕(忠宣王)·충숙왕(忠肅王) 3대에 걸쳐 통헌대부(通憲大夫)·민부전서(民部典書)·지밀직사사(知密直司事)·진현관 대제학(進賢館大提學)·홍문관사(弘文館事)를 역임하였다. 이견간은 무엇보다 뛰어난 시문으로 이름을 떨쳤다. 1317년(충숙왕 4) 3월 원나라에 사신으로 가서 객관(客館)에 머물 때 「봉사관동두견(奉使關東杜鵑)」이라는 시를 지어 천하에 명성을 떨쳤고, 시의 끝 구절에 나오는 ‘산화(山花)’라는 말로 인하여 ‘산화 선생’으로 불리게 되었다. 사가정(四佳亭) 서거정(徐居正)[1420~1488]은 『동시선(東詩選)』에서 이견간의 시구(詩句)를 뽑아 동방에서 두견을 읊은 시 사절(四絶) 중 가장 뛰어나다는 극찬을 하였다.

[학문과 저술]

『춘추(春秋)』에 조예가 깊었다. 원나라에 갔을 때 태학사(太學士) 주방(周肪)과 춘추대의(春秋大義)를 강(講)하여 감탄을 불러일으켰다. 운곡(耘谷) 원천석(元天錫)[1330~?]도 “고려 중엽에 유자의 도를 따른 사람은 우탁의 『주역』과 이견간의 『춘추』”라고 말한 바 있다. 작품으로는 「산화선생일고(山花先生逸稿)」가 『벽진세고(碧珍世稿)』 1권에 실려 있다. 『벽진세고』는 벽진 이씨(碧珍李氏) 16인의 글과 행적을 수록한 책이다. 정재(定齋) 유치명(柳致明)[1777~1861]의 문인인 이광로(李光魯)[1828~1903]가 편집하여 1973년 후손 이만순(李萬淳)이 간행하였다.

[묘소]

묘는 본래 경기도 시흥군 과천면[현 경기도 과천시] 청계산에 있었으나 임진왜란 때 없어지고 후손이 경상북도 성주군 초전면 월곡리 홈실 마을에 단(壇)을 모으고 문곡서당(汶谷書堂)을 세워 매년 한식(寒食)날 제사를 지낸다.

[상훈과 추모]

사후에 경상북도 성주군 초전면 월곡리에 있는 문곡서원(汶谷書院)과 경상남도 밀양시 무안면 내진리에 있는 용안서원(龍安書院)에 배향되었다. 시호(諡號)는 문안(文安)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