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400510 |
---|---|
한자 | 孤村先生文集 |
영어공식명칭 | Gochon Teacher's Anthology |
이칭/별칭 | 『고촌집(孤村集)』 |
분야 | 역사/전통 시대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경상북도 성주군 |
시대 | 근대/일제 강점기,현대/현대 |
집필자 | 추제협 |
간행 시기/일시 | 1935년 - 『고촌선생문집』 간행[1935] |
---|---|
간행 시기/일시 | 1940년 - 『고촌선생문집』 간행[1940] |
간행 시기/일시 | 1962년 - 『고촌선생문집』 간행[1962] |
소장처 | 청사 도서관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청사도서관길 13[경산리 229] |
소장처 | 한국국학진흥원 - 경상북도 안동시 도산면 퇴계로 1997[서부리 220] |
성격 | 시문집 |
저자 | 배정휘(裵正徽)[1645~1709] |
간행자 | 배정환(裵貞煥) |
권책 | 6권 3책 |
행자 | 10행 22자 |
규격 | 27.5×18.1㎝ |
어미 | 상하향사판화문흑어미(上下向四瓣花紋黑魚尾) |
권수제 | 고촌집(孤村集) |
판심제 | 고촌집(孤村集) |
[정의]
1935년 배정환이 편집 간행한 조선 후기 성주 출신의 문인 배정휘의 문집.
[저자]
배정휘(裵正徽)[1645~1709]는 자가 미숙(美叔)이고 호는 고촌(孤村)이다. 본관은 성산(星山)이다. 할아버지는 배상룡(裵尙龍)의 동생인 배상호(裵尙虎))이며 부친은 병조참판을 지낸 배세위(裵世緯)이다. 허목(許穆)의 문인이며 글씨를 잘 썼다. 1673년 문과에 급제하여 사간원 정언을 비롯해 사헌부 지평, 사간원 헌납, 평강현감 등을 역임했다.
[편찬/간행 경위]
『고촌선생문집(孤村先生文集)』의 발문에 따르면, 1935년에 8세손 배정환(裵貞煥)이 편집하여 간행했을 것으로 추정된다.
[형태/서지]
6권 3책의 석인본(石印本)이다. 판식은 사주 쌍변(四周雙邊)으로, 계선이 있으며, 상하향사판화문흑어미(上下向四瓣花紋黑魚尾)이다. 크기는 27.5×18.1㎝, 반곽의 크기는 18.7×13.4㎝이다. 1면 10행에 1행의 자수는 22자이다. 권수제와 판심제는 ‘고촌집(孤村集)’이다. 주석은 쌍행(雙行)이다. 장정법은 선장본(線裝本)이고, 지질은 저지(楮紙)[닥종이]이다. 현재 성주의 청사 도서관 등에 소장되어 있다.
[구성/내용]
본 문집은 6권 3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권두에는 허전(許傳)이 쓴 서문이 있다. 본문은 전형적인 문집의 형태를 취하고 있는데, 권1~권2에는 시(詩) 317수, 만사(輓詞) 57수가 수록되어 있다. 권3에는 부(賦) 2편, 소(疏) 10편, 서(書) 8편, 잡저(雜著) 29편이 실렸는데, 병자호란의 치욕과 연이은 가뭄에 따른 민생고 등 당대 현실을 짐작할 수 있는 글들이 많다. 권4에는 상량문(上梁文) 2편, 서(序) 7편, 발(跋) 4편, 기(記) 4편, 잠(箴) 6편, 설(說) 5편, 변(辨) 2편, 축문(祝文) 9편이 실려 있으며, 이 중 특히 설에는 그의 성리학적 특징을 확인할 수 있다. 권5에는 제문(祭文) 16편, 묘갈명(墓碣銘) 6편, 전(傳) 2편, 통문(通文) 2편, 행장(行狀) 6편이, 권6에는 부록으로 만사(輓詞), 제문(祭文), 유사(遺事), 행장(行狀), 묘갈명(墓碣銘) 등이 담겨 있다. 권말에는 1935년에 이의국(李義國)과 8세손 배정환이 쓴 발문이 있다.
[의의와 평가]
『고촌선생문집』은 17세기 성주 문인들의 현실 인식과 사상적 특징을 확인할 수 있는 문집으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