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8400445 |
---|---|
한자 | 星州鄕校大成殿-明倫堂 |
분야 | 종교/유교,문화유산/유형 유산 |
유형 | 유적/건물 |
지역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예산2길 36-12[예산리 131]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정지아 |
건립 시기/일시 | 1398년 - 성주향교 창건 |
---|---|
문화재 지정 일시 | 2008년 9월 3일 - 성주향교 대성전 및 명륜당 보물 지정 |
현 소재지 | 성주향교 대성전 및 명륜당 -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예산2길 36-12[예산리 131] |
성격 | 향교 |
양식 | 맞배지붕[성주향교 대성전]|겹처마 맞배지붕[성주향교 명륜당] |
정면 칸수 | 3칸[성주향교 대성전]|5칸[성주향교 명륜당] |
측면 칸수 | 3칸[성주향교 대성전]|3칸[성주향교 명륜당] |
문화재 지정 번호 | 보물 |
[정의]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예산리에 있는 조선 전기 성주향교의 주요 건물.
[개설]
성주향교(星州鄕校)의 주요 건물은 대성전(大成殿) 및 명륜당(明倫堂)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우측의 대성전은 성현에게 제사를 지내는 곳이고 좌측의 명륜당은 강학하는 곳으로 사용하고 있다.
[위치]
성주향교 대성전 및 명륜당은 성주군 성주읍 예산2길 36-12[예산리 131번지]에 있다. 시가지의 북측 언덕 위에 자리 잡고 있으며, 대성전과 명륜당이 담장을 사이에 두고 좌우에 있어 좌묘 우학(左廟右學)의 배치 형태를 보이고 있다.
[변천]
성주향교는 1398년(태조 7)에 창건하였다.
[형태]
대성전과 명륜당을 앞뒤, 혹은 높은 곳과 낮은 곳에 배치하는 일반적인 구조와 달리 성주향교는 대성전이 우측에, 명륜당이 좌측에 배치되어 있다. 대성전은 정면 3칸, 측면 3칸 규모의 맞배지붕집으로, 좌우에 협실이 1칸씩 있고 방 위의 천장에 서고(書庫)가 있다. 명륜당은 정면 5칸, 측면 3칸 규모의 겹처마 맞배지붕집으로, 정면의 중간 3칸은 대청으로 전면이 개방되어 있다. 양쪽 옆에는 다락이 설치된 온돌방이 있다. 다른 향교에 비해 규모가 큰 편이다. 대성전의 전면에는 내삼문(內三門)과 외문이 있어 외부에서 직접 출입이 가능하고, 명륜당과의 사이에 일각문(一脚門)이 있어 내통할 수 있다.
[현황]
경상북도 유형 문화재였던 성주문묘 명륜당(星州文廟明倫堂)[1982년 12월 1일 지정]과 경상북도 문화재 자료였던 성주향교 대성전(星州鄕校大成殿)[1985년 8월 5일 지정]을 하나로 묶어 2008년 9월 3일에 성주향교 대성전 및 명륜당이라는 이름으로 보물로 지정하여 관리하고 있다. 대성전에 처음에는 중국 취푸[曲阜]에서 전해진 공자(孔子)의 화상(畫像)과 중국의 4성(聖) 10철(哲), 송나라 5현의 위패를 봉안하였으나, 목사 강중진(康中珍)이 공자의 화상을 위패로 바꾸었다. 현재 대성전에서는 문묘(文廟)에 봉안하여 합사하는 공자·안자(顔子)·증자(曾子)·자사(子思)·맹자(孟子) 등 오성(五聖)과 공자 문하에서 학행이 뛰어난 제자들인 민손(閔損)·염경(冉耕)·염옹(冉雍)·재여(宰予)·단목사(端木賜)·염구(冉求)·중유(仲由)·언언(言偃)·복상(卜商)·전손사(顓孫師) 등 십철(十哲), 그리고 송나라의 여섯 명현(名賢)인 주돈이(周敦頥)·정호(程顥)·정이(程頥)·소옹(邵雍)·장재(張載)·주희(朱熹)를 봉사(奉祀)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성주향교 대성전은 17세기 초 다포식 건축물로서 당시의 건축 양식이 잘 보존되어 있다. 창호의 구성과 평면 구성, 가구 수법 등에서 조선 중기의 건축 양식을 잘 간직하고 있어 건축학적 가치를 인정받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