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400378
한자 裵克廉-社廟-神道碑
이칭/별칭 영모재(永慕齋)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비
지역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대황2길 17[대황리 1810-1]
시대 근대/일제 강점기
집필자 김소연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건립 시기/일시 1933년 10월연표보기 - 배극렴의 사묘와 신도비 건립
이전 시기/일시 2008년 6월 - 배극렴의 사묘와 신도비 이전
관련 인물 생년 시기/일시 1325년 - 배극렴 출생
관련 인물 몰년 시기/일시 1392년 - 배극렴 사망
현 소재지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대황2길 17[대황리 1810-1]지도보기
원소재지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대황2길 17[대황리 1810-1]
성격 재실|신도비
양식 입비
관련 인물 배극렴|이명상|이병관|송홍래
크기(높이, 너비, 두께) 200㎝[높이]|82㎝[너비]|30㎝[두께]

[정의]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대황리에 있는 배극렴의 사묘와 신도비.

[개설]

주금당(晝錦堂) 배극렴(裵克廉)[1325~1392]의 사적으로, 배극렴의 시조와 조상, 배극렴의 가계, 배극렴을 기리는 명(銘), 배극렴을 칭송하는 조선 태조(太祖) 이성계(李成桂)[1335~1408]의 시가 새겨져 있다. 배극렴은 본관이 성산(星山), 자가 양가(量可), 호가 주금당(晝錦堂)·필암(筆菴), 시호가 정절(貞節)이며, 성주군 관하리 사례동[현 성주군 성주읍 예산리 예동 마을]에서 태어났다. 자신이 거주하는 마을에 목책을 세워서 냇물을 막아 논밭에 물대기를 편리하게 만들었다. 이에 당시 마을의 백성들이 냇가와 고개·들·우물에 이르기까지 모두 앞에 배(裵)자를 붙여 이를 기념했다. 이성계에게 기용되어 여러 벼슬을 역임했다. 조선의 개국공신이 되었고, 성산백(星山伯)에 봉해졌으며, 조선의 초대 영의정이 되었다.

[건립 경위]

배극렴의 후손인 배경영(裵慶永)과 배한영(裵漢永)이 여러 일가와 상의하여 1933년 10월 신도비를 세웠다. 그리고 주손[맏손자]인 배재명(裵在明)과 배상진(裵相珍)이 행록(行錄)을 가지고 이명상(李明翔)을 찾아가, 그에게 신도비에 넣을 비문을 청했다. 행록은 배극렴의 후손인 배주환(裵疇煥)이 지었다.

[위치]

처음에는 경상북도 성주군 성주읍 대황리 구동골 마을 초입 도로변에 신도비가 세워졌으나, 2008년 6월경 배극렴을 추모하는 재사인 영모재 주변이 정비됨에 따라 구동골 마을 안 영모재로 위치를 옮겼다.

[형태]

좌대(座臺), 비신(碑身), 비개석(碑蓋石)으로 된 입비의 형태이다. 좌대는 귀부(龜趺), 비개석은 이수(螭首)이다. 높이는 200㎝, 너비는 82㎝, 두께는 30㎝이다.

[금석문]

유허비의 비신에는 사면에 서문(序文)과 명(銘)이 있는데, 앞면에 세로로 ‘유명 조선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 영의정 겸 경연사 봉 성산백 시 정절 주금당 선생 배공 신도비명 병서(有明朝鮮大匡輔國崇祿大夫議政府領議政兼經筵事封星山伯諡貞節晝錦堂裵公神道碑銘並序)’라 새겨져 있다. 그 바로 옆에 비문의 글을 지은 인물과 전액(篆額)을 쓴 인물, 그리고 글씨를 쓴 인물이 새겨져 있다. 비신의 사면 상부의 전서(篆書)는 ‘정절공 주금당 배 선생 신도비명(貞節公晝錦堂裵先生神道碑銘)’이다. 비문은 이명상이 짓고, 이병관(李炳觀)이 전(篆)했으며, 회천(晦川) 송홍래(宋鴻來)[1876~1948]가 썼다.

[의의와 평가]

성주 지역 출신 인물 배극렴의 행적을 알려주는 문화재로, 배극렴에 대한 성주 지역 유림들의 숭조 의식을 잘 보여준다. 그리고 배극렴성주군 성주읍 예산리 예동 마을에 목책을 세웠다는 신도비의 기록은 성주 지역 백성에 대한 그의 애민 의식을 보여주는 일화로 평가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