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충청남도 논산시 은진면 시묘리에 있는 효부 경주김씨의 기적비. 김씨부인은 어려서부터 부모에 대한 효성이 지극하여 온 마을에서 효녀 중의 효녀라고 칭찬이 그치질 않았다. 또한 예의범절도 깍듯하여 부러워하지 않는 사람이 없었다. 나이가 들어 시묘리에 살고 있는 박노봉과 결혼을 하게 되었다. 비록 살림은 넉넉한 편이 아니었지만 시부모에 대한 효성이 남달라 주위에서의 칭송이 그치질 않았다...
-
충청남도 논산시 관촉동 관촉사에 있는 조선 후기 사적비. 관촉사 사적비는 관촉사의 상징인 은진미륵 및 정문과 법당의 조성 경위를 밝히고 있는 사적비로서, 1743년(영조 19) 승려 각혜와 속인으로 구성된 불량계원(佛粮契員) 다수가 참여하여 세운 비이다. 관촉사는 대한불교 조계종 소속인 마곡사의 말사로 963년(광종 19) 혜명(慧明)이 창건하였다. 관촉사 사적비는 화강암으로 변이...
-
충청남도 논산시 은진면 교촌2리에 세워진 15기 비석군. 교촌리 비석군은 은진면 곳곳에 흩어져 있던 것을 1980년대 후반 현 위치인 논산시 은진면 교촌리 삼거리에서 동쪽 도로 북측에 남서향으로 비석 15기가 일렬로 세워 놓았다. 비석의 형태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관찰사심공의신영세불망비(觀察使沈公宜臣永世不忘碑)는 지붕형[옥개형(屋蓋形)]으로 1837년(헌...
-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읍내리에 있는 조선시대 현감 권석효의 선정비. 권석효 선정비는 현감으로서 선정을 베푼 권석효를 치하하기 위해 계묘년 6월에 건립되었다. 논산시에서 공주 방향으로 국도 23호선을 타고 약 10.2㎞ 정도 가다 보면 하도교차로가 나온다. 여기에서 왼쪽으로 0.19㎞ 가다가 우회전하여 오른쪽 방향으로 약 2㎞ 직진하면 갈림길이 나오는데, 상월면 방면으로 우회전하여...
-
충청남도 논산시 벌곡면 사정리 소재 권수 묘소 앞에 세워진 조선 후기 묘비. 권수의 자는 자성(子誠), 호는 그가 살던 고장의 이름을 따서 ‘반곡(현 충청남도 논산시 양촌면 반곡리)’이라 하였다. 어려서부터 책읽기를 즐겼으며, 책을 한시도 손에서 놓지 않았다. 또 성품이 강직하고 반듯해서 관직에 있을 때는 바른 정치를 하고 옳은 말을 하는 데 주저함이 없었다. 이에 따라 홍문관에...
-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읍내리에 있는 조선시대 현감 권용규의 영세불망비. 현감 권용규의 공적을 후대에 알리고 이를 잊지 않기 위해 임술년 3월에 건립되었다고 전한다. 논산에서 공주 방향으로 국도 23호선을 타고 약 10.2㎞ 정도 가다 보면 하도교차로가 나온다. 여기에서 왼쪽으로 0.19㎞ 가다가 우회전하여 오른쪽 방향으로 약 2㎞ 직진하면 갈림길이 나오는데, 상월 방면으로 우회전...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고정리 소재 기계유씨 묘소 앞에 세워진 조선 후기 묘표. 기계유씨는 김집의 아내로 좌의정 유홍의 딸이다. 1592년 김집에게 시집 왔으나 자식 없이 별세하였다. 사후에 김집 묘소와 거리도 떨어져 있고 비석도 없었기 때문에 기계유씨 묘표를 건립하였다. 연산역 남쪽에서 국도 1호선을 따라서 서쪽으로 1.5㎞를 가면 남측에 도로가 있다. 여기에서 1.3㎞를 들어가...
-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신충리에 있는 근대 개항기 노성군수 김갑순의 선정비. 선정비의 주인인 노성군수 김갑순은 충청남도 및 공주 지역 일대에서 갑부로 유명한 인물이었다. 별달리 배운 것도 가진 것도 없었으나 한 여인을 만나 그녀를 충청감사의 소첩으로 소개하여 당시 최고의 갑부 자리에 올랐다. 김갑순이 노성군수로서 봉세관을 겸임하고 있을 때, 연산군에 있는 선희궁(宣禧宮) 소유의 궁...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고정리에 있는 조선 전기 공신 김겸광의 신도비. 김겸광 신도비는 이시애의 난을 평정하여 좌리공신 3등으로 광성군에 봉해진 김겸광의 공을 추대하여 1492년(성종 23)에 세웠다. 논산에서 국도 1호선을 타고 계룡 방향으로 약 11㎞ 가다 보면 계백사거리가 나온다. 여기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직진하면 고정리가 나온다. 신도비는 쇠머리에 위치해 있다. 1507년(...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고정리에 있는 조선 중기 문신 김계휘의 신도비. 김계휘(金繼輝)는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좌의정 김국광의 현손이며, 현감 김호의 아들로 사계 김장생의 아버지이다. 김계휘 신도비는 원래 고정리 마을 안에 있었으나 후대에 마을 입구로 옮겼다고 전한다. 연산역 남쪽에서 국도 1호선을 따라 서쪽으로 1.5㎞ 정도 가면 남쪽에 도로가 있다. 여기에서 1.3㎞ 정도 들어...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고정리에 있는 조선 중기 문신 김공휘 묘비. 우계 성혼과 율곡 이이 문하에서 수학하여 경전과 예학을 강구한 김공휘는 여러 요직을 역임하였는데, 어느 요직에서건 치적이 현저하였다. 김공휘는 연산 휴정서원에 배향되었다. 연산역 남쪽에서 국도 1호선을 따라서 서쪽으로 1.5㎞를 가면 남측에 도로가 있다. 여기에서 1.3㎞를 들어가면 광산김씨 유적이 분포하고 있는...
-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신충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김교준의 시혜 기념비. 김교준이 백성에게 은혜를 베푼 것을 기념하기 위해 비를 건립하였다. 김교준 기념비는 신충리에 있는 14기의 비석군 중 하나이다. 논산시에서 공주 방면으로 국도 23호선을 타고 약 14.86㎞를 가면 상월면사무소가 나온다. 김교준 기념비는 상월면사무소 담장 밖 도로변에 세워져 있다. 비석은 귀접이형으로 높이 11...
-
충청남도 계룡시 두마면 왕대리에 있는 조선 전기 김국광의 신도비. 김국광 신도비는 구 신도비와 신 신도비 2기가 나란히 자리하고 있다. 구비는 1489년(성종 20)에 세워졌고, 신비는 1726년(영조 2)에 세워졌다. 왕의 총애를 받았던 김국광은 병이 들어 사직한 뒤 병치레를 하였다. 왕이 이를 슬퍼하며 부의를 내리고 사후에 쓸 장사 지낼 기구를 보내주었는데, 김국광의 아들 김극...
-
충청남도 논산시 은진면 연서리에 있는 조선 말기 현감 김기순의 불망비. 불망비는 영세불망(永世不忘)의 줄인 말로 선정을 베푼 것을 영원히 잊지 않겠다는 의미에서 건립하였다. 그러나 김기순 불망비가 어떠한 연유로 이곳에 세워지게 되었는지 자세한 기록이 나와 있지 않아 좀 더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이나, 현감 김기순의 공적을 기리기 위해 백성들이 건립한 것으로 추정된다. 김기순 불망...
-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신충리에 있는 김동신의 기공비. 15대 상월면장이었던 김동신은 벌곡면장을 시작으로 두마 광석을 거쳐 상월면장으로 부임하였다. 1970년대 새마을운동의 활성화로 국위가 신장되고 농촌 근대화 사업으로 민심이 합해졌을 때 청렴결백한 성품으로 초지일관 면정에 기강을 확립하고 면정의 책임자로 활동하였다. 또한 우국사상과 애민사상이 투철하여 농촌 기반 사업으로 농로 개...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백석리에 있는 조선시대 면임 김두종의 불망비. 면임(面任)이란 조선시대 지방의 면에서 호적과 공공 사무를 담당했던 직책이다. 풍헌(風憲)·약정(約正)·존위(尊位)·권농(勸農)·집강(執綱)·도유사(都有司) 등으로도 불렸다. 조선 후기에는 국가의 향촌 지배 기구가 강화되어 향촌의 자치 영역인 면리가 직접적인 통제를 받게 됨으로써 면임이 부세를 비롯해 여러 행정...
-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신충리에 있는 조선시대 월오면장 김배국의 시혜비. 김배국 시혜비의 ‘시혜’는 보폐시혜(補弊施惠)를 줄인 말로 보폐(補弊)는 폐단을 바로 잡는다는 뜻이다. 이로 보아 김배국이 월오면장으로 재직하면서 백성들에게 선정을 베풀어서 비가 세워졌음을 알 수 있다. 논산에서 공주 방면으로 국도 23호선을 타고 약 14.86㎞를 가면 상월면사무소가 나온다. 김배국 시혜비는...
-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고내리 효죽마을에 있는 조선시대 공촌면장 김상식의 불망비. 공촌면은 조선시대 여산군(礪山郡)에 속한 면이다. 1914년 익산군 황화면(皇華面)에 통합되었고, 1963년 충청남도 논산군 구자곡면과 통합되면서 육군훈련소의 연무대(鍊武臺) 이름을 따 연무읍이라 하였다. 공촌면장이었던 김상식이 공촌면 주민들에게 베푼 은혜를 잊지 않기 위해 건립하였다. 논산시에서 전...
-
충청남도 논산시 양촌면 임화리에 있는 조선 중기 김성휘의 묘비. 김성휘는 유복자로 태어나 배움을 얻지 못했으나 산업에 힘을 기울여 인근에서 알아주는 부자가 되었다. 임진왜란 때는 나라가 재정적 어려움에 처하자 군량미를 헌납하여 국익을 도왔다. 벼슬은 형조참의에 이르렀고, 평생 일군 재산으로 구제 사업을 하면서도 절약하고 검소한 생활을 하면서 일생을 마쳤다. 양촌면사무소에서 대둔산...
-
충청남도 논산시 양촌면 임화리에 있는 조선 중기 김유휘의 묘표. 김유휘는 광산인으로 부사직을 지냈고, 손자인 김곤보(金坤寶)가 1620년에 병기 수송에 응모했던 일로 인하여 공조 참의가 추증되었다. 양촌면사무소에서 대둔산 운주 방면으로 1㎞ 정도 가다가 우회전한다. 양촌리 방면으로 3㎞ 정도 가다 보면 임화리 마을에 도착한다. 김유휘 묘표는 임화리 마을의 뒷산에 위치하고 있다. 김...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고정리에 있는 조선 중기 문신 김은휘의 묘갈. 김은휘(金殷輝, 1529~1611)의 자는 경회이고, 본관은 광산인으로 김계휘의 아우이다. 어려서부터 총명함이 출중하고 사리에 밝았으며 안력이 뛰어나서 책을 볼 때 10행을 한꺼번에 볼 수 있었다고 한다. 율곡 이이 및 구봉 송익필과 친교하였다. 관직은 천안현감을 비롯하여 여러 벼슬을 역임하였다. 논산에서 국도...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연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김응근의 불망비. 김응근(金應根, 1793~1863)의 본관은 안동(安東), 자는 계경(溪卿), 호는 의석(宜石)이다. 1816년(순조 16) 사마시에 합격하여 생원이 되고, 1822년 익위사세마가 되었다. 그 뒤 외직으로 여러 고을 수령을 거쳐 1857년 충청도관찰사겸순찰사에 제수되었다가 1860년 공조판서, 이어 형조판서를...
-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호암리에 있는 조선 중기 김임의 신도비. 김임의 본관은 고령, 자는 평경(平卿)으로 김수문의 부친이다. 김임은 노성에 거주하면서 1513년(중종 8) 진사로 호조판서에 증직되었는데, 당시 만석꾼으로서 인근 30리가 그의 소유지였다. 이에 산림재상(山林宰相)이라 불렸다고 전한다. 그러나 벼슬에 연연하지 않고 선비로 살면서 객들을 불러 술자리를 베풀고 풍류를 즐...
-
충청남도 논산시 가야곡면 두월리에 있는 조선 후기 김자건의 묘비. 김자건은 사계 김장생의 문인으로 시문에 뛰어났으며 서예가였다. 자는 이계이고, 광산인이다. 좌찬성 김극복의 후손으로 김덕린의 아들이다. 1656년(효종 7)에 재학으로 추천되어 선공감역 빙고별감을 지냈으나 효종이 승하하자 벼슬을 버리고 산수를 벗삼아 초야에 묻혀 살았다. 가야곡면사무소에서 지방도 602호선을 따라 동...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고정리에 있는 조선 중기 김장생의 신도비. 김장생 신도비는 성품이 곧고 강직하며 바른 것이 무엇이며 세상의 이치란 어떤 것인가를 알고는 학문에 힘쓴 김장생의 공과 인품을 기록하여 널리 후대에 알리기 위해 1634년(인조 12)에 건립되었다. 김장생 신도비는 김장생 묘소 일원에 위치하고 있다. 논산에서 국도 1호선을 타고 계룡 방향으로 약 11㎞ 가다 보면 계...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고정리에 있는 조선 중기 김종윤의 묘표. 연산역의 남쪽에서 국도 1호선을 따라서 서쪽으로 1.5㎞를 가면 남측에 도로가 있다. 여기에서 1.3㎞를 들어가면 광산김씨 유적이 분포하고 있는 고정리 마을에 이른다. 김종윤 묘표는 고정리 거정 터에 위치하고 있다. 오랜 세월의 풍우로 자획이 마모되어 묘 옆에 새로이 묘비를 세워놓았다. 1538년(중종 33)에 세워진...
-
충청남도 논산시 벌곡면 양산리에 있는 조선 중기 김집의 신도비. 김집 신도비는 사계 김장생의 아들로 태어난 김집이 아버지 못지않게 학자로서 뛰어나고 청렴한 삶을 산 것을 후손에게 길이 알리고 본받게 하기 위해 1659년(효종 10)에 양산리 고운사지에 세웠다. 논산에서 국도 1호선을 타고 계룡 방향으로 약 13.8㎞ 가다 보면 계백사거리가 나온다. 여기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약 4....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고정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김철산의 묘비. 김철산의 아버지는 증좌찬성(贈左贊成) 김문(金問)이며, 어머니는 증정경부인 양천허씨(陽川許氏)이다. 천품이 순후하고 강직하여 모두가 숨은 덕이 있다고 칭송하였다. 순충적덕병의보조공신에 책봉되었고, 대광보국 숭록대부 영의정부사 광성부원군에 추증되었다. 처음 세워진 묘비는 오랜 세월의 풍우로 인해 마모되었고, 172...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임리에 있는 조선 후기 김한수의 불망비. 김한수의 공적을 잊지 않기 위해 지역 주민들이 건립한 불망비이다. 김한수(金韓洙)의 활동에 대해서는 구체적인 기록을 찾기 어렵지만, 『방여총지(方輿總志)』 전라도 지역 증직 인사 명단에 순조 연간 ‘광산인감찰(光山人監察)’로 올라 있는 점을 감안할 때, 1830년에 비가 건립된 것으로 보인다. 논산시에서 계룡 방향으로...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백석리에 있는 조선 후기 면장 남덕원의 불망비. 남덕원 불망비는 면장 남덕원이 베푼 선정을 기려 면민들이 건립하였다. 연산면소재지에서 공주로 통하는 포장도로를 따라 약 6.5㎞쯤 가면 백석리에 이르는데, 남덕원 불망비는 도로의 오른쪽에 김두종 불망비와 함께 자리하고 있다. 근처에 이공겸 부부 효열 정려가 자리 잡고 있다. 비석은 호패형으로, 비의 앞면에 ‘면...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연산리에 있는 조선시대 남일우의 거사비. 충청도관찰사겸순찰사 남일우가 연산 지역 백성들에게 선정을 베푼 것을 기려서 건립되었다. 거사비는 감사(監司)나 수령이 갈린 뒤에 그 선정을 사모하여 고을 주민들이 세운 비석으로 특별한 의미를 지니고 있다. 논산시에서 계룡 방향으로 국도 1호선을 타고 약 12.82㎞ 가다 보면 연산사거리가 나온다. 여기에서 상월 방면으...
-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읍내리에 있는 조선 말기 두사면장 남정로의 영세불망비. 남정로 불망비가 자리 잡고 있는 읍내리는 무정리·남산리·홍문리·상반리·왕림리·죽촌의 일부와 요동과 고랑리 일부를 병합한 구역으로, 이에 두사면장 남정로의 불망비가 현재의 위치에 세워진 경위를 유추할 수 있다. 두사면(豆寺面)은 대동리, 대산리, 중산리, 소산리, 고랑리의 5개 리를 관할하는 작은 면으로서...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관동리에 있는 조선 후기 연산현감 남준응의 선정비. 남준응이 사마시에 합격하여 연산현감을 지내면서 선정을 베푼 공적을 기리기 위해 연산현 주민들이 세웠다. 원두갈로, 비의 석질은 화강암이고, 비의 크기는 높이 101㎝, 너비 43㎝이다. 비의 앞면에 ‘현감남후준응선정비(縣監南侯駿應善政碑)’라고 기록되어 있다. 연산현감을 지내고 떠난 사람 중 선정비가 세워진...
-
충청남도 논산시 대교동에 있는 조선 후기 논산석교를 중수한 뒤 세운 2기의 비. 은진현감 서증보(徐曾輔)가 큰 장마로 유실된 다리에 큰 돌을 놓아 논산 지역의 발전에 기여하고, 전라도에서 한양으로 가는 통행인들에게 편의를 제공한 것을 기념하기 위해 건립된 비로, 1846년(헌종 12)과 1858년(철종 9)에 건립하였다. 논산시에서 득안대로를 타고 강경 방향으로 약 2㎞ 가다가 놀...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임리 돈암서원에 있는 조선 중기 원정비. 돈암서원 원정비는 돈암서원을 세우게 된 배경과 서원의 구조를 남기기 위해 건립한 비석이다. 사계 김장생과 신독재 김집의 학문과 성품을 칭송하는 글도 새겨 놓았다. 연산면소재지인 청동리의 연산역 남쪽 국도 1호선을 따라 서쪽으로 2.3㎞를 가면 도로 남쪽에 돈암서원 입구가 있다. 돈암서원 원정비는 서원 내의 강당 건물인...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임리 돈암서원에 있는 조선 말기 돈암서원 이건비. 돈암서원은 1634년(인조 12)에 건립되어 사계 김장생, 신독재 김집, 동춘당 송준길, 우암 송시열을 배향한 서원이다. 돈암서원은 본래 현재 위치에서 약 1.5㎞ 떨어진 숲말에 있었다. 숲말에는 김장생 아호의 연원인 사계천이 흐르고 있었는데, 홍수로 사계천이 범람하여 서원의 담장을 침색해 들어오게 되었다고...
-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금곡4리 모청마을에 있는 조선 말기 무작금의 충노비. 무작금 비는 이례적으로 김수남의 정려와 묘소에 각각 한 기씩 세움으로써 죽어서도 충신 김수남을 지키는 충노로서 역할을 하게 하였다. 김수남의 묘소는 전라북도 완주군 화산면 운산리에 있지만 김수남은 은진면 사람으로 정려가 연무읍 금곡4리에 있어 무작금의 비 또한 김수남 정려 옆에 세워져 있는 것을 알 수 있...
-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교촌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불망기념비. 무후지고혼 불망기념비는 충·효·열 삼강(三綱)을 행하고 죽은 인물 중 자손이 없어서 그 행적이 전해지지 않는 이들의 넋을 위로하기 위해 세워졌다. 논산에서 공주 방향으로 국도 23호선을 타고 약 10.4㎞ 가다 보면 하도교차로가 나온다. 여기에서 좌회전하여 약 3㎞ 가다가 상월 방면으로 우회전하여 가다 보면 노성 궐리사가...
-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읍내리에 있는 조선시대 현감 민동호의 선정비. 논산시에서 공주 방향으로 국도 23호선을 타고 약 10.2㎞ 가다 보면 하도교차로가 나온다. 여기에서 왼쪽으로 0.19㎞ 가다가 우회전하여 오른쪽 방향으로 약 2㎞ 직진하면 갈림길이 나오는데, 상월 방면으로 우회전하여 가다 보면 노성면사무소가 보인다. 민동호 선정비는 노성면사무소 근처에 있는 노성교회 아래 노성면...
-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읍내리에 있던 조선 말기 도순사 민영상의 영세불망비. 『고종실록(高宗實錄)』의 기록에 의하면, 민영상이 자신이 관할하는 평택(平澤)과 직산(稷山) 두 고을의 백성이 곤궁하고 어려움에 처하자 세금 감면을 요구하였다고 되어 있어, 이러한 공적으로 불망비가 세워진 것이 아닌가 짐작된다. 1889년(고종 26) 2월 10일자 『승정원일기(承政院日記)』에는 민영상 불...
-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고내리에 있는 조선 후기 여산부사 민의호의 불망비. 논산시에서 전주 방향으로 국도 1호선을 타고 약 8.95㎞ 직진하다 보면 황화교차로가 나온다. 여기에서 왼쪽 방향으로 가다 보면 봉곡서원이 나온다. 민의호 불망비는 봉곡서원 바깥 담장 아래에 서향으로 서 있다. 비석은 귀접이형으로 높이 100㎝, 너비 40.5㎝, 두께 11㎝이다. 앞면 좌우에 공적 내용이...
-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읍내리에 있는 조선 후기 공충도관찰사를 지낸 민치상의 선정비. 민치상(1825~1888)은 1867년 공충도관찰사가 되었으며, 뒤이어 1870년 11월까지 공충감사(公忠監司)를 잉임(仍任)한 기록이 있다. 민치상 선정비가 신미년에 건립되었으므로 민치상의 재임 시기와 신미년을 대조하면 1871년(고종 8)을 선정비의 건립 연대로 짐작할 수 있다. 논산시에서 공...
-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고내리에 있는 조선시대 사인이었던 박동래의 불망비. 사인 박동래가 백성에게 베풀었던 은혜를 기리고 오래도록 잊지 않기 위해 건립하였다. 논산시에서 전주 방향으로 국도 1호선을 타고 약 8.95㎞ 직진하다 보면 황화교차로가 나온다. 여기에서 왼쪽 방향으로 가다 보면 봉곡서원이 나온다. 박동래 불망비는 봉곡서원 바깥 담장 아래에 서향하여 서 있다. 비석은 귀접이...
-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대우리에 있는 조선 후기 박동민의 신도비. 신도비는 종2품 이상의 벼슬을 지내야 세울 수 있는데, 박동민은 사후에 증직되어 종2품인 참판 벼슬을 받아 신도비를 세우게 되었다. 증조와 조부가 현달하고 형제와 아들이 높은 벼슬을 한 집안이다. 묘를 이곳에 쓰고 자손들이 세거하면서 번성하고 있다. 박동민은 예빈시참봉으로 있으면서 1593년(선조 26)에 죽었으나...
-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교촌리에 있는 조선 말기 통훈대부참봉 박상규의 기념비. 1905년(고종 42) 4월 8일자 대한제국기 관보인 「궁정록사」에 의하면, 박상규는 개성 대흥산성 목청전 행궁 영건 때 활동한 인물로 기념비의 조성 시기도 비슷할 것으로 보인다. 노성면 교촌리 궐리사 외삼문 서편으로 20m 떨어진 곳에 세워져 있다. 농대석 위에 비신을 세우고 지붕돌[가첨석]을 올려놓았...
-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대우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박세기의 신도비. 숙종 때에 승지를 지낸 박세기의 본관은 반남으로, 할아버지는 반남박씨 논산 입향조인 박동민이며, 아버지는 박훈이다. 박세기가 죽은 뒤 자손들이 번창하고 부유해지자 박세기가 죽은 지 229년 만인 1920년에 증직된 좌승지 직책으로 신도비를 세우게 되었다. 원래는 상월면 대우리 박세기 묘소 아래에 있었는데, 2006년...
-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학당리에 있는 조선 중기 박종원의 묘표. 박종원은 관직에 나가지 않았으나 집안이 부유하여 재산을 백성을 구휼하는 데 사용하였다. 그는 비록 입신양명하지 않았으나 백성을 위해 자산을 썼기에 왕이 이를 귀히 여겨 관직을 내렸다. 이에 1672년(현종 13) 상월면 학당리에 묘표로 기록하여 남겨 후손들에게 널리 알리기 위해 건립하였다. 논산에서 국도 23호선을 타...
-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학당리에 있는 박증의 조선 중기 묘표. 박증의 자는 익지이고 호는 암천으로 본관은 무안이다. 천성이 매우 청렴하고 강직했으며, 사후에 형조참의를 제수받았다. 본래 노성의 모곡서원에 배향되었으나 서원이 철폐된 이후에 묘소가 있는 당점산의 당호재와 복원된 충곡서원에서 배향되고 있다. 박증 묘표는 박증이 죽은 지 150여 년이 지난 1670년(현종 11)에 건립되...
-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학당리에 있는 조선 후기 박훈의 묘표. 1797년(정조 21) 박훈의 증손이 증조부의 공을 기리기 위해 상월면 학당리에 위치한 박훈과 부인 광주김씨의 묘 앞에 세웠다. 논산시에서 국도 23호선을 타고 공주 방향으로 약 14㎞ 가다 보면 상월 방면으로 가는 갈림길이 나온다. 여기에서 지방도 691호선을 타고 약 2㎞ 가다 보면 학당리가 나온다. 박훈의 묘소는...
-
충청남도 논산시 양촌면 인천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부여서씨의 열녀비. 부여서씨는 서옥훈(徐鋈勳)의 딸로, 소진철(蘇鎭喆)의 부인이다. 어려서부터 천성이 어질고 부모에 대한 효성이 남달라 주위에서 칭찬이 자자하였다. 13세에 소진철과 결혼한 후 시부모를 잘 모시고 남편을 지극히 공경하니 효부라고 칭찬하였다. 그러던 어느 날 남편이 병에 걸려 자리에 누웠는데, 좋다는 약은 다 구하여 정...
-
충청남도 논산시 가야곡면 두월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열의 묘표. 1694년(숙종 20) 당시 논산시 가야곡면의 대표적 세거성씨인 부여서씨 인물 중 판관을 지내고 통례원 벼슬을 지냈던 서열의 묘소 앞에 있던 비석이 너무 오랜 시간 비와 바람에 의해 심하게 마모되어 비문의 내용을 알아볼 수 없게 되었다. 이를 안타깝게 여긴 서열의 10세손 서경조가 부여서씨 후손들과 상의하여 자금을 모...
-
충청남도 논산시 가야곡면 삼전리에 있는 조선 중기 서익의 묘갈. 1672년(현종 13) 서익의 묘소 앞에 세워져 있는 묘갈로 서익의 행적이나 업적, 관직 등 서익 개인에 관련된 이야기를 기록하고 있으며 또한 그의 후손들에 대해 자세하게 적고 있다. 육곡리에 위치한 가야곡면사무소에서 지방도 602호선을 따라 동쪽으로 500m 정도 가서 다시 남쪽으로 향하는 지방도 643호선을 따라...
-
충청남도 논산시 가야곡면 육곡리 행림서원에 있는 조선 중기 서익(徐益, 1542~1587)의 묘정비. 서익의 묘정비는 서익선생의 인품과 학문적 소양을 높이 추모하기 위해 세운 것으로 1867년(고종 4)에 건립되었다. 가야곡면 육곡리 덕은골은 부여서씨의 집성촌이다. 덕은골은 백제 때 은진현 바깥을 다스리는 큰 고을이었는데, 부여서씨의 경우 이때부터 궁중을 드나드는 권위 있는 성씨였...
-
충청남도 논산시 가야곡면 두월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서정수의 묘표. 서정수 묘표는 논산시 가야곡면의 세거성씨인 부여서씨 중 가야곡면에 처음 입향한 입향조 서정수(徐貞壽)의 묘 앞에 세운 묘표로서, 1694년(숙종 20)에 후손인 서경조(徐敬祖)가 세웠다. 비명은 서정수가 찬(撰)하고 서(書)하였다. 가야곡면사무소에서 지방도 602호선을 따라 동쪽으로 난 육곡교를 건넌 후 북쪽으로 향...
-
충청남도 논산시 가야곡면 삼전리에 있는 조선 중기 서필원의 인정비. 서필원 인정비는 서필원이 전라도관찰사를 역임한 후 다시 대사성이 되어 전라도를 떠나자 지역 백성들이 건립한 것이다. 서필원의 공적을 살펴보면, 1659년(효종 10) 전국적으로 흉년이 들었을 때 자신의 봉록을 내어 백성을 구휼하고, 소 전염병이 돌아 경작이 어려울 때에는 다른 도로부터 소를 얻어 나누어 주었다고 한...
-
충청남도 논산시 가야곡면 양촌리에 있는 조선 후기 성삼문의 묘비. 매죽헌(梅竹軒) 성삼문(1418~1456)은 1435년(단종 1)에 생원 급제하였고, 1438년 대과에 급제하여 세종, 문종, 단종을 내리 섬기고 벼슬이 승지에 이르렀다. 단종이 복위 운동을 전개하다가 세조에 의해 처형을 당하였는데, 지금의 노량진역 부근에서 다리를 꿰뚫고 사지를 찢는 처형을 받았다. 이런 성삼문의...
-
충청남도 논산시 부적면 충곡리에 있는 성삼문의 유허비. 1673년 충청남도 논산시 부적면 충곡리 446-2에 세워졌다가 후에 충곡서원으로 옮겨졌다. 성삼문의 관작이 회복되자 1692년 성삼문 사당을 동쪽으로 옮기고, 성삼문과 절의 5신을 모셨다. 1702년 계백을 주벽으로 하여 향현 8선생을 봉안하였다. 1827년 원래 유허비가 있던 자리에는 앞면에 ‘창녕성선생유허비(昌寧成先...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화악리에 있는 조선 전기 문신 송문림의 묘표. 여산송씨(礪山宋氏)는 여말선초(麗末鮮初)에 연산 화악리에 세거하기 시작하였다. 송서(宋瑞)의 아들인 송윤번(宋允蕃)이 진잠(鎭岑)에 살다가 그 아들 송전(宋琠)이 화악리로 이거해 살기 시작했다. 이미 송윤번의 셋째 딸이 고성 사람과 결혼하여 고양리에 내려와 세거하게 되었고 송전(宋琠)의 딸은 기계인(杞溪人) 유효...
-
충청남도 논산시 성동면 원북리에 있는 조선시대 수탕석교에 대한 3기의 비석. 『동국여지승람(東國輿地勝覽)』 「석성현조」에 “수탕포와 수탕석교가 석성현의 동쪽 7리에 있고, 수탕원이 동쪽 13리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다. 이는 성동면 지역이 포구에 원과 다리가 있는 중요한 교통 요지였음을 알 수 있게 해준다. 수탕석교를 중수하고 그에 대한 기록을 남긴 수탕석교비군은 사적비,...
-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신충리에 있는 조선시대부터 현대까지 세워진 14기의 비석군. 상월면사무소 담 밖 도로변에 비석 14기가 일렬로 동쪽을 향하여 세워져 있다. 원래 신충3리에 있던 것을 1983년 면사무소 준공과 함께 현 위치로 옮겨 왔다. 북쪽에서 남쪽 방향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① 군수김후갑순청덕선정비(郡守金侯甲淳淸德善政碑)는 지붕[옥개]형(屋蓋形)으로 갑진년 11월에...
-
충청남도 논산시 양촌면 중산리 쌍계사에 있는 조선 후기 사찰 중건비. 쌍계사 중건비는 쌍계사 입구에 부도군과 함께 서 있는데, 비문에 의하면 쌍계사는 고려 후기에 이행촌의 발원으로 세워진 사찰로, 목은 이색이 쓴 문기가 전한다. 쌍계사는 본래 고려 때에 창건된 사찰로, 화재로 소실되었다가 승려 성능과 극찰이 다시 일으킨 것이다. 쌍계사 중건비는 1739년(영조 15) 쌍계사가 건립...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고정리에 있는 조선 중기 김문의 처 양천허씨 묘비. 양천허씨는 17세의 나이에 당시 충청도관찰사를 지낸 김약채의 아들 김문과 결혼하였으나 남편이 병으로 일찍 세상을 떠나 어린 나이에 청상과부가 되었다. 양천허씨는 이미 김철산을 임신하고 있었는데, 시집이 있었던 연산면으로 내려와 아들을 낳고 가문이 번창할 수 있도록 밑바탕을 만들어주었다. 양천허씨의 아들인 김...
-
충청남도 논산시 양촌면 인천리에 있는 조선 말기 판관 오일영의 불망비. 1888년(고종 25)에 판관을 지낸 오일영의 치적을 기리기 위해 세운 불망비이다. 원두형 단갈로, 비의 석질은 화강암이다. 비신의 높이는 100㎝이고 폭이 42㎝이다. 비의 앞면에 ‘판관오후일영영세불망비(判官吳侯鎰泳永世不忘碑)’라 기록되어 있다. 인천리 은정자 밑에 세워져 있는 오일영 불망비는 작은 단갈로 길...
-
충청남도 논산시 채운면 야화리에 있는 조선 말기 원항교를 재건하면서 세운 비석. 채운면 야화리 방축천 위를 지나는 호남선 철교 아래 북쪽에 조선시대의 다리인 원항교가 있고, 다리의 동쪽에 원항교 개건비가 남향으로 세워져 있다. 1900년(고종 37) 4월에 큰비로 원항교가 무너지자 군수 이범선의 주도로 온 고을 사람들이 힘과 재물을 모아 다리를 개건하고 비석을 세웠다고 한다. 또한...
-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병사리에 있는 조선 중기 유연의 묘소 앞에 세워진 묘표. 유연(柳淵)은 통정대부를 지내고 노성면 병사리로 낙향하여 살았다. 아들이 있었지만 후사가 없었다. 두 딸을 두었는데 한 명은 청주한씨에게, 다른 한 명은 파평윤씨에게 출가하여 재산을 두 딸에게 분재하였다. 병사리에는 파평윤씨들이 오래전부터 세거하고 있었는데, 이곳에는 유연의 묘와 큰사위인 한여헌 묘,...
-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장구리에 있는 조선 후기 윤경교의 묘비. 윤경교는 파평인으로 자는 양일, 호는 장호이다. 윤황의 증손이며, 윤변의 아들로 1632년(인조 10) 9월 18일에 태어났다. 1657년에 진사에 합격하였고, 1663년 식년문과 을과에 급제하여 지평에 이르렀으며, 1670년(현종 11) 문학이 되었다. 남인 허적을 탄핵하다 갑산에 유배되었다가 풀려나와 1681년 공...
-
충청남도 논산시 광석면 갈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윤문거의 묘비. 윤문거의 자는 여망이고, 호는 석호이며, 본관은 파평으로 팔송 윤황의 아들이다. 김집의 문인으로 1630년(인조 8) 생원이 되었고, 1633년 식년문과 병과에 급제하여 검열, 설서, 낭관, 정언, 부수찬, 부교리 등을 지냈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청과의 화의가 그릇됨을 주장하고 끝까지 싸워 나라를 지킬 것...
-
충청남도 논산시 광석면 갈산리 상정마을에 있는 윤문거의 신도비. 윤문거의 본관은 파평으로, 자는 여망이고 호는 석호이다. 대사간 윤황의 아들로 태어나 1633년(인조 11)에 식년문과에 급제하여 검열, 설서, 낭관, 정언 부수찬, 부교리 등을 지냈다. 1636년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부친을 따라 남한산성에 들어가 임금을 호종하였다. 1639년 부친상을 당하여 3년간 상을 마친 후에...
-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병사리에 있는 조선 후기 윤수의 묘표. 윤수는 파평인으로 윤창세의 장남이다. 자는 명숙, 호는 운봉으로, 아들이 없어 윤황의 아들 윤순거가 양자로 들어와 대를 이었다. 명종 때에 문과에 급제하여 죽주도호부사를 지냈고 후에 도승지에 추증되었다. 윤수가 죽은 지 17년 지났을 때 묘표를 세워 자손들이 알아보도록 하게 해달라는 윤덕요의 요청에 윤순거가 명을 썼다....
-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병사리에 있는 조선 후기 윤순거의 신도비. 윤순거(1596~1668)는 자는 노직(魯直)이고, 호는 동토(童土)이다. 윤황의 아들로서 어려서는 성문준에게 수학했고, 시는 강항에게, 예는 김장생에게 배웠다. 1633년(인조 11) 사마시에 합격하였는데, 1636년(인조 14) 병자호란 때 아버지 윤황이 귀양가고, 숙부는 강화도 싸움에서 순절하자 집안과 나라의...
-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고내리 봉곡서원에 있는 조선시대 선비 윤용병의 청렴비. 윤용병은 청렴한 선비로, 도박과 내기를 싫어하고 청렴하게 살았는데, 이를 기리기 위해 은진현 유림들이 연무읍 고내리 봉곡서원 바깥마당에 다른 비들과 함께 나란히 청렴비를 세웠다. 비의 형식은 귀접이 단갈로, 비의 규모는 높이 100㎝, 폭 40㎝, 두께 16㎝이다. 비의 앞면에 ‘사인윤용병견도청렴비(士人...
-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병사리에 있는 조선 후기 윤전의 신도비. 윤전은 파평인으로 윤창세의 아들이고 팔송 윤황의 아우이다. 성혼의 문인으로 1610년(광해군 2) 문과에 급제하고 1624년(인조 2) 이괄의 난을 피하여 왕을 공주까지 호송하여 공조정랑이 되었다. 정랑을 지내다가 필선이 되었고, 병자호란을 만나 강화도에서 전사하였다. 윤전은 사후 이조판서에 증직되고 충헌의 시호를 받...
-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병사리에 있는 조선 후기 윤절과 부인 남원윤씨의 묘표. 인조 때 문과에 급제하여 구찬을 지낸 윤절과 그의 부인인 남원윤씨 묘소 앞에 세워져 있는 묘표로서, 1716년(숙종 42)에 묘표를 세워 묘의 주인을 밝히고 그의 행적과 업적을 칭송하기 위해 세웠다. 노성면소재지에서 공주로 향하는 국도 23호선을 따라 약 2.8㎞ 정도 가면 도로 왼쪽에 병사리 1구 마을...
-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병사리에 있는 조선 후기 윤진의 신도비. 윤진은 1631년(인조 9)에 태어나 1698년(숙종 24)에 사망하였다. 윤진의 자는 자경이고 호는 덕포이며 본관은 파평이다. 윤순거의 아들로 1652년 생원시에 급제하고 빙고별검으로 있다가 1666년(현종 7)에 별시에 장원으로 급제하여 지평, 이조좌랑, 수찬, 병조정랑 등을 거쳐 부교리가 되었다. 왕에게 붕당을...
-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병사리에 있는 조선 중기 윤창세의 묘비. 논산시 노성면 병사리에는 노종 5방파의 아버지이며, 파평윤씨가 전성기를 구가할 수 있는 밑거름이 되었던 윤창세의 묘비가 세워져 있다. 윤창세는 처음 논산으로 이거한 파평윤씨 윤돈의 아들로 노성면 병사리로 처음 터전을 옮긴 인물로서, 평소 효심이 깊어 자손과 제자들로부터 효렴공(孝廉公)이라 불렸으며, 나라에 대한 충절도...
-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하도리에 있는 조선 후기 윤행교의 묘표. 윤행교의 묘는 원래 공주 작곡에 있던 것을 전주 팔봉산 아래로 이장하였다가 후에 다시 지금의 노성면 하도리로 이장하였다. 윤행교 묘표는 묘를 이장한 후 1697년(숙종 23)에 윤행교의 가계, 성품, 행적을 기록하여 후손들이 본받을 수 있게 하였다. 공주-논산 간 구 도로를 타고 가다 보면 노성면 하도리 노성비행장이...
-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장구리에 있는 조선 중기 윤황의 묘비. 노성면 장구리에 있는 파평윤씨 노종 5방파 중의 한 사람인 문정공(文正公) 윤황(尹煌)의 묘비로, 가계와 행적, 그가 올렸던 상소문의 내용들이 새겨져 있다. 윤황은 윤창세(尹昌世)의 둘째 아들로 태어났으며 우계 성혼의 문인으로 글씨를 잘 썼다. 인조 때 문신으로 활약하였는데 병자호란 당시 김상헌 등과 척화를 강력히 주장...
-
충청남도 논산시 채운면에 있던 조선 후기 은진 미내에 석교를 세운 것을 기념한 비. 조선 전기에 충청도와 전라도를 잇는 옛길이 있었고, 큰 냇물이 흘러 작은 돌다리를 놓아 통행하였다. 어느 해 큰 홍수가 나고 다리가 유실된 지 꽤 오랜 세월이 흘렀는데도 복구가 이루어지지 않아 주민들의 통행에 많은 불편을 주었다. 관청에서도 손을 대지 않자 이 고을 석설산과 송만운을 중심으로 황산의...
-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읍내리에 있는 19개의 비석군.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번영회관 앞에 비석 19기가 북동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다. 시멘트 바닥에 일렬로 세워 놓아 아랫부분의 글자는 잘 보이지 않는다. 비석의 형태를 동쪽에서 서쪽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 호패형(戶牌形)으로 표면이 심하게 마모되어 글자를 판독하기 어렵다. 2. 행현감이후승기영세불망비(行縣監李侯承紀永世不...
-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읍내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이광좌의 불망비. 이광좌는 경주 사람으로 호는 운곡(雲谷)이다. 이항복의 고손으로 1697년에 별시문과에 장원하여 벼슬길에 나갔다. 신임사화 후에 노론을 제거하고 소론 정권이 수립되자 예조판서를 거쳐 영의정에 올랐다. 1755년 나주의 벽서사건으로 관작이 추탈되었다. 이광좌가 예조참판으로 있을 때 노성 지역을 지나면서 군민을 구...
-
충청남도 논산시 은진면 연서리에 있는 조선시대 은진현감 이도선의 불망비. 이도선이 은진현감의 임기를 마치고 떠날 때 은진현 주민들이 이도선의 선정을 기리고자 세운 비이다. 이도선 불망비는 연서리의 은진면사무소 마당에 세워져 있다. 이도선 불망비는 원래 은진면 교촌리 비석거리에 있던 것을 2004년 현재의 위치로 이건하였다. 비의 석질은 화강암이고, 비신의 크기는 높이 140㎝, 폭...
-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고내리에 있는 조선 후기 부사 이두현의 불망비. 논산시에서 전주 방향으로 국도 1호선을 타고 약 12.48㎞를 가면 논산시 연무읍이 나온다. 여기에서 왼쪽으로 약 2.94㎞를 가다 보면 고내리가 나온다. 이두현 불망비는 고내리 효죽골에 자리 잡고 있는 봉곡서원 바깥 담장 아래에 황화정비, 김상식 불망비 등과 함께 세워져 있다. 비의 석질은 화강암으로, 비의...
-
충청남도 논산시 은진면 연서리에 있는 조선시대 은진현감 이민제의 불망비. 이민제가 은진현감으로서 지역민에게 선정을 베풀고 떠나자, 은진현 주민들이 그 공을 기리기 위해 세운 불망비이다. 이민제 불망비는 원래 교촌리 비석거리에 있던 것으로, 2004년 은진면사무소 마당으로 이건, 보존하고 있다. 비의 석질은 화강암이고, 비신의 크기는 높이 110㎝, 폭 50㎝이다. 비의 앞면에 ‘현...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청동리에 있는 조선 후기 이민진의 묘비. 이민진 묘비는 병자호란 당시 외적과 싸우다 장렬히 전사한 이민진의 증직과 행적을 새겨놓은 묘비이다. 이민진 묘비는 병자호란이 끝난 지 200여 년이 지난 1838년(헌종 4)에 세워졌다. 병자호란이 끝난 후 200여 년이 지난 후인 1838년(헌종 4)에 이민진의 충절이 조정에 알려지면서 정려를 하사받게 되었다. 이민...
-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주곡리에 있는 조선 후기 이사길의 묘비. 이사길(李師吉)은 1639년(인조 17)에 이양의 아들로 태어나 사산감역관을 지내고 임기를 마칠 즈음에 병을 얻어 사망하자 노성 술골(주곡리)에 장사하고 후에 묘비를 풍비로 세워놓았다. 이사길은 1703년(숙종 29)에 사망하였는데, 1711년(숙종 37)에 아들이 출세를 하여 가선대부 사헌부대사헌에 증직되었다. 이에...
-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석종리에 있는 조선 후기 이삼의 묘표. 이삼(李森)은 1677년(숙종 3) 상월면 주곡리에서 감역을 지낸 이사길(李師吉)의 아들로 태어났다. 윤증(尹拯)의 문하에서 수학했으며, 1705년(숙종 31) 무과에 급제하여 정주목사·수원부사·한성부우윤을 거쳐 벼슬이 훈련대장에 이르렀다. 1728년 이인좌의 난을 평정한 공으로 분무공신 2등에 올라 함은군(咸恩君)에...
-
충청남도 논산시 가야곡면 조정리에 있는 조선 중기 은진현감 이소의 선정비. 이소는 전주 사람으로 주계군과 이소재의 문하에서 공부했으며, 우계 성혼과 교의을 맺었다. 선조 때에 문과에 급제하여 사옹원주부에 이르고, 광해군 때에 관직을 버리고 낙향하였다가 인조반정 후에 이조참판에 임명되었으나 사양하고 은진현감으로 내려와 선정을 베풀어 부임한 지 8개월 만에 고을 인심이 순화되었다고 전...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연산리와 노성면 읍내리에 있는 조선 후기 이승기의 영세불망비 두 기. 이승기는 한산 사람으로 자는 기경(紀卿)이다. 은진현감과 연산현감, 노성현감 등을 지냈다. 이승기 불망비는 두 기로, 한 기는 연산면 연산리에 있고 또 한 기는 노성면 읍내리 비석거리에 세워져 있다. 연산면 연산리에 있는 이승기 불망비는 1882년(고종 19) 9월 23일에 연산현감으로 부...
-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신충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노성군참사를 지낸 이시우의 기념비. 1915년 노성군참사를 역임한 이시우의 행적을 기념하기 위해 주민들이 세운 비이다. 이시우 기념비는 원래 신충3리에 있던 비석거리에 세워져 있었는데, 1983년 상월면사무소를 현재의 자리인 신충리 53-2[백일헌로 1049]에 짓고 나서 담장 밖 도로 변에 옮겨 세웠다. 이시우 기념비 외에도 김갑순...
-
충청남도 논산시 양촌면 거사1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열녀 이완경을 기리는 비. 이완경은 이원린의 딸로, 염재훈의 처이다. 남편을 잘 모시고 가정을 화목하게 이끌어 주위에서 부러워하지 않은 이가 없었다. 비록 남편이 한쪽 다리가 불편한 불구의 몸이었지만 부부 간의 금실도 좋았다. 그러던 어느 날 성난 맹수가 집안으로 뛰어 들어와 병든 남편을 덮치려 하자 몸을 던져 맹수를 가로막았다....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청동리 청동골에 있는 조선 중기 이장경의 비석. 이장경 묘갈은 가평이씨 후손들이 예산현감·안음현감 등 여러 관직을 역임하였던 이장경의 행적을 후손들에게 널리 알리고 칭송하기 위해 1537년(중종 32) 논산시 연산면 청동리 청동골에 건립하였다. 연산면소재지에서 동쪽으로 600m를 가면 연산중학교가 나온다. 연산중학교의 전면에는 국도 1호선이 지나는데 여기에서...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청동리 청동골에 있는 조선 중기 이장생의 비석. 이장생(李長生)은 1467년(세조 13) 봉산군수를 지낸 이철근의 아들로 태어났다. 1490년 갑과에 급제하여 용양위후부장에 제수되었다가, 선전관으로 발탁되고 함경도절도사와 충청수군절도사 등을 역임하였다. 형조참판이 되어 사은사로 중국 연경에 다녀오고, 병조판서를 거쳐 평안도절도사를 역임하였다. 동생은 이장경(...
-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신충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이종덕의 기념비. 일제강점기에 마름을 지낸 이종덕이 재해를 입은 사람들에게 베푼 은혜에 보답하기 위해 마을 주민들이 경비를 마련하여 세운 비이다. 이종덕 시혜비는 원래 신충3리에 있던 비석거리에 세워져 있었는데, 1983년 상월면사무소를 현재의 자리인 신충리 53-2번지[백일헌로 1049]에 짓고 나서 담장 밖 도로 변에 옮겨 세웠다...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청동리 청동골에 있는 조선 중기 이철근의 묘표. 이철근은 1449년 가평군 이형손의 아들로 태어났다. 일찍 조정에 나가 경기수운관·포천현감 등을 역임하고 통훈대부의 관직에까지 이르렀다. 1491년 충주판관으로 북정에 참여하였으며 진산군수·봉산군수 등을 역임하였다. 아들은 이장생과 이장경이다. 이철근 묘표는 1508년(중종 3) 후손들에게 이철근의 행적을 칭송...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연산리에 있는 조선시대 연산현감을 지낸 이초로의 거사비. 이초로는 전라남도 함평 사람으로 사마시에 합격하여 진사가 되었다. 1650년(효종 1) 2월 연산현감으로 취임하여 동년 8월에 사직하였다. 이초로가 연산현감을 사직한 뒤 연산 주민들이 그가 재임 당시 행했던 치적을 기리고자 거사비를 세웠다. 논산시에서 계룡 방향으로 국도 1호선을 타고 약 12.82㎞...
-
충청남도 논산시 은진면 연서리에 있는 이항국의 공적비. 은진 지역에서는 예전부터 농촌 특산물로 복숭아 나무를 많이 재배하고 있었다. 그런데 재래종은 복숭아 수확 시기가 똑같아 한꺼번에 출하가 되기 때문에 가격이 하락하여 농촌 수익이 줄어들게 마련이었다. 황해도 황주 태생으로 1947년 2월에 은진 지역에 정착한 이항국은 이를 안타깝게 여겨, 1950년 3월, 일찍 수확할 수 있는...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청동리 청동골에 있는 조선 중기 이형손의 비석. 신도비(神道碑)는 조선시대 임금이나 2품 이상의 관직에 있던 사람의 무덤 앞이나 길목에 세워 죽은 이의 사적을 기리는 비석이다. 묘갈(墓碣)은 신도비와 비슷하지만, 3품 이하 관리의 무덤 앞에 세우는 머리 부분이 둥그스름한 작은 돌비석으로 신도비에 비해 그 체제와 규모가 작은 것이 특징이다. 이형손은 1418년...
-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읍내리에 있는 이희갑의 선정기념비. 일제강점기인 1914년 행정구역 개편으로 노성군이 논산군으로 편입되어 노성면이 되었다. 이희갑은 9대 면장으로 장기간 재임하면서 노성면의 발전과 노성 주민들의 어려운 일을 잘 해결해 주고 주민들의 화합을 위하여 힘을 썼는데, 이때의 공적을 기념하기 위해 주민들이 비를 세워 칭송하였다. 논산시에서 공주 방향으로 국도 23호선...
-
충청남도 논산시 은진면 용산리에 있는 익성군 이향령의 신도비와 무인석. 이항령은 선조의 형인 하원군(河原君) 이정의 둘째 아들로 태어나 임진왜란 때 아버지를 선조의 행재소가 있는 의주까지 여러 달 만에 호행해 선조로부터 칭찬을 받았다. 1596년(선조 29) 익성군으로 봉해지고 승헌으로 승진하였다. 선조의 세자인 순화군이 후사가 없자 익성군의 3자 진릉군을 후사로 삼았다. 1612...
-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황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김상현(金尙鉉, 1811~1890)의 「임리정기」를 새긴 비석. 임리정(臨履亭)은 1606년 사계 김장생(金長生)이 최명룡·송흥주·윤운구와 집을 지어 학문을 닦고 연구하던 곳으로 강경의 황산(黃山) 산기슭에 있다. 이로 인하여 네 사람은 이이(李珥)의 묘당을 세우고자 약속하였으나 당시에는 뜻을 이루지 못하였다. 이후 1626년(인조...
-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읍내리에 있는 조선 말기 임준상의 선정비. 임준상(林準相, 1856~?)은 돈령부도정(敦寧府都正)을 지낸 임택수(林宅洙)의 아들로 태어나 1885년 식년시에 급제하였다. 조선 말기 노성현감을 역임한 임준상은 「노성향교 선생안」이 유실되어 정확한 재임 기간은 알 수 없으나 선정비에 의하면 임준상이 재임할 당시 선정을 베풀었음이 기록되어 있다. 많은 현감들이 노...
-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읍내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정대규의 송덕비. 일제강점기 지방 사료는 거의 남아 있는 것이 없어서 그 시대 상황을 자세히 알 수 없는 것이 안타까운 일이다. 전 참봉 정대규(鄭大圭)의 청덕(淸德)도 단갈(短碣)의 비문 외에는 더 이상 상고할 수가 없다. 주민들이 전 참봉 정대규의 청덕을 기리기 위해 1938년 송덕비를 건립하였다.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읍내리...
-
충청남도 논산시 은진면 연서리에 있는 조선시대 문신 정효성의 선정비. 은진향교에 있던 선생안이 유실되어 은진현감을 지낸 정효성의 재임 기간을 알 수 없으나 주민들이 주선하여 은진현감을 지낸 정효성의 청렴 후덕한 선정을 기리기 위해 정효성 선정비를 건립하였다. 1975년 은진면 교촌리 석림사 승강장 근처에 정효성 선정비를 포함하여 은진면 일대에 흩어져 있던 비석을 모아 비석거리를 조...
-
충청남도 논산시 양촌면 인천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조구하(趙龜夏, 1815~1877)의 불망비. 조구하가 연산 지역을 암행하면서 여러 사안에 선처를 베풀어 그가 떠난 후 이를 기념하기 위해 1842년 세운 불망비이다. 양촌면에서 운주로 가는 도로변인 인천리 은정자마을 느티나무 아래에 원래 세워진 상태로 방치되어 있다. 원두갈의 형태로, 비신의 석질은 화강암이다. 비의 크기는 높...
-
충청남도 논산시 은진면 연서리에 있는 조선 후기 문신 조규년의 선정비. 조규년이 은진현감으로 부임하여 백성들의 고충을 들어 주고 구휼 활동을 하였으며, 민원을 공정하게 처리하여 준 치적을 기리기 위해 백성들이 힘을 모아 1842년(헌종 8) 조규년 선정비를 건립하였다. 1975년 은진면 교촌리 석림사 승강장 근처에 조규년 선정비를 포함하여 은진면 일대에 흩어져 있던 비석을 모아 비...
-
충청남도 논산시 부적면 마구평리에 있는 조선 말기 조병식의 불망비. 조병식(趙秉式, 1823~1907)은 본관이 양주로, 1858년(철종 9) 문과에 급제하여 예문관검열, 홍문관정자, 1866년 성천부사 등의 관직을 거쳐 1878년 이조참판이 되었다. 그러나 충청감사 재임 시 탐학하였던 행적이 드러나 전라남도 나주목 지도(智島)에 유배되었다가, 이듬해 풀려나왔다. 이후 여러 관직을...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연산리에 있는 조선 말기 조병호의 불망비. 조병호(趙秉鎬, 1847~1910)는 본관이 임천으로, 1866년(고종 3) 정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여 법규교정소의정관(法規校正所議定官)이 되었다. 1881년 수신사로 일본에 다녀왔으며, 1885년 공조판서와 예조판서를 거쳐 1892년 충청도관찰사와 1894년 경상도관찰사를 역임하였다. 1893년(고종 30) 조병호...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연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조수의의 선정비. 조수의(趙守誼, 1699~?)는 본관이 한양으로, 자는 정숙(正叔)이다. 1735년(영조 11) 사마시에 합격하였다. 1758년 5월 연산현감으로 부임하여 1762년 정월에 이임할 때까지 무려 5년 동안 연산현감으로서 선정을 베풀었다. 조수의가 천안군수로 떠날 때 주민들이 그의 이임을 말리며 아쉬워했으나 어쩔 수 없...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연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조진익의 불망비. 조진익(趙鎭翼, 1762~?)은 본관이 양주로, 자는 사현(士顯)이다. 1789년(정조 13) 사마시에 합격하였으며, 여러 관직을 거쳐 1822년 9월 연산현감으로 부임하여 선정을 베풀다가 1825년 4월 24일 평양서윤으로 승진되어 이임하였다. 조진익이 연산현감으로 재임할 당시 베푼 선정의 은혜를 기리기 위하여 연...
-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읍내리에 있는 조선 말기 조한숙의 청덕비. 조한숙(趙漢肅, 1866~?)은 본관이 임천이고, 자는 원약(元若)이다. 아버지는 행진위현령(行振威縣令) 조성호(趙性鎬)이다. 1891년(고종 28) 사마시에 급제한 후, 여러 관직을 거쳐 노성군수로 재임하였다. 노성군수로 재임할 당시 조한숙의 치적을 기리기 위하여 관리들이 재임하고 떠나면 비를 세워주는 관행에 따라...
-
충청남도 논산시 강경읍 황산리 죽림서원에 있는 조선 중기 묘정비. 죽림서원은 1626년(인조 4)에 세워진 사립 교육 기관이다. 본래 창건 때에는 지명을 따서 황산 서원(黃山書院)이라 하였다. 죽림서원 창건에 최초 발의하고 건의한 인물들은 김장생의 문인인 최명룡, 송흥주 등이었다. 이들이 이이(李珥), 성혼(成渾), 김장생(金長生)의 학문과 덕행을 추모하기 위해 세운 황산사(黃山祠...
-
충청남도 논산시 양촌면 중산리에 있는 조선 말기 강재민의 처 경주최씨와 강병흠과 처 평택임씨·성주이씨의 비. 양촌면 중산리 쌍계사 입구 1㎞ 지점 길가의 서향 사면에 비석 2기가 세워져 있다. 강재민의 처 경주최씨의 비는 1910년(순종 4)에 건립되었으며, 높이 127㎝, 너비 48㎝, 두께 15㎝이다. 강병흠과 처 평택임씨·재처 성주이씨의 비는 옥개형으로, 1910년에 건립되었...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고정리에 있는 조선 중기 송준길 손윗누이의 묘표. 연산면 고정리 광산김씨 선산에 있는 송처자의 묘표는 10세의 나이에 요절한 처녀의 것이기에 주목이 되는데, 묘표는 후에 송준길이 세운 것이다. 이 묘표의 비신은 보존 상태도 양호하며, 팔작지붕 모양의 가첨석과 농대석을 갖춘 중요한 자료이다. 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이 병으로 일찍 세상을 떠난 누이의 죽...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청동리 청동골에 있는 조선 후기 영상과 귀상의 충노비. 연산현 사람 이민진(李敏進)은 병자호란이 일어나자 죽기를 각오하고 검은색 버선과 행전을 차고 남한산성으로 의병을 이끌고 갔다. 남한산성 근처 광주 험천에 이르러 왜적의 저지를 받아 치열한 전투 끝에 이민진은 장렬히 전사하였다. 전투가 끝난 후 동행했던 노비 영상(永上)과 귀상(貴上)은 많은 전사자들 중에...
-
충청남도 논산시 광석면 항월리에 있는 조선 중기 초포교 중수비. 초포(草浦)는 광석면 항월리 풋개마을로 조선시대 서울로 올라가는 큰 길이 있던 곳이다. 초포에는 노성천(魯城川)에서 내려오는 큰 냇물이 흘러 석교인 초포교를 놓아 인마의 통행을 용이하게 하였다. 그러나 초포교는 매년 여름 큰 장마가 들 때마다 다리가 망가짐으로써 그 때마다 보수를 하였다. 1674년(숙종 즉위년) 초포...
-
충청남도 논산시 상월면 신충리에 있는 일제강점기 허옥렴의 시혜비. 1914년 일제가 행정구역을 개편하기 이전 상월면은 노성군 월오면 지역이었다. 그 당시 월오면장을 지낸 허옥렴(許鈺廉)이 재임 시 선정을 베풀어 이를 기리고자 면민들이 힘을 모아 허옥렴 시혜비를 건립하였다. 1983년 상월면 신충리에 면사무소를 신축하고 여러 곳에 흩어져 있던 비석들을 면사무소로 옮겨 세우면서 본래...
-
충청남도 논산시 연산면 연산리에 있는 조선 후기 홍명후의 선정비. 홍명후(洪明厚, 1787~?)는 본관이 남양으로, 자는 일성(一誠)이다. 1805년(순조 5) 사마시에 합격하여 여러 관직을 거친 후, 1829년 7월 17일부터 1833년 9월 이임하기까지 5년간 연산현감을 역임하였다. 홍명후가 연산현감으로 재임할 당시 주민들의 고충을 덜어 주고 어려운 일을 신원시켜 주어 선정을...
-
충청남도 논산시 노성면 읍내리에 있는 조선 말기 홍우현의 선정비. 조선시대 지방 관리인 현감으로 나아가려면 사마시에 합격을 해야 정식으로 부임할 수 있었다. 노성향교에 선생안이 없어 확인할 수는 없으나, 홍우현이 노성현감으로 부임하여 재임 기간 동안 선정을 베풀었음을 알 수 있다. 노성현감을 역임한 홍우현(洪祐賢)의 선정을 기리기 위해 백성들이 1880년(고종 17) 홍우현 선정비...
-
충청남도 논산시 연무읍 황화정리에 있는 조선 중기 비. 황화정(皇華亭)은 충청도와 전라도의 경계 지점인 황화정리에 세워져 있다. 황화정은 관리들이나 과객이 지나다가 잠시 머물러 쉬어가기도 하고 관찰사를 전송하거나 영접하던 곳으로, 조선시대 전라도 신구 관찰사가 임무 교대를 하였다. 이곳은 조선시대에 전라도의 가장 북쪽에 위치한 여산 고을에서 최북단이며, 북쪽으로 위치한 작고 낮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