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유치원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12106
한자 幼稚園
분야 문화·교육/교육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임승희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 있는 유아 교육을 담당하는 교육 기관

[개설]

유치원은 만3세부터 초등학교 취학 이전의 유아들을 대상으로 심신의 발달을 돕기 위해 「교육법」에 의해 설치, 운영되는 교육부 관할의 교육 기관이다. 재정 형태에 따라 공립과 사립으로 나뉘는데 공립은 초등학교 병설 유치원이 주를 이루고, 사립은 개인·법인·종교 단체 등 설립 주체에 따라 다양한 유형으로 설립되고 있다.

제주에서 유아 교육에 대한 관심으로 유치원이 처음 설립된 것은 일제 강점기 때이다. 1924년 4월 13일 한국 기독교 장로회 계열인 제주 성내 교회에 개설한 제주 사립 중앙 유치원이 그 효시이다. 이보다 앞선 1909년에 가톨릭계 신성 여학교에서 당시 초급반인 유아반을 설치한 바 있으나 7년 후 폐교된 기록이 보인다.

8·15 광복 이후 종교 단체들이 설립, 운영하는 유치원들도 생겨났는데, 특히 6·25 전쟁의 영향으로 피난민들이 제주도에 정착하면서 교회 설립이 확대되었고 이후 교회를 중심으로 하여 부설 유치원의 개설이 활발해졌다.

1950년대까지는 중앙 유치원을 비롯하여, 신성 유치원[1948년 개원], 서부 유치원[1957년 개원], 제주 유치원[1959년 개원] 등 기존 사립 유치원만이 취학 전 교육의 명맥을 이어왔다.

1960년대 들어오면서 유치원 교육의 질적 수준을 향상시키기 위해 정부 차원에서 유치원 교육 과정을 처음으로 제정·공포하여 이 교육과정에 따라 유아들의 흥미와 욕구에 알맞도록 흥미 중심, 경험 중심, 생활 중심의 교육을 실천하게 되었다.

1970년대에는 유아 교육 기관이 난립하는 시기로, 대중 매체를 통해 유아 교육의 중요성이 홍보되자 공·사립 유치원, 어린이집 이외에 선교원 예·체능 중심의 학원 등 유아 대상 사설 기관이 설립되어 일반인들에게 유아 교육의 중요성이 인식되기 시작하였다.

1980년에는 유치원 교육의 보편화가 이루어졌는데, 1981년부터 교육부 주관하에 공립 유치원이 증설되었고, 제주 지역의 경우도 1980년에 15개 유치원 29학급이었던 것이 1981년에는 51개 유치원 69학급으로 증설되었다. 이때부터 공립 유치원이 사립 유치원보다 양적인 면에서 확산되기 시작하였고 1990년대 들어와서는 이러한 유아 교육의 양적 팽창 정책이 결국 유아 교육 기관의 질적 수준을 낮추는 결과를 초래하게 되자 1992년 9월 30일 제5차 유치원 교육 과정이 공포되었다. 건국 이래 처음으로 유아 교육 전문가에 의해 유치원 교육 과정이 연구, 제정되어 유치원 교육의 질적 발전이 이루어지는 첫 수순을 밟게 되었다.

또한 1996년 3월 우리나라의 국민학교가 초등학교로 명칭이 바뀌면서 공립 유치원의 명칭도 초등학교 병설 유치원으로 변경되었다.

2000년대 이후는 제6차 및 제7차 교육 과정을 순차적으로 적용하여 유치원 교육이 학교 교육의 기틀을 마련하게 되어 유치원 교육의 정착을 이루어 현재에 이르고 있다.

[현황]

제주도 유치원의 출발은 대부분의 다른 지역에서와 같이 천주교와 개신교에 의해서 이루어졌다고 볼 수 있다. 이에 초기에는 전체 유치원 가운데 사립 유치원이 차지하는 비율이 높았던 반면 해방 이후에는 정부 차원의 공립 유치원 설립이 활발해졌다.

2015년 4월 1일을 기준하여 제주시에는 초등학교 병설 유치원[공립] 56개원, 사립유치원 17개원, 총 73개원이 설립되어 191학급[공립 92학급, 사립 99학급]으로 총 4,550명[공립 1,891명, 사립 2,659명]이 재원하고, 총 364명[공립 185명, 사립 179명]의 교원이 재직하고 있다.

1. 공립 유치원[병설 유치원]

1979년 3월 13일 공립 유치원으로는 처음으로 한림 초등학교 병설 유치원이 개원하였고, 1980년 5월 10일 김녕 초등학교 병설 유치원이 개원하였다. 1981년 3월에는 수원 초등학교세화 초등학교구엄 초등학교를 비롯하여 하귀 초등학교·애월 초등학교·귀덕 초등학교·재릉 초등학교·고산 초등학교·신촌 초등학교·조천 초등학교·함덕 초등학교·구좌 중앙 초등학교·하도 초등학교·우도 초등학교가 각각 개원하였고, 뒤이어 추자 초등학교 병설 유치원이 개원하였다.

1982년 3월에는 종달 초등학교·평대 초등학교어도 초등학교·한동 초등학교, 오라 초등학교, 도리 초등학교, 외도 초등학교에 병설 유치원이 차례로 개원하였다.

1984년 3월에는 광령 초등학교·광양 초등학교·대흘 초등학교·노형 초등학교·물메 초등학교·봉개 초등학교·북촌 초등학교·삼성 초등학교·삼양 초등학교·영평 초등학교·인화 초등학교·제주 동 초등학교·제주 북 초등학교·제주 서 초등학교·한천 초등학교에 병설 유치원이 각각 개원하였다.

또한 1985년 9월 송당 초등학교저청 초등학교에 병설 유치원이 개원하였고, 1995년 3월에는 일도 초등학교, 1998년 3월에는 동화 초등학교·아라 초등학교·제주 남 초등학교에 병설 유치원이 각각 개원하였다.

2000년 3월 납읍 초등학교와 2007년 3월 월랑 초등학교에서 병설 유치원이 각각 개원하였고, 2012년 3월 이도 초등학교·하귀일 초등학교제주 중앙 초등학교가 차례로 병설 유치원을 개원하였다. 2013년 3월에는 추자 초등학교 병설 신양 분교장과 도남 초등학교, 2014년 3월에는 삼화 초등학교신광 초등학교에서 각각 병설 유치원을 개원하였다. 2015년 3월에는 도련 초등학교 병설 유치원이 개원하였다.

2. 사립 유치원

개신교 종교 단체에 의해 설립된 사립 유치원은 1924년 4월 13일에 개원한 제주 중앙 유치원과 1979년 3월에 개원한 제주 영락 유치원, 2003년 12월에 개원한 제주 충신 유치원이 있다.

천주교 종교 단체에 의해 설립된 사립 유치원은 1985년 3월에 개원한 한림 성모 유치원과 1991년 3월에 개원한 제주 까리따스 유치원이 있다.

불교 단체에서 설립한 사립 유치원은 1982년 2월에 개원한 원명 유치원이 있는데, 2015년 현재 휴원 중에 있다.

학교 법인 사립 유치원으로는 제주 관광 대학교 부속 유치원[1995년 5월 29일]과 제주 국제 대학교 부속 유치원[1999년 3월 31일], 제주 한라 대학교 부설 유치원[2005년 2월 25일]이 있다.

개인이 설립한 사립 유치원은 연동 유치원[1982년 11월 12일], 전원 유치원[1988년 3월 15일], 마야 유치원[1991년 3월 3일], 제주 엔젤 유치원[2002년 3월 4일], 한라 유치원[2003년 3월 3일], 새순 유치원[2008년 3월 5일]이 있는데, 2015년 현재 마야 유치원은 휴원 중이다.

그 외 군부대 관련 단체에서 설립한 해봉 유치원[1992년 1월 23일]과 제주 YMCA 유치원[1994년 3월 4일]이 운영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제주도에서는 유치원 교육을 보편화하여 유아들의 발달 특성에 맞추어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교육 혜택을 제공하고자 취원 기회를 확대하고 공교육화의 기반을 조성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이에 유치원 교육 환경을 개선하는 한편, 유치원 소속 교원의 자질 향상과 전문성 신장을 위한 일반 및 직무 연수 기회를 확대하는 등 유치원 교육의 내실을 다지고 있다.

2015년 현재 제주시에 있는 공립 유치원은 56개원, 사립 유치원은 17개원인데 학급 수는 공립 92학급, 사립 99학급으로 편성되어 있다. 유아의 수는 공립이 1,891명, 사립이 2,659명인데 담당 교원은 공립이 185명, 사립이 179명으로 확인되고 있다.

이는 사립 유치원은 인구 밀집 지역에 주로 위치한 반면 공립 유치원은 외곽 지역에 위치한 경우가 많아, 대상 아동 수로 본다면 사립 유치원은 설립된 수에 비해 의존도가 높은 편으로 나타나고 있다.

이처럼 제주도는 기본적으로 대상 아동에 대한 전체 수용 능력이 부족한 가운데 대상 아동의 거주가 특정 지역에 편중되어 유치원의 지역별 수용력의 불균형이 매우 심각한 상황이며, 여기에 시설 설비의 미비와 유치원 부족으로 인한 교사 1인당 학생 수가 매우 높은 형편이다.

또한 대부분의 교사 재교육이나 연수 등이 제주도 밖에서 이루어지므로 제주도 내 유치원 교사의 재교육이나 연수 기회가 극히 제한되는 문제를 안고 있다.

향후 유아 교육 시설과 지역 사회가 함께 연계, 협력하여 유아 교육 과정에서 나타나는 문제를 고려하여 유아의 전인적인 성장과 발달을 고려하고 유아의 관심과 욕구를 반영한 질 높은 교육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