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01372
한자 令監-
영어음역 Yeonggam Nori
영어의미역 Old Man Play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놀이/놀이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집필자 강정식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1971년 8월 26일연표보기 - 영감놀이 제주특별자치도 무형문화재 제2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영감놀이 제주특별자치도 무형문화재 재지정
성격 무속 의례|연희 놀이
노는시기 수시
예능보유자 이중춘
문화재 지정번호 제주특별자치도 무형문화재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전승되고 있는 놀이굿의 일종인 연희 놀이.

[개설]

영감놀이는 원래 제주 지역에서 전승되고 있는 무당굿 중 놀이굿의 하나이다. 도깨비 신에 대한 굿으로서 무속 의례 굿인 동시에 연희 놀이이기도 한 영감놀이는 1971년 8월 26일 제주특별자치도 무형문화재 제2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제주특별자치도 무형문화재로 재지정되었다. 기능 보유자는 이중춘이다.

영감놀이는 영감신이 들어와서 생긴 병을 치료하는 경우나 어선을 새로 짓고 선왕을 모셔 앉히려는 경우에 또는 마을의 당굿 때 실연되었으나 오늘날은 주로 병을 치료하기 위한 치병굿으로서의 성격만이 남아 있다.

[연원]

‘영감’은 제주 지역에서 ‘도깨비’나 ‘도체비’를 높여 부르는 말로서 달리 ‘참봉’이라고도 한다. 영감놀이는 「영감본풀이」라는 신화에 근거하고 있다.

「영감본풀이」에 따르면, 영감신은 서울 먹자고을 허 정승의 일곱 형제 중 일곱째 아들이다. 큰아들부터 여섯째 아들까지는 각자 육지의 유명한 산들을 차지하였고, 일곱째는 한라산 일대를 차지하였다.

영감신과 영감신의 형들은 허름한 차림에 짧은 곰방대를 물고 다니는 등 겉모습은 우스꽝스럽지만 순식간에 천리 만리를 날아다니는 신통력을 가지고 있다. 돼지고기와 수수범벅, 소주를 즐겨 마시며, 여자들을 좋아하여, 같이 살자고 따라다니다가 말을 듣지 않으면 병을 앓게 하는 것이다.

영감신이 들어와서 병이 나면 하는 굿을 ‘두린굿’이라고 하는데, 영감놀이는 흔히 이 두린굿판에서 벌어진다.

[놀이도구 및 장소]

영감놀이는 보통 환자가 있는 집의 마당에 제상을 차리고 밤에 행한다. 북과 징, 꽹과리, 장고 등의 무구 일체가 소요된다. 또 영감신을 위한 가면과 짚으로 만든 배를 준비한다. 가면이 없으면 창호지에 눈과 코, 입 모양을 뚫어서 대신 사용한다.

[놀이방법]

막내 영감신이 들어와서 병이 나면, 영감신의 여섯 형들을 모셔다가 잘 대접한 다음 영감신의 형들에게 막내 영감신을 데려가게 하여 환자의 병을 낫게 한다는 것이 영감놀이의 내용이다.

영감신의 형들은 창호지에 눈과 코, 입을 뚫어서 가면처럼 쓰고는 과일 꽂은 대막대기를 곰방대인 양 물고 한 손에는 횃불을 든다. 제장의 바깥에 숨어 있다가 심방이 큰소리로 불러 청하면 그때 비로소 제장 안으로 들어온다.

이어 심방과 영감신의 형들 사이에 수작이 오간다. 영감신의 형들이 이곳에 이르게 된 내력과 환자에게 막내 영감신이 침범하여 병이 난 사정이 모두 언급된다.

심방이 영감신의 형들에게 좋아하는 음식들로 잘 대접할 테니 막내 영감신을 데려가는 것이 어떻겠느냐고 제안한다. 영감신의 형들은 좋다고 한다.

돼지고기와 수수범벅 등의 제물이 차려지고, 영감신의 형들은 이 제물을 신나게 먹는다. 이어서 환자와 영감신이 이별 잔을 나눈다. 그런 후에 「서우젯소리」에 맞춰 모두 신명나게 춤을 춘다. 짚으로 만든 배에 제물을 가득 실은 뒤, 바다로 가지고 가서 띄우는 것으로 영감놀이는 끝난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영감놀이는 치병굿의 전형적인 사례이기도 하다. 영감신은 「처용 설화」에서 처용의 아내를 범한 역신과 다르지 않다. 육지에서 병이 나면 역신을 달래는 굿이나 비손을 했던 것처럼 제주 지역에서는 영감놀이라는 놀이굿을 통해 영감신을 대접하고 달래어 병을 쫓았다.

[현황]

영감놀이는 우리나라에서 유일하게 남아 있는 도깨비굿 놀이로서 놀이에서 보듯이 가면 놀이의 일종이다. 제주 지역의 대표적인 굿놀이로서 제주특별자치도 무형문화재로 지정될 만큼 전승 가치가 높지만 현재는 거의 실연되지 않고 있어 아쉬움이 남는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