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700759 |
---|---|
한자 | 門前祭 |
영어음역 | Mujeonje |
영어의미역 | Sacrificial Rite for Gate God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의례/제 |
지역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집필자 | 현용준 |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지역에서 조상에게 제사를 지낼 때에 문신(門神)에게 지내는 제사.
[개설]
문전제는 조상에게 제사를 지내기 전에 지내는 것이 보통이나 조상의 제사가 끝난 뒤 지내는 집안이 있고, 메와 갱, 기타 제물을 올리는 집안이 있는가 하면 메와 기타 제물은 올리면서도 갱은 안올리는 집안도 있다.
[연원 및 변천]
문전제는 유교식 제사법에서 나온 것이 아니라 무속의 의례에서 유래된 제사이다. 때문에 유교식 제사를 존중하는 집안에서는 문전제를 나중에 하고, 메와 갱을 다 올리지만, 무속식 의례법을 중시하는 집안에서는 문전제를 먼저 하고 갱을 안올리는 관습을 유지하고 있다. 제주 지역에서는 과거 무속식 의례를 버리지 않고 문전제를 지내고 있다.
[절차]
조상에 대한 제사가 있는 날에는 저녁이 되면 조상의 제상에 제물을 진설하는데, 이를 ‘몸상’이라 하고, 이 몸상 외에 작은 상에 제물을 진설한 것을 문전상이라 한다.
문전상은 몸상의 옆에 놓아두었다가 제사 지낼 시간, 즉 자시(子時)가 되면 마루방의 바깥문 쪽에 내어놓고 제를 지낸다. 제관은 격하되어 나이가 젊은 사람이 맡아 배례를 하는데, 술잔을 올리고, 메에 숟가락을 꽂고 조금 엎드렸다가 배례를 하며, 이어 각 제물을 조금씩 뜯어 술잔에 넣어 배례를 함으로써 끝낸다. 곧 단헌(單獻) 단작(單酌)으로 간단히 지내는 것이다.
각 제물을 조금씩 뜯어놓은 술잔은 지붕 위에 올리고, 문전상을 부엌으로 넘기면 주부가 조왕고사를 한 후, 조상에 대한 제사를 지낸다. 아마 조상에 대한 제사가 지속되는 한, 이 문전제는 계속될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