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망건짜는 소리」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00686
한자 網巾-
영어음역 Manggeon Jjaneun Sori
영어의미역 Manggeon Weaver's Song
이칭/별칭 멩긴는 소리,멩긴는 소리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문화·교육/문화·예술,생활·민속/민속
유형 작품/민요와 무가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집필자 좌혜경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관망 노동요|부요
기능구분 망건짜기
가창시기 망건을 짤 때
가창자/시연자 김태매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망건을 짜면서 부르는 관망 노동요의 하나.

[개설]

제주 지역에서는 조선 시대부터 1950년대까지 제주시를 중심으로 그 주변 지역에서 말총으로 갓을 만드는 일이 성행했다. 관망 노동요는 제주 여인들의 주요 부업거리였던 이 관망 수공예에 따르던 노래들이다.

관망 공예는 육지에서 배워 온 듯한데, 망건이나 탕건을 는(맺는) 일은 화북과 조천 지역을 중심으로 여성들에 의해 행해졌다. 망건을 짜면서 부른다고 하여 지역에 따라 「멩긴는 소리」, 「멩긴는 소리」라고도 불렀다.

[채록/수집상황]

제주시 건입동의 김태매(여, 81)가 부른 것을 채록하여 1993년 『제주의 민요』에 수록하였다.

[구성 및 형식]

주로 독창으로 부른다.

[내용]

관모 공예는 경제 활동의 일환으로 이루어졌다고 하는데, 노래에서는 제주 여성들의 근면함과 생활상을 두루 엿볼 수 있다. 아래의 사설에서 보는 것처럼 시집살이와 같은 여성들의 정서를 표출하고, 노동의 유용성을 강조하여 일에 힘을 더하고 있다.

이년이년 이여동라 이년탕건 아나지라

이년이년 이여동라 이년탕건 아나지라(이하 후렴구 생략)

죽장 시벡인뱅긴 막막 아나지라

양지박박 얽은놈아 밥상받앙 타령마라

이년이년 이여동라 탕건한재나 아나간다

느네각시 애기업언 한질러레 암서라

성님성님 춘성님 시집살이 어떱데가

아이고야야 말도말고 미신말을 허염시니

고초당초 맵다헌들 시집살이보다 더매울소냐

장은 시아방에 암은 시어멍에

물끄럭은 서방님에 고셍이은 시누이에

못살커라 못살커라 나요시집 못살커라

우리어멍 탕근앙 시집가렌 려주난

한산모시 열두폭치마 살레아래 걸어둠서

허여준치마 오멍가멍 눈물씰멍 다썩엄더라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제주도는 예부터 전국에서 손꼽히는 방목 지대여서 말총으로 만드는 탕건이나 망건 맺는 것을 섬의 특산물로 여겼다. 이 때문에 제주의 여성들은 열 살쯤 되면 어머니나 동네 어른들에게서 탕건이나 망건 겯는 법을 전수받았다.

망건은 오일장에 맞추어 팔기 위해서 부지런히 짰는데, 이 기간을 한 장 도막이라고 했다. 솜씨 좋은 사람은 한 장 도막에 두 개까지 결을 수도 있었으나, 가늘고 섬세한 것은 겨우 한 개 정도밖에 만들 수 없었다고 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