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700502 |
---|---|
한자 | 老衡洞廣坪堂 |
영어음역 | Nohyeong-dong Gwangpyeogdang |
영어의미역 | Gwangpyeongdang Shrine in Nohyeon-dong |
분야 | 생활·민속/민속 |
유형 | 유적/유적(일반) |
지역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노형동 광평마을 |
시대 | 조선/조선 |
집필자 | 현용준 |
성격 | 본향당 |
---|---|
건립시기/연도 | 조선 중기 |
관련인물 | 현치적(玄致績) |
소재지 주소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노형동 광평마을 |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노형동 광평마을에 있는 본향당.
[개설]
노형동 광평당의 주신(主神)은 오도롱(제주시 이호2동)에서 가지 갈라 온 송씨 할머님이다. 그 밑으로 산육신(産育神)인 불법 할마님과 마마신인 마누라님, 농신(農神)인 세경, 피부병신인 젯도가 모셔져 있다. 주신인 송씨 할마님은 동네 사람들의 생산과 물고, 호적, 장적을 차지하여 수호해 주는 토지관이다.
마을 사람들은 정월부터 계절이 바뀔 때마다 메 4기와 돌레떡, 해어(海魚), 채류(菜類), 과실류 등을 제물로 바치고 집안의 행운을 빈다.
[건립경위]
350여 년 전만 해도 제주시 노형동 광평마을은 나무와 억새로 뒤덮인 황무지였다. 어느 날, 현치적(玄致績)이라는 사람이 그 황무지에 들어가 억새밭을 갈아 일구어 농사를 짓고 사냥을 하며 살기 시작했다. 생활은 어렵고 힘들었지만 마음씨가 바르고 고왔다.
아래쪽 마을 오도롱(이호동)에는 풍수지리로 유명한 고전적이라는 사람이 살았는데, 현씨는 은근히 고전적을 존경해서 꿩을 두 마리 잡으면 한 마리는 꼭 갖다 주곤 했다. 고전적은 마음씨 착한 현씨가 가난하게 사는 것이 측은하여 집터를 하나 봐주었는데, 자리가 좋은지 집을 짓고 살면서부터 현씨의 살림은 차차 풀리기 시작했다.
그 사이 현씨가 살던 곳 근처로 사람들이 하나 둘 들어와서 어느 사이 작은 마을을 이루게 되었다. 그러던 어느 날이었다. 소를 몰고 들판으로 나가던 현씨는 마을 어귀에서 힘없이 걸어오는 한 여인과 마주쳤다. 마음씨 고운 현씨가 그냥 지나칠 리 없다. ‘왜 그러냐?’고 물어 보니까 배가 너무 고파서 말할 힘도 없다고 대답한다.
“여기 조금만 앉아 계십시오. 내 얼른 집에 가서 가서 밥을 갖다 드리리다.” 현씨는 소를 옆 밭에다 가두어 두고 집으로 달려가 밥을 가지고 왔다. 그런데 앉아 있어야 할 여인이 온 데 간 데 없었다. “배가 고파서 걸어갈 기력도 없는 것 같았는데, 이상한 일이로구나.”
마을로 들어가는 길은 물론이고 들판에도 여인은 없었다. 그러다가 아무래도 여인이 보통 사람이 아니라는 생각이 들었다. “신령님이 틀림없어!‘ 그래서 현씨는 가져간 밥을 여인이 앉았던 자리에 올렸다. 그 후 현씨는 정월이 되면 그 자리에 정성껏 만든 제물을 차려 놓았는데, 해마다 농사가 잘 되고 살림이 풍요로워졌다. 그 후로 마을 사람들도 현씨를 따라 정성을 드리기 시작하여, 그곳이 바로 광평마을의 본향당이 되었다고 한다.
[현황]
노형동 광평당은 2002년 당시 시가지 확장 계획으로 도로에 포함되어 철거되었는데, 복원 사업이 결정되면서 현재 어린이놀이터 안에 부지를 마련하고 옛 모습을 살리는 방향으로 사업이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노형동 광평당의 신목은 새마을운동이 한창이던 1970년대에 잘려 나가 아쉬움을 주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