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711560 |
---|---|
한자 | 南平文氏 |
영어음역 | Nampyeong Munssi |
영어의미역 | Namyeong Mun Clan |
분야 | 성씨·인물/성씨·세거지 |
유형 | 성씨/성씨 |
지역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집필자 | 김동전 |
[정의]
문다성을 시조로 하고 문탁과 문신공을 입도조로 하는 제주의 세거 성씨.
[개설]
남평문씨는 고려 1197년(명종 24)에 제주에 입도한 기록으로 보아 고·양·부 3개 성씨를 제외하고는 제일 먼저 입도한 성씨임을 알 수 있다.
[연원]
남평문씨의 시조는 신라 자비왕(慈悲王) 때 사람인 문다성(文多省)이다. 문다성(文多省)의 출생에 대해서는 전설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다. 당시 전라도 남평현 동쪽에 큰 연못이 있었고, 그 연못 바로 옆에 천 길이나 되는 큰 바위가 솟아 있었다.
하루는 고을 수령이 그 바위 아래에서 휴식을 취하고 있었는데 그 바위가 갑자기 오색 채운으로 감싸이면서 문득 어린아이 울음소리가 들려왔다. 이상히 여긴 수령이 바위 위에 올라가 보니 돌상자 속에 피부가 옥설(玉雪)같이 맑고 용모가 준수하게 생긴 어린 아이가 들어 있었다.
수령이 이 아이를 거두어 기르니 나이 5세에 문사에 저절로 통달하고 지략이 뛰어날 뿐 아니라 사물의 이치를 스스로 깨닫는 총기가 있는지라 성을 문(文)이라 하고 이름을 다성(多省)이라 하였다.
본관은 시조 문다성이 대장군을 거쳐 삼중대광 삼한벽상공신에오르고 남평백에 봉해졌기 때문에 남평으로 관적하였다. 그러나 그 후 문헌이 실전되어 대수를 헤아리지 못하고, 문공원(文公元)·문공유(文公裕) 형제의 묘지명에 의해 고려 숙종 때 우산기상시를 지낸 문익(文翼)을 중조 1세로 하여 세계를 잇고 있다.
[입향경위]
문탁(文晫)은 시조 문다성(文多省)의 19세손으로 1160년(의종 14)에 출생하여 과거에 급제한 후 좌정언에 올라 대사마대원수(大司馬大元帥)를 거쳐 대제학이 되었다. 1194년(명종 24)에 탐라국에 파견되어 흥학(興學)의 기틀을 마련했고 중앙 문물을 제주에 전파하는 데 선구적인 역할을 하였다.
다른 입도조인 문신공(文信公)은 중시조 문익(文翼)의 15세손으로 경상남도 진주에서 출생하였다. 세조 때 세조의 왕위 찬탈을 둘러싸고 벌어진 소용돌이 속에서 이에 연루되어 입도하여 제주목 삼도2동에 정착하였다. 입도 후에 농사를 지으며 은둔 생활을 하였다.
[세거현황]
제주도에 살고 있는 남평문씨는 충숙공(忠肅公) 문극겸(文克謙)의 후손들로 순평군(順平君) 문달한(文達漢)과 충선공(忠宣公) 문익점(文益漸)의 후손이 주축을 이루고 있다.
[관련유적]
전라남도 나주시 남평면 소재지에서 동쪽으로 서너 마장쯤 가면 장자지라는 큰 못이 있고, 그 곁에 우뚝 솟은 바위가 있어 남평문씨 시조의 발상지로 유명하다.
바위 위에는 후손들이 문암(文巖)이라는 비석을 세워 놓아 문씨 시조의 탄강지임을 말해 주고 있으며, 장자지는 아무리 가물어도 물이 마르는 일이 없다고 한다. 그 못가에 장연서원을 세워 시조의 위패를 봉안하고, 매년 음력 9월 중정일에 향사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