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10891
한자 頓水庵址
영어음역 Donsuamji
영어의미역 Donsuamji Archaeological Site
분야 종교/불교,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적/터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 994[일주동로 3618-1]
시대 고려/고려
집필자 오성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불교 유적
원건물 건립시기/일시 고려 시대
소재지 주소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 994[일주동로 3618-1]지도보기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구좌읍 하도리에 있는 고려 시대 돈수암의 옛 터.

[개설]

돈수암사지는 『신증동국여지승람(新增東國輿地勝覽)』에 의하면 ‘재주동팔십리(在州東八十里)’라 기록되어 있다. 또한 『증보탐라지』에도 “제주읍동삼십이리허(濟州邑東三十二里許)에 재(在)하니 금폐(今廢)”라고 기록되어 있다. 현재까지 그 정확한 위치는 확인되지 않았으나 구좌읍 하도리종달리 경계 지점 일주 도로변에 있는 ‘금붕사’ 일대가 돈수암지가 아닌가 하는 학설이 설득력을 얻고 있다.

[변천]

금붕사 앞 일주 도로 건너편 갈대밭은 1702년(숙종 28) 제주목사 이형상이 편찬한 『탐라순력도』용항포로 표기되어 있고, 배가 드나드는 곳으로 표시되어 있다. 이곳 갈대밭은 일제 강점기 때 논으로 조성되었고 수리조합에서 물을 대주어 벼를 재배했으나 짠 바닷물로 인해 실패했다고 한다. 금붕사 바로 앞까지 바닷물이 들어왔다는 마을 주민들의 증언과 일치하는 부분이다.

또한 금붕사 경내에는 물맛이 달다고 하여 ‘돈물’이라 불리는 샘물이 있었다. 금붕사에 화재가 자주 일어남에 따라 풍수지리설에 의해 ‘돈물’ 자리에 지금은 거북이 상을 조성하여 돈물을 막고 있다.

제주도에서 ‘돌다’라는 말이 ‘달다’라는 말임을 확인할 때, 돈물은 단물을 뜻하는 것이 확실하다. 또한 이 단물은 마을 주민들이 제를 지내거나 신성한 일을 행할 때 사용하던 물이었다.

따라서 돈수암이라는 명칭은 ‘돈물’과 밀접한 연관성이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그러나 금붕사 주변 지역에서는 기와편, 혹은 자기편 등 유물이 발견되지 않아 그 정확한 판단을 유보하는 있는 상황이다.

[발굴조사경위 및 결과]

돈수암지에서는 백자 4점이 출토되었다. 기종은 접시만 확인되었으며 모두 문양이 없는 순백자이다. 이는 지방 가마에서 포개구이하여 제작한 조질 백자로 확인되었다.

굽과 내저 바닥에 남아 있는 받침 수법으로 볼 때 출토품은 태토비짐과 모래를 사용하여 번조한 두 종류로 확인된다. 모래를 받쳐 번조한 것이 3점이고, 이들 3점은 접시 저부편으로 굽은 바닥을 거칠게 다듬은 평저이며, 굽바닥과 내저에 모래를 받쳐 번조한 흔적이 선명하게 남아 있다. 또한 무문 암키와편 1점도 수습되었는데, 색조는 갈색이며 소성은 양호하다. 기와 배면에는 포흔과 분할 계선이 관찰되었다.

[현황]

금붕사 일대에는 일제 강점기 유적인 전분 공장과 물통 등이 그대로 남아 있다. 돈물에는 거북이상이 세워졌다. 인근에는 패총 유적이 다수 발견되어 이곳이 선사 시대부터 마을로 형성되었을 가능성을 높여주고 있다.

[의의와 평가]

돈물이라 불리던 곳이 현재까지 남아 있고, 인근에서 발견되고 있는 패총 유적지와 관련하여, 산간 지대인 이곳에 마을이 형성되었을 가능성이 매우 높다. 따라서 돈수암지와 관련하여 인근의 여러 지역이 거론되고 있으나 이곳 금붕사 일대가 돈수암지 사찰이 존재했을 가능성이 그중 가장 높다고 판단되고 있다. 앞으로 지속적인 연구 조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