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10576
한자 濟州月令里仙人掌群落
영어음역 Jeju Wollyeong-riui Seoninjang Gullak
영어의미역 Cactus Habitat in Wollyeong-ri, Jeju
분야 지리/동식물
유형 지명/군락, 서식지 및 철새 도래지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월령리
집필자 김철수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문화재 지정 일시 2001년 9월 11일연표보기 - 제주 월령리 선인장 군락 천연기념물 제429호 지정
문화재 지정 일시 2021년 11월 19일 - 제주 월령리 선인장 군락 천연기념물 재지정
면적 7,149㎡
생물학적 분류 자연유산〉천연기념물〉생물과학기념물〉분포학
문화재 지정번호 천연기념물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한림읍 월령리에 자생하고 있는 선인장 군락지.

[개설]

제주 월령리 선인장 군락은 1976년 9월 9일에 제주도 기념물 제35호로 지정된 뒤, 2001년 9월 11일 천연기념물 제429호로 지정되었고, 2021년 11월 19일 문화재청 고시에 의해 문화재 지정번호가 폐지되어 천연기념물로 재지정되었다. 현재 우리나라에는 외국에서 많은 개량종 선인장들이 관상용으로 재배되고 있지만, 이곳의 선인장은 유일한 자생종이다.

[생물학적 특성]

선인장이라고 하면 뜨거운 사막을 연상하게 되는데, 사막에 자생하는 것 외에도 종류가 다양하다. 대부분의 선인장은 잎 대신에 가시가 나 있으며, 줄기는 둥근 모양, 원통 모양 등 보통 식물에서는 보이지 않는 독특한 형태를 이루고 있다.

조직 내에 많은 수분을 오랫동안 보유할 수 있도록 되어 있어 오랜 가뭄도 잘 견딜 수 있다. 선인장 가시는 사막에서 수분의 증발을 막기 위해 퇴화되어 생긴 것으로, 동물로부터 자신을 보호하는 역할도 한다.

월령리 자생종 선인장은 멕시코가 원산지로 그 모습이 손바닥과 비슷하다고 해서 현지에서는 ‘손바닥 선인장’이라고 부른다. 선인장에 나 있는 가시는 잎이 변형된 것으로 두꺼운 잎처럼 보이는 부분은 줄기이다. 여름철에 노란색의 꽃이 피며, 열매의 모양은 무화과와 비슷하다.

[자연환경]

선인장이 쿠로시오의 난류를 타고 열대 지방으로부터 밀려와 야생하게 된 것으로 보인다. 주로 월령리의 해안 바위틈과 마을 안에 있는 울타리 형태의 잡석이 쌓여 있는 곳에 넓게 분포되어 있다.

[현황]

월령리 마을에서는 집의 경계인 돌담에 이 선인장을 심어 뱀이나 쥐의 피해를 막기도 한다고 한다. 최근에는 선인장을 밭에 심어서 일부러 재배하고 있다. 또한 선인장은 예로부터 열매를 약재로 이용하고 있는데, 주로 소담제나 해열제 등의 민간약으로 쓰여 왔다.

제주 월령리 선인장 군락은 선인장의 자생 상태를 잘 보여 주고 있는 국내 유일의 야생군락으로 분포 상 학술적 가치가 있는 식물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