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홍화각기」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02665
한자 弘化閣記
영어음역 Honghwagakgi
영어의미역 Record of Honghwagak Pavilion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문헌/문서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이도1동 1313[삼성로 22]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김동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경위서
제작시기/일시 1435년연표보기
소장처 고양부 삼성재단 지도보기
소장처 주소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이도1동 1313[삼성로 22]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 있는 조선 전기에 홍화각 등의 건물을 다시 지은 경위를 밝히기 위해 쓰여진 글.

[개설]

공조참판 최해산은 1434년(세종 16) 제주절제사로 부임한 이후, 소실된 절제사영(節制使營)의 건축을 뒤로 미루고 우선 백성들을 구휼하여 민심을 안정시켰다.

1435년(세종 17)에는 제주도에 풍년이 들어 백성이 즐거워하자, 못 쓰게 된 사찰의 재목과 기와 등을 가져다가 절도사영 세 칸을 지어 만경루(萬景樓)란 이름을 홍화각(弘化閣)이라 고쳐 썼다. 그간의 경위를 밝히기 위해 고득종(高得宗)으로 하여금 쓰게 한 글이 「홍화각기」이다.

[특징]

「홍화각기」에는 제주도의 지형과 역사는 물론 최해산의 인품과 백성들에게 베푼 선정 및 홍화각의 건립 내력과 홍화각이라 이름 붙인 이유 등이 상세히 기록되어 있다. 「홍화각기」에 의하면 ‘홍화각’이라는 제액은 고득종이 썼다고 한다. 현재 「홍화각기」홍화각 액자는 고양부 삼성재단에서 소장되어 있다.

[의의와 평가]

조선시대 제주도의 역사를 규명하는 데 귀중한 자료가 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