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702637 |
---|---|
한자 | 慧日 |
영어음역 | Hyeil |
분야 | 종교/불교,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
유형 | 인물/종교인 |
지역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시대 | 고려/고려 후기 |
집필자 | 오성 |
[정의]
고려 후기의 선사(禪師).
[개설]
고려 충렬왕 무렵인 1275년에서 1308년 사이에 제주에 머물며 여러 편의 시를 남겨 시승(詩僧)으로 불리는 선사이다.
[활동사항]
혜일은 제주 전역을 두루 다니며 수행을 하였는데, 특히 남제주군 안덕면 사계리 산방산 산방굴사와 인연이 깊어 산방 법사라고도 불린다. 산방굴사는 혜일이 산방산 해발 150미터 지경에 있는 자연 석굴에 안에 창건했다고 전한다.
[저술과 작품]
『신증동국여지승람』권38 「제주목 불우조(佛宇條)」에 묘련사, 서천암, 보문사, 법화사의 시가 전해오고 있다.
주(州) 서쪽 25리 거리의 묘련사(妙蓮寺)에 있는 시
南荒天氣喜頻陰(남황천기희빈음: 남쪽 하늘은 황량하여 자주 흐려지던데)
此夕新晴洗客心(차석신청세객심: 이 저녁엔 맑게 개어 나그네 마음을 씻어주네)
一夢人生榮與悴(일몽인생영여췌: 꿈같은 인생은 피었다가도 곧 시들고 말지만)
中秋月色古猶今(중추월색고유금: 한가위 달빛은 예나 지금이나 다르지 않다)
逈臨渺渺烟汀闊(형임묘묘연정활: 멀리 아득하기만 한 이곳에 다다르니 안개 낀 물가 참으로 넓고)
斜影沉沉竹屋深(사영침침죽옥심: 비스듬히 기운 그림자에 잠긴 대 집은 어둡기만 하구나)
賞到夜闊淸入思(상도야활청입사: 밤이 깊도록 노니니 생각은 더욱 맑아져)
不禁頭側動微吟(불금두측동미음: 머리 기울일 때마다 가만가만 시가 흐르는 걸 막을 수가 없도다)
거구리악(巨口里岳) 북쪽의 보문사(普門寺)에 있는 시
寺僻依荒徼(사벽의황요: 절은 초라하니 거친 지경에 의지하였으나)
泉甘得夢中(천감득몽중: 샘물은 달디 다니 꿈속에서 얻었네)
蓮場逢勝事(연장봉승사: 연꽃 도량이 좋은 일을 맞았으니)
佛隴嗣遺風(불롱사유풍: 불법의 유풍이 이어졌음이라)
草過霜仍緑(초과상잉록: 풀은 서리를 맞고도 그대로 푸르지만)
蘿因瘴未紅(라인장미홍: 담쟁이는 풍토병 때문인가 붉지 않구나)
圓通門自啓(원통문자계: 원통문이 스스로 열린 이곳에)
遠鴈叫長空(원안규장공: 멀리 기러기가 넓은 하늘에서 울고 있어라)
조공천(朝貢川) 위 서천암(逝川庵)에 있는 시
漢拏高幾仞(한라고기인: 한라의 높이는 몇 길이던가)
絶頂瀦神淵(절정저신연: 정상의 웅덩이는 신비로운 못)
波出北流去(파출북유거: 물결이 넘쳐 북으로 흘러가니)
下爲朝貢川(하위조공천: 저 아래 조공천을 이루었네)
懸瀑亂噴沫(현폭란분말: 내걸린 폭포에선 어지러이 물방울이 튀며)
走若珠璣圓(주약주기원: 둥근 구슬처럼 달아나는데)
驚湍激群石(경단격군석: 놀란 급류는 여기저기 바위에 부딪히다)
間作甕盎穿(간작옹앙천: 간혹 동이처럼 파이기도 한다)
安流得數里(안류득수리: 잔잔히 흘러 몇 리에 이르니)
澄淨涵靑天(징정함청천: 맑고 깨끗함은 푸른 하늘을 적시는데)
道人有宗海(도인유종해: 종해라는 도인이 있어)
卓庵向川邊(탁암향천변: 냇가를 향해 우뚝 암자를 세웠다)
旣從山水樂(기종산수락: 이미 山水의 즐거움을 따랐고)
且寄香火緣(차기향화연: 또한 香火의 인연에 기대었는데)
涼秋佳月夕(양추가월석: 서늘한 가을, 달 고운 저녁이 와)
掃石開客筵(소석개객연: 바위를 쓸어 손님 맞을 자리를 마련하도다)
嘗新剝棗栗(상신박조율: 새로움을 맛보려 대추와 밤을 따고)
談古窮幽玄(담고궁유현: 옛 이야기 하다 그윽함이 다하니)
因思仲尼語(인사중니어: 공자의 말을 떠올리고)
頗憶小聖禪(파억소성선: 자못 소성의 선도 생각한다)
由斯無生理(유사무생리: 이런 까닭에 삶의 이치가 공한 것을)
名以期遐傳(명이기하전: 사명(寺名)으로 삼아 오래 전해지기를 기대하나니)
如能高著眼(여능고저안): 만약 그 뜻에 높이 착안한다면)
波波皆不遷(파파개불천): 물결이 모두 떠나가는 일은 없으리라)
현 동쪽 45리 거리의 법화사(法華寺)에 있는 시
法華庵畔物華幽(법화암반물화유: 법화암 가 경치가 화려하고 그윽하니)
曳竹揮松獨自遊(예죽휘송독자유): 대나무 솔가지 끌고 휘두르며 홀로 논다)
若間世間常住相(약간세간상주상): 만일 세상에 상주하는 상을 묻는다면)
梨花亂落水奔流(이화난락수분류): 배꽃은 어지럽게 떨어지고 물은 분탕질하며 흐른다 말하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