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02597
한자 海女服
영어음역 haenyeobok
영어의미역 diving suits
이칭/별칭 잠수옷,잠녀옷,물옷,해녀옷
분야 생활·민속/생활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고부자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에서 해녀가 바다에 들어갈 때 입는 옷.

[개설]

‘잠수(潛嫂)’란 바닷물 속에서 미역 소라 전복 등 해산물을 채취해내는 여성을 말하고, 이 작업과정을 ‘물질’이라고 하였다. 따라서 ‘물 속에 잠긴다’는 뜻으로 쓰는 현재의 잠수(潛水)나, 잠수부(潛水夫)와는 다르다.

물질하는 여성들에 대한 명칭은 1970년대까지도 ‘수’·‘녜’라고 했는데, 현재는 일제강점기부터 비하시켜 사용했던 해녀를 관례로 쓰고 있다. 『탐라순력도(耽羅巡歷圖)』(1703년)에도 제주시 용연(龍淵) 근처 바닷물 속에서 작업하는 잠수 다섯 명을 그리고 옆에 ‘잠녀(潛女)’라고 써놓았다.

잠수옷이란 이들이 바닷물 속에서 작업할 때 입는 옷을 말한다. 이 옷의 명칭은 수옷·녀옷·물옷·물소중이·해녀옷 등 여러 가지로 불렸다. 물옷은 몸통만 가리고 팔과 다리가 노출되는 짧은 단벌 홑옷인데, 한쪽 옆을 터서 여러 개의 끈이나 단추로 여미도록 했다.

가랑이 밑은 두 겹에 180°로 넓게 막고, 한쪽 어깨에 끈이 달려 있다. 추운 날에는 그 위에 낡은 적삼(赤衫)을 덧입기도 했다.

1950년대 이후 광목이 나오고 옷감이 흔해지면서 단벌 물소중이 외에 위[上衣]에는 ‘물적삼’을 입고, 머리에는 ‘물수건’을 썼다. 이 모두를 합하여 ‘물옷’이라고 하기도 했다.

이때 잠수용구로 ‘안경[水鏡]’, 해산물을 담는 ‘망시리’, 몸을 의지하는 ‘태왁’, 이외에 해산물 채취용 도구들을 사용했다. 이 옷들은 1970년대 이후 ‘고무 옷[潛水服]’이 나오기 전까지 입었다.

[변천]

해녀복은 언제부터, 어떤 모양으로, 누구에 의해 만들어졌는지 모른다. 노인들은 “왜구(倭寇)들의 겁탈에 몸을 지키기 위하여 고안해 낸 것”이라고 한다. 이는 왜구의 침입이 고려 말부터 조선 초기에 빈번하였고, 그 후에도 계속 나타나고 있었으므로 신빙성이 있다.

또 왜구의 겁탈은 “밤에 몸을 허락하고 싶지 않을 때 남편이 치근대면 ‘소중이’ 두 벌을 트인 곳을 다르게 엇바꿔 입으면 좋았다.”는 경험담에 의해서도 입증이 간다.

옷에 대한 기록으로는 이건(李健)이 제주에 유배왔을(1628~1635년) 때 쓴 『제주풍토기(濟州風土記)』에서 볼 수 있다. 거기에는 “잠녀들이 알몸으로 잠수(潛水)한다.”는 구절이 있다.

여기서 ‘알몸’이라고 하는 것은 여성의 외출과, 외출할 때 내외용(內外用) ‘쓰개’로 얼굴을 가리던 당시의 사회 분위기로 볼 때 노출이 어느 정도였는지 알 수 없다. 현재 남아 있는 유물들은 1950년대 이후의 것뿐이지만, 1703년『탐라순력도』에 흰색 옷을 입고 작업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1700년대 이전부터 있었던 것은 확실하다.

[현황]

현재는 해녀복으로 1970년대 말 이후부터 바뀐 ‘고무 옷’과 화학재료로 만든 도구들이 이용되고 있다. 이 옷을 입으면 추위를 덜 타므로 잠수 시간이 길어(1회 6시간 정도, 물소중이의 경우 30분 정도) 경제성이 높다.

그러나 오랜 시간 노동으로 저항 능력을 잃어서 많은 질병을 일으키고 있으며, 특히 허리에 맨 무거운 납덩어리 때문에 심한 허리병을 앓고 있다. 또한 고무 냄새로 두통과 구토증이 나고, 피부염도 유발되고 있다. 이런 증세들로 한때 ‘뇌선(노싱)’이라는 약이 최상의 진정제이자 처방제였으며, 지금도 투약과 치료가 계속되고 있다.

[참고문헌]
이용자 의견
관** 디지털제주시문화대전을 이용해 주셔서 감사합니다. 저작권 문제로 인하여 원본영상 제공은 하지 않고 있습니다. 양해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2012.05.15
장** 해녀영상이 너무나 맘에 드는 군요. 저희 할머니랑 같이 영상을 봤는데 할머니 반응이 좋더군요 혹시 동영상원본 받을수 있을까요? 2012.05.15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