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01764
한자 粘土帶土器
영어음역 jeomtodae togi
영어의미역 pottery with clay stripes
이칭/별칭 점토띠토기
분야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유형 유산
유형 유물/기명류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시대 선사/청동기,선사/철기
집필자 김경주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성격 토기
제작시기/일시 기원전 3세기~기원후 1세기
제작지역 한국
재질 점토
문양 없음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서 출토된 청동기시대 토기.

[개설]

점토대토기는 구연부에 점토로 된 띠를 덧대어 만든 토기이다. 중국 동북 지방에서 전파된 것으로 보이며, 제주 지역에서 출토되는 점토대토기는 대체로 남해안 지역에서 파급된 것으로 판단된다.

[형태]

제주 지역의 점토대토기는 단면 형태에 따라 원형·타원형·말각 방형·삼각형 등으로 분류된다. 먼저 육지산 원형 점토대토기가 제주에 유입된 후 재지산 태토로 제작된 원형 점토대토기가 출현한다. 다시 재지화 과정 속에서 타원형과 말각 방형의 점토대토기가 나타난다. 이후 이러한 원형계 점토대토기가 소멸하면서 삼각형의 육지산 태토 점토대토기가 출현한다.

제주 동북부 지역에 주로 분포하는 점토대토기는 종달리 유적에서 볼 때, 점차 구연부의 점토대 형태가 홑구연화하는 현상을 보인다. 이후 화순리와 외도동 단계를 거치면서 점토대토기는 점차 소멸하고 외반구연토기로 단일화된다.

[특징]

원형 점토대토기는 남한 전역에서 대부분 확인된다. 그러나 삼각형 점토대토기는 광주 신창동·해남 군곡리·삼천포시 늑도 유적 등 남해안 지역에서 집중적으로 확인되고 제주지역에서도 확인된다. 이로써 삼각형 점토대토기 주민 집단이 제주 지역으로 파급된 것으로 이해된다.

제주 지역에서 점토대토기가 확인된 유적은 종달리 유적·김녕리 유적·삼양동 유적·용담동 유적·곽지리 유적·상모리 유적·화순리 유적 등 주로 제주도 동북부 지역에 밀집되어 있다. 당시 이 지역은 재지계 주민 집단의 공백 지역으로 남아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이로 볼 때, 점토대토기 주민 집단은 기존의 재지계 주민 집단과 쉽게 동화되지 못하고 공백 지역을 중심으로 정착한 것으로 이해된다.

한편, 원형 점토대토기에서 삼각형 점토대토기로 전환되는 시점은 기원전 2세기 중엽경으로 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최근 각종 절대 연대 분석을 통해 원형 점토대토기의 상한 연대를 올려 보는 견해가 대두되고 있다.

[의의와 평가]

제주 지역에서는 최근까지 점토대토기 주민 집단이 일정한 규모로 자리 잡지 못한 것으로 이해되고 있었다. 그러나 점토대토기 유적이 다수 확인됨으로써 제주 지역에서 점토대토기 문화의 존재를 인정할 수 있게 되었다. 이로써 그동안 확인되지 않았던 제주 지역의 청동기 시대 전기 이후 토기 양상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이 점토대토기 주민 집단은 주변 지역의 주민 집단과 교류를 통해 점차 융합되는 과정을 거친 것으로 추정된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