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0701061
한자 喪禮
영어음역 sangnye
영어의미역 funeral rite
분야 생활·민속/민속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집필자 강정식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지역에서 상중(喪中)에 행하는 모든 의례.

[개설]

제주 지역에서 『예서(禮書)』에 명시된 절차에 따라 장묘 문화가 정착된 것은 예학(禮學)이 크게 일어난 조선 시대부터이다. 그러나 제주 지역의 경우, 예문에 따라 상례를 치르면서도 지역의 특성상 예부터 전해 내려오는 민간 신앙이 덧붙여지기도 하고, 또 예서의 절차를 다소 변통하기도 한다.

[절차]

제주의 상례 절차는 임종-수시-초혼-염습-조관-입관-출구-발인-운상-하관-성분-초우-귀양풀이-재우-삼우-졸곡-소상-대상-시왕맞이-담제 등의 순서로 요약된다.

사람이 사망했을 때는 먼저 평복으로 갈아입히고, 시신을 바로 눕힌다. 이어 깨끗한 백지나 햇솜으로 입, 코, 귀를 막아 준다. 그런 다음, 망인의 적삼이나 저고리를 시신 위에 덮어 두었다가 이를 가지고 지붕으로 올라가 초혼을 한다.

이 때 상주는 두루마기를 한쪽 팔만 끼운 채 입는다. 초혼이 끝나면 염습을 하는데, 염습은 소렴과 대렴으로 나누어 행한다.

소렴은 사망한 다음 날 몸을 닦고 수의를 입히는 것이고, 대렴은 소렴한 다음 날 아침에 입관하는 절차이다. 소렴이 끝나면 우선 관을 짜야 한다. 목수를 불러 상가 마당에서 관을 짠다.

관 안쪽에는 창호지로 도배하고, 바깥에는 검은 칠을 한다. 이 날 사돈집에서 팥죽을 가져와 사람들에게 대접한다.

소렴한 다음 날 입관을 한다. 관 밑바닥에 칠성판을 깔고 베개를 놓아 시신을 누인 뒤 천금(天衿)을 덮는다. 망인의 머리털, 손톱, 발톱을 깎아 각기 주머니에 담아 관에 함께 넣는다. 빈 곳에는 망인의 옷을 말아서 채운다.

입관한 뒤에는 성복제(成服祭)를 지낸다. 이 때 상주는 제대로 된 상복을 입고, 친지들도 두건을 쓴다. 성복제가 끝나면 빈소를 차리고, 조석으로 분향하고 곡을 한다.

이 때 가까운 곳에 임시 매장을 하는 토롱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토롱은 집 가까운 곳에 땅을 파고 관을 놓은 다음 이엉을 두르고 흙으로 덮어 두는 것이다.

이와 같은 과정이 끝나면, 장례의 제반 절차와 준비 사항에 대한 의논을 하여 결정한다. 장지 마련 및 택일도 이 때 이루어진다.

장지는 정시(지관)에게 부탁해서 좋은 자리를 골라 택하였는데, 지금은 거의 마을 공동 묘지에 묏자리를 마련한다. 택일은 길일을 찾되, 가급적 3일장이나 5일장 등 장례의 기일이 홀수가 되도록 한다.

장례 전날 하루 동안 문상객을 받는데, 이를 일포(日哺)라고 한다. 문상 온 남성들은 제상 앞에 가서 부조금을 놓고 절을 한다. 여성들은 혼백을 모시고 있는 방으로 들어가 곡을 한다.

여성들은 겹부조를 하는 것이 일반이다. 곧 그 집안의 여성 상주들에게 일일이 부조를 하는 것이다.

일포제는 신시(보통은 저녁 5시경)에 지낸다. 일포제가 끝나면 복친들이 상두꾼을 빌리려고 마을 사람들의 집을 찾아다닌다.

장례식 날 아침에는 먼저 상두꾼들에게 아침 식사를 대접한다. 그런 다음 발인 고사를 지낸 뒤 상여를 준비하여 시신을 상여로 모신다. 나감을 고하는 견전제(遣奠祭)를 지내고, 상여를 메고 나간다.

먼저 명정이 앞장을 서고, 여상주가 혼백상을 업고 그 뒤를 따르며, 그 뒤를 다시 여성 친지들이 곡을 하며 뒤따른다. 그 다음에 상여가 따르고, 맨 뒤에 상주와 친지들, 그리고 조들이 따라 간다.

장지에 도착해서는 시신을 정상방에 모신 다음 개광 자리를 파기 시작한다. 정해진 시간이 되면, 하관제를 지내고 시신을 개광 자리에 하관한다.

하관이 끝나면, 평토 소리를 해가며 무덤에 흙을 갖다 놓는 대로 다지는 평토 작업을 한다. 상두꾼들에게 식사를 대접하고 나서 봉토 작업을 벌여 봉분을 완성한다.

이 때 산담을 쌓는다. 산담이란 무덤 주변에 둘러 쌓는 돌담을 말한다. ‘산잣’이라 고 부르는 지역도 있다. 예전에는 장례 당일, 장지에 간 사람들이 부조로 곳곳에 흩어져 있는 돌과 자갈을 모아서 산담을 하는 것이 관례였다.

요즘은 미리 준비해 둔 돌로 장례를 지내는 날 쌓는데, 집안 형편에 따라 장례 후에 산담을 하는 경우도 있다.

봉분이 완성되면, 폄제(窆祭)라고 하는 일종의 토신제를 지낸다. 폄제가 끝나면 상제들이 상두꾼들에게 감사를 드리고, 그 표시로 선물을 나누어 준다. 이를 피력이라고 한다.

상두꾼들이 돌아가고 난 뒤에 복친과 상제들은 초우제(初虞祭)를 지낸다. 그런 다음 봉분에 혼백을 모신다.

이러한 절차가 모두 끝나면, 주부가 혼백 상자를 업고 집으로 돌아온 뒤 그 날 저녁 심방을 청하여 귀양풀이를 한다.

장례 뒷날 재우제를 지내고, 다음날 삼우제를 지낸다. 백 일이 지난 뒤 정일(丁日)이나 해일(亥日)에는 졸곡제를 지낸다. 요즘에는 삭망제를 지내지 않고 소상까지 초하루에 삭제(朔祭)만 지낸다.

망자가 죽은 지 한 돌이 되면 소상을 치른다. 이 때 복친들은 상복을 벗는다.

두 돌이 되면 대상을 치른다. 제사를 지내기 전에 상복을 벗고, 백두건을 쓰고 제를 지낸다. 그러나 제주도 전역에서 대상을 치르지 않은 지는 이미 오래 되었다. 따라서 소상 때 상복을 벗는 것이 보통이다.

대상 이후 백 일이 다가오면 정일이나 해일을 골라 담제(禫祭)를 지냈다. 이 날 여자들의 ‘머리창’을 실로 바꾼다.

삼 년째 되는 해 ‘시왕맞이’를 하여 영혼의 저승 생활이 평안하기를 기원한다. 저승의 일 년은 이승의 삼 년에 해당된다는 관념에 기초를 둔 의례이다. ‘시왕맞이’를 끝으로 모든 상례 절차는 마무리된다.

[음식]

상례의 제물이나 진설은 일반 제사와 크게 다르지 않다. 다만 떡으로 ‘중궤(직사각형의 흰떡)’·‘약궤(정사각형의 흰떡으로 네 귀퉁이와 가운데 구멍을 뚫은 것)’가 추가되는 점이 다르다.

[복식]

상제들은 상례상을 차려 놓고 상복으로 삼베옷을 입는다. 방장대(상장)는 부친인 경우 대나무를, 모친인 경우 머귀나무를 짚는다.

[생활민속적 관련사항]

상례 때 친족들의 부조는 의무적이었다. ‘고적’이라고 부르는 부조는 떡과 살로 구분되는데, 떡인 경우는 메밀가루로 둥글넓적하게 만들었다. 친족의 부고를 들으면 여자들은 서둘러 고적 떡을 마련하였고, 장사 날에는 아무리 먼 거리라도 고적을 등에 지고 장지까지 따라 갔다. 고적 떡은 장지에서 식사를 대신하였다.

사돈집에서는 상주들을 위해 팥죽을 쑤어 갔는데, 성복을 하기 전에는 상주들이 밥을 먹지 않았기 때문에 상주들을 위하여 팥죽으로 부조를 한 것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