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0700466 |
---|---|
한자 | 南朝鮮勞動黨濟州島委員會 |
영어공식명칭 | South Korean Labor Party, Jeju Council |
영어음역 | Namnodang Jejudo Wiwonhoe |
이칭/별칭 | 남로당 제주도 위원회 |
분야 | 정치·경제·사회/정치·행정 |
유형 | 기관 단체/기관 단체(일반) |
지역 |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 |
시대 | 현대/현대 |
집필자 | 장윤식 |
[정의]
제주특별자치도 제주시에 있었던 정치 단체.
[설립 목적]
공산주의 이념을 제주에 전파하기 위해 결성되었다.
[변천]
서울에서는 1946년 11월 23일 조선공산당, 조선인민당, 남조선신민당 등 좌익 3당이 합당 형식으로 남조선 노동당[남로당]을 결성하였는데, 제주 지역은 1945년 12월 9일 결성된 조선공산당 제주도 위원회가 서울의 좌익 정당 통폐합 흐름에 따라 남조선 노동당 제주도 위원회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활동 사항]
제주도에서 조선 공산당 제주도 위원회나 남로당 제주도 위원회 이름으로 대중 활동을 전개한 것은 거의 없었다. 초기에는 대중 조직인 인민 위원회나 청년동맹, 부녀 동맹, 민주주의 민족 전선[1947년 2월에 결성된 좌익 세력의 통일 전선]의 이름으로 대중 활동을 전개하였다.
그러나 1947년 3월 1일 3·1절 기념 시위 때 제주 경찰서 앞 발포 사건으로 사상자가 발생하자 3월 7일 ‘3·1 사건 대책 투쟁에 대하여’라는 지령서를 각 읍·면 위원회에 내려 보내는 등 산하 조직을 동원하였다.
이 지령서에 따르면 투쟁 방침의 세 가지로 첫째, 3·1 투쟁 방침의 연장으로 당의 영웅적 대중 투쟁을 통한 합법 전취 둘째, 미제 및 반동 진영의 약체화에 대한 결정적·최후적 투쟁 셋째, 제2혁명 단계의 대중적 투쟁에 대한 완전한 사상적·무력적 준비 등이었다. 그리고 당내 투쟁 조직으로는 3·1 사건 투쟁 위원회를, 당외 투쟁 조직으로는 3·1사건대책위원회를 읍·면·리에 합법적으로 구성할 것을 시달하였다.
남조선 노동당 제주도 위원회는 1948년 1월 조직책이 검거되어 조직이 드러나고 1월 22일 조천면 신촌리를 시작으로 1월 26일까지 제주도 곳곳에서 안세훈(安世勳) 위원장을 비롯해 김유환, 김은환, 김용관, 이좌구, 이덕구(李德九), 김양근 등 간부 다수가 대거 검거되는 치명적인 상황을 맞이하였다.
이때까지만 해도 남로당은 합법 정당이었기 때문에 남로당원이라는 이유만으로는 구속할 수 없어 이때 연행된 자들은 대부분 방면되었다. 하지만 1948년에 발생한 전국적인 2·7 투쟁에 맞춰 일부 지역에서 시위 및 전단지 등이 살포되어 또 한번의 대량 검거에 내몰리게 된다.
이에 위기감을 느낀 남조선 노동당 제주도 위원회는 유엔에서 남한만의 단독 선거 방침이 결정되자 ‘조직의 수호와 탄압 세력 척결’ 그리고 ‘단선 단정 반대’의 표어를 내걸고 무력 조직화하여 1948년 4월 3일 무장봉기를 일으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