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텐츠목차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600580
한자 徐居正
이칭/별칭 강중(剛中),사가정(四佳亭),자원(子元),정정정(亭亭亭)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경기도 화성시
시대 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이왕무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420년연표보기 - 서거정 출생
활동 시기/일시 1438년 - 서거정 생원·진사 양시에 합격
활동 시기/일시 1444년 - 서거정 식년문과 을과로 급제, 사재감직장(司宰監直長)에 제수
활동 시기/일시 1447년 - 서거정 홍문관부수찬(弘文館副修撰)으로 지제교 겸 세자우정자(知製敎兼世子右正字)로 승진
활동 시기/일시 1451년 - 서거정 부교리(副校理)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453년 - 서거정 수양대군(首陽大君)을 따라 명나라에 종사관(從事官)으로 다녀옴
활동 시기/일시 1455년 - 서거정 세자우필선(世子右弼善)
활동 시기/일시 1457년 - 서거정 우사간·지제교에 초수(招授)
활동 시기/일시 1458년 - 서거정 공조참의·지제교에 임명. 예조참의로 옮김
활동 시기/일시 1460년 - 서거정 이조참의로 옮기고, 사은사로서 중국에 감
활동 시기/일시 1465년 - 서거정 예문관제학·중추부동지사(中樞府同知事)에 임명
활동 시기/일시 1466년 - 서거정 예조참판이 됨
활동 시기/일시 1467년 - 서거정 형조판서로서 예문관대제학·성균관지사를 겸해 문형(文衡)을 관장
활동 시기/일시 1471년 - 서거정 달성군(達城君)에 봉해짐
활동 시기/일시 1476년 - 서거정 『삼국사절요(三國史節要)』를 공편
활동 시기/일시 1478년 - 서거정 『동문선(東文選)』 130권을 신찬
활동 시기/일시 1479년 - 서거정 이조판서
활동 시기/일시 1481년 - 서거정 『신찬동국여지승람(新撰東國與地勝覽)』 50권을 찬진, 병조판서가 됨
활동 시기/일시 1485년 - 서거정 세자이사(世子貳師)를 겸 『동국통감(東國通鑑)』 57권을 완성
활동 시기/일시 1486년 - 서거정 『필원잡기(筆苑雜記)』를 저술
활동 시기/일시 1487년 - 서거정 왕세자가 입학하자, 박사가 되어 『논어(論語)』를 강함
몰년 시기/일시 1488년연표보기 - 서거정 사망
특기 사항 시기/일시 1975년 - 서거정 묘소를 경기도 화성시로 이장
묘소|단소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왕림리 산 44-1 지도보기
성격 문신
성별
본관 대구
대표 관직 홍문관부수찬|공조참의|예조참판|형조판서|좌참찬|좌찬성|대제학

[정의]

경기도 화성시에 묘소가 있는 조선 전기 문신.

[가계]

본관은 대구(大丘). 자는 강중(剛中), 호는 사가정(四佳亭)이며, 초자(初字)는 자원(子元)이고, 자호(自號)는 정정정(亭亭亭),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조부는 호조전서 서의(徐義), 부친은 안주목사(安州牧使) 서미성(徐彌性), 모친은 안동 권씨(安東權氏)로 양촌(陽村) 권근(權近)의 딸이다. 좌의정 최항(崔恒)이 그의 자형(姉兄)이다.

[활동 사항]

서거정(徐居正)[1420~1488]은 1438년(세종 20) 생원·진사 양시에 합격하였다. 1444년(세종 26) 식년 문과에 을과로 급제한 후, 성균관 박사(博士)에 임명되었다가, 1447년에 집현전에 들어갔다. 홍문관부수찬(弘文館副修撰)으로 지제교 겸 세자우정자(知製敎兼世子右正字)로 승진하였고, 1451년(문종 1) 부교리(副校理)에 임명되었으며, 1453년 수양대군(首陽大君)을 따라 명나라에 종사관(從事官)으로 다녀왔다. 1455년(세조 1) 세자우필선(世子右弼善), 1457년 문과 중시에 병과로 급제하고 우사간·지제교에 초수(招授)되었으며, 1458년 정시(庭試)에서 우등하여 공조참의·지제교에 임명되었다가, 예조참의로 옮겼다. 1460년(세조 6) 이조참의로 옮기고, 사은사로서중국에 갔으며, 1465년 예문관제학·중추부동지사(中樞府同知事)를 역임하였고, 1466년 발영시(拔英試)에 을과로 급제하고 예조참판이 되었다. 등준시(登俊試)에 3등으로 급제하여 행동지중추부사(行同知中樞府事)에 특가(特加)되고, 1467년 형조판서로서 예문관대제학·성균관지사를 겸하여 문형(文衡)을 관장하고, 1470년(성종 1) 좌참찬, 1471년 순성명량좌리공신(純誠明亮佐理功臣) 3등에 녹훈되어 달성군(達城君)에 봉하여졌다. 1476년(성종 7) 원접사가 되어 명나라 사신을 영접하고, 우찬성이 되었다. 1477년 달성군에 다시 봉하여지면서 도총관(都摠管)을 겸하고 1478년 대제학을 겸직하였다. 한성부 판윤에 제수하고 1479년 이조판서, 1481년 병조판서, 1485년 세자이사(世子貳師)를 겸하였다.

경연(經筵)의 강론(講論)을 45년 동안 하였고, 문형(文衡)을 맡은 햇수가 23년이었다. 과거를 주관하여 인재를 선발한 것이 23회나 되었다. 성균관 재학 시기 항상 선두를 차지하였으므로, 유생들이 “양촌 권근의 문장이 외손자에게 전수되었을 것이다.”라며 부러워하였다. 문장으로 일가를 이루었는데, 특히 시(詩)에 능하였다. 그의 문장은중국에까지 알려져 1460년(세조 6) 사은사로서중국에 갔을 때, 통주관에서 안남(安南) 사신과 시재를 겨루었고, 요동인 구제는 그의 초고를 보고 감탄하였다고 하며, 1476년(성종 7) 원접사가 되어 명나라 사신을 영접하였을 때에는 수창(酬唱)을 잘하여 기재라는 칭송을 받았다.

[학문과 저술]

대표적인 저술로는 시문집 『사가집』이 전한다. 역대 우리나라 역사를 기록한 『동국통감』을 비롯하여, 우리나라의 각 지방 연혁과 풍물을 담은 인문지리서 『동국여지승람』의 편찬에 참여하였다. 신라의 설총에서부터 조선 건국 이후의 작가에 이르기까지 약 5백인의 작가들 작품 4,302편을 수록한 『동문선』등을 공동으로 편찬하였고, 『삼국사절요(三國史節要)』·『역대연표(歷代年表)』·『신찬동국여지승람(新撰東國與地勝覽)』 등을 찬집하였다. 개인 저술로서 『동인시화』·『태평한화골계전』·『필원잡기』·『동인시문』 등을 남겼다.

[묘소]

묘소는 경기도 화성시 봉담읍 왕림리 산 44-1에 있다. 본래 서울시 강동구 방이동에 있었으나, 도시 계획에 따라 1975년 경기도 화성군으로 이장하였다. 묘소 앞에는 사당이 세워져 있고, 옛 석물로 남아있는 것은 묘표·문인석·신도비이다. 신도비는 어세겸이 찬하고 구언회가 서(書)하였다. 묘소를 이장할 때 19매의 묘지석이 출토되어 경기도 유형문화재로 지정되었다. 경기도 박물관에 보관되어 있다.

[상훈과 추모]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