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봉림산 봉혈 전설」 이전항목 다음항목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601300
한자 鳳林山 鳳穴 傳說
분야 구비 전승·언어·문학/구비 전승
유형 작품/설화
지역 경기도 화성시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원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채록|수집|조사 시기/일시 1980년 6월 20일 - 「봉림산 봉혈 전설」 김찬모로부터 채록
수록|간행 시기/일시 1981년 9월 30일 - 「봉림산 봉혈 전설」 『한국구비문학대계 1-5: 경기도 수원시·화성군편』에 수록
채록지 경기도 화성시 송산면 사강리 지도보기
주요 등장 인물 청 태종

[정의]

경기도 화성시 송산면 사강리에서 채록된 이야기로 옛날 남양에 온 청 태종이 봉황굴에서 봉황을 보려다가 한쪽 눈을 잃고 돌아갔다는 이야기.

[채록/수집 상황]

1981년 9월 30일 한국정신문화연구원에서 발행한 『한국구비문학대계 1-5: 경기도 수원시·화성군편』에 「봉림산 봉혈(鳳林山鳳穴) 전설」이라는 제목으로 516~518쪽에 걸쳐 수록되어 있다. 「봉림산 봉혈 전설」 은 1980년 6월 20일 송산면 사강리에서 채록되었으며, 구연자는 김찬모[남, 64세]이며 조사자는 성기열, 최명동, 김용범이다.

[내용]

화성시 남양읍 남쪽에 위치한 봉림산(鳳林山)[과거에 비봉산(飛鳳山)이라고도 불렸는데, 현재의 이름은 무봉산(舞鳳山)이다.]에는 봉림사(鳳林寺)가 있는데 이곳에는 봉혈(鳳穴)이 있다고 한다. 옛날 병자호란 시절 청나라 태종이 화성의 남양 지역에 도착하였다. 지리를 탐색해보니 봉림산, 봉림사, 봉혈굴, 비봉면 등 지명에 봉황의 봉(鳳) 자를 많이 쓰는 것이 신기했다. 이에 청태종이 궁금하여 “여기 지명에 봉(鳳) 자가 많이 쓰이는데 혹시 봉황새를 본 사람이 있느냐?”하고 물었다. 마을 사람들이 답하길 “봉황새는 본 일이 없고, 봉황의 굴은 있습니다.”라고 했다. 청 태종은 “봉황의 굴이 있으면 봉황이 있을 게 아니냐? 그 굴로 안내해라.”고 했다. 굴에 도착한 청태종은 굴 입구에서 봉황이 나오길 기다렸다. 오랫동안 기다려도 봉황이 나오지 않자 불을 지르라고 했다. 사람들이 솔잎을 따다 불을 붙이니 굴속에 연기가 가득 찼다. 청 태종은 연기 가득한 굴속에 머리를 들이밀며 안에서 무엇이 나오는지 보려고 했다. 그 순간 굴속에서 나온 무언가가 청 태종의 왼쪽 눈을 차고 나가 사라졌다. 청 태종의 눈이 하나 없다고 하는데 화성의 남양에서 봉황을 보려다가 잃게 된 것이다. 결국 청 태종은 남양에서 눈만 잃고 봉황새는 보지도 못하고 돌아갔다.

[모티프 분석]

「봉림산 봉혈 전설」 이야기는 봉황 봉(鳳) 자가 많이 쓰이는 화성 지명의 특징을 나타내는 지명 전설로서 제목의 봉림산은 현재 무봉산에 해당한다. 이야기의 주요 모티프는 화성 남양에 도래한 청나라의 태종이 지명에 쓰인 많은 봉(鳳) 자를 보고, 이 지역에 봉황이 있다고 생각해 봉황굴 앞에서 기다리다 지쳐 불을 붙이는 금기 위반적 행위를 저지르자 무언가가 나와 청 태종의 왼쪽 눈을 공격하고 사라졌다는 것이다. 이로 인해 청나라 태종이 한쪽 눈을 실명하게 되었다는 부연이 따르는데, 실상 청나라 태종 홍타이지가 실명했다고 전해지는 자료는 찾기 어렵다. 그렇기에 이는 야사 속에서 안시성 전투 중 한쪽 눈을 잃었다고 전해지는 당나라 태종 이세민 이야기와 혼용된 것으로 보인다. 봉황굴에서 나와 사라졌다는 미확인물체는 서사적 맥락상 봉황으로 보인다. 이것은 봉황이 깃들어 사는 길한 지세의 명당이 있다고 생각하여 봉(鳳) 자를 지명에 많이 사용하고 있는 지역 인식과도 관련이 있다.

[참고문헌]
  • 성기열, 『한국구비문학대계』 1-5: 경기도 수원시·화성군편(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1)
  • 한국민속대백과사전(https://folkency.nfm.go.kr)
  •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http://encykorea.aks.ac.kr)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