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600583
한자 柳希奮
영어공식명칭 Yu, hŭibun
이칭/별칭 형백(亨伯),화남(華南),문창부원군(文昌府院君)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경기도 화성시 송산면
시대 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송양섭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564년연표보기 - 유희분 출생
활동 시기/일시 1590년 - 유희분 생원시 및 진사시에 입격
활동 시기/일시 1592년 - 유희분 세자익위사의 익찬으로 세자 광해군 호종
활동 시기/일시 1597년 - 유희분 문과 급제
활동 시기/일시 1598년 9월 20일 - 유희분 예조좌랑 임명
활동 시기/일시 1599년 3월 23일 - 유희분 성균관 전적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01년 5월 25일 - 유희분 시강원 문학으로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02년 1월 5일 - 유희분 사간원 정언으로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02년 1월 7일 - 유희분 사헌부 지평으로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02년 4월 25일 - 유희분 이조정랑으로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02년 10월 4일 - 유희분 시강원 필선으로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02년 11월 26일 - 유희분 성균관 직강으로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03년 11월 7일 - 유희분 사옹원 정으로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04년 7월 18일 - 유희분 홍문관 응교로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04년 9월 12일 - 유희분 사섬시 부정으로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04년 10월 28일 - 유희분 홍문관 전한으로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07년 4월 28일 - 유희분 성균관 사성으로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07년 6월 15일 - 유희분 사헌부 집의로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08년 1월 9일 - 유희분 홍문관 직제학으로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08년 1월 14일 - 유희분 승정원 동부승지로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08년 7월 7일 - 유희분 호조참판에 제수
활동 시기/일시 1608년 7월 16일 - 유희분 예조참판에 제수
활동 시기/일시 1610년 2월 8일 - 유희분 이조참판에 제수
활동 시기/일시 1610년 6월 7일 - 유희분 승정원 도승지로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10년 11월 13일 - 유희분 사헌부 대사헌으로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11년 8월 9일 - 유희분 한성부 판윤으로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11년 8월 23일 - 유희분 형조참판으로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12년 1월 6일 - 유희분 정헌대부(정2품 상계)로 가자(加資)
활동 시기/일시 1613년 3월 12일 - 유희분 익사공신(翼社功臣) 1등에 책훈
활동 시기/일시 1614년 7월 3일 - 유희분 문창부원군(文昌府院君)으로 봉작
활동 시기/일시 1617년 3월 26일 - 유희분 의정부 우찬성으로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17년 8월 16일 - 유희분 병조판서로 임명
활동 시기/일시 1617년 11월 - 유희분 병조판서로서 폐모정청에 참여
활동 시기/일시 1623년 3월 13일 - 유희분 반정군(反正軍)에 의하여 수금
몰년 시기/일시 1623년 4월 4일연표보기 - 유희분 사망
출생지 경기도 화성시 송산면 지도보기
성격 문무관인
성별 남성
본관 문화(文化)
대표 관직 도승지|한성부판윤|병조판서|우참찬|우찬성

[정의]

조선 후기 경기도 화성시 송산면 출신의 문신.

[가계]

본관은 문화(文化). 자는 형백(亨伯), 호는 화남(華南)이다. 할아버지는 공조판서 유잠(柳潛), 부친은 광해군의 장인인 문양부원군(文陽府院君) 유자신(柳自新)이다. 어머니는 동래 정씨(東萊鄭氏)로, 정유길(鄭惟吉)의 딸이다. 형제는 형 유희갱(柳希鏗)·유희담(柳希聃), 아우 유희발(柳希發)·유희량(柳希亮)·유희안(柳希安)이 있다. 처는 현감을 지낸 성질(成礩)의 딸 창녕 성씨(昌寧 成氏)이며, 아들 유정립(柳正立)·유명립(柳命立) 외에도 서자로 유익립(柳益立)·유복립(柳福立)이 있다.

[활동 사항]

유희분(柳希奮)[1564~1623]은 1564년에 태어났다. 1590년(선조 23) 27세의 나이로 생원·진사시 동시에 입격한 뒤, 남행으로 관직 생활을 시작하였다. 임진왜란이 발발하자, 세자익위사(世子翊衛司)의 익찬(翊贊)으로서 세자 광해군을 호종하였다. 1597년(선조 30) 별시문과에 병과로 급제하고 예조좌랑에 임명되었다. 1599년(선조 32) 홍문관 수찬으로서 유성룡(柳成龍)을 탄핵하였으나, 도리어 배척을 받고 파직되었다. 오래지 않아 사헌부 지평으로서 언관 활동을 한 사실이 확인되며, 1601년 성균관 전적(典籍), 세자시강원의 사서(司書)로 임명되면서 관직 생활을 이어갔다. 사간원 전적·사헌부 지평을 거쳐 이조정랑에 제수되었다. 1607년(선조 40) 성균관 사성(司成)이 되었고, 홍문관 직제학을 지냈으며, 이듬해 1월에 동부승지로 발탁되었다. 선조 대 중반 이후 세자시강원에서 여러 관직을 거쳤던 탓에, 광해군의 즉위 이후 뚜렷한 정치적 족적을 남기기 시작하였다. 광해군 즉위 후, 우부승지로 승진한 것으로 비롯하여, 호조와 예조의 참판에 연달아 기용되었고, 광해군 재위기간 동안 오랜 기간에 걸쳐 시강원의 우부빈객·우빈객을 겸하고 있었다. 1609~1610년에 걸쳐 대사헌·이조참판·도승지·대사간 등의 요직을 거쳐 의정부 우참찬에 임명되었고, 1611년(광해군 5) 한성부 판윤과 형조참판에 제수되었다. 1612년 정헌대부(正憲大夫)로 가자된 데 이어, 1613년 익사공신 1등에 책훈되었고, 1614년 문창부원군의 봉호를 받는 등 정치적 입지를 강화하였다. 1617년(광해군 9) 의정부 우찬성에 제수되었고, 같은 해 8월 병조판서로 발탁되었으며, 11월 폐모정청 때는 인목대비(仁穆大妃)에 대한 공격을 주도하였다. 당시 외척으로서 역모의 처단 등 정사에 깊숙이 간여하였으며, 소북 계열의 주요 인사가 되었다. 소북과 대북의 연립 정권을 구성하기도 하였는데, 대북 세력의 영수인 이이첨과는 정치적으로 반목하기도 하였다. 1623년 3월 인조반정이 일어나자, 즉시 수금되었고 4월 4일 처형되었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