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8600440
한자 烽燧-
영어공식명칭 Beacon Mounds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개념 용어/개념 용어(일반)
지역 경기도 화성시
시대 조선/조선 전기,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서길덕

[정의]

경기도 화성시에 있는 전근대 시대 통신 시설 터.

[개설]

화성 지역에서 확인되는 봉수대는 2021년 현재 모두 8개소에 달한다. 연안 지역에 자리한 해운산 봉수, 염불산 봉수, 흥천산 봉수, 도서 지역에 자리한 형도 봉수, 제부도 봉수, 내륙 지역에 자리한 건달산 봉수, 길성리 봉수, 서봉산 봉수 등이다.

[화성 지역 연안 봉수]

화성 지역 8개 봉수 중 조선 시대 문헌에 주로 등장하는 주요한 봉수는 연안 지역의 해운산 봉수, 염불산 봉수, 흥천산 봉수이다. 세 봉수 모두 전라남도 여수시 돌산도 봉수에서 출발하여 서울 목멱산[남산]에 이르는 제5거 봉수로에 속한 직봉[전국 5개 주요 선로상에 자리한 봉수대]이다.

봉수의 입지는 주변에서 가장 높은 봉우리보다는 높이가 낮으면서 시계가 양호한 산 정상부를 택하였다. 특히 해안선에서 바다 쪽으로 돌출된 지형이나 포구와 인접한 산 정상부를 택하여 봉수대를 축조한 것이 특징적이다. 이는 연안 지역 봉수가 해안으로 드나들던 선박을 감시하고 안전한 항해를 돕는 등의 기능을 겸하였다는 것을 의미한다.

그리고 염불산 봉수와 흥천산 봉수는 장축이 단축의 5~6배에 달하는 세장한 모습을 보이는 특이한 구조인데, 해안 지역에 입지한 지형적 특성이 고려된 것으로 짐작된다. 장축 방향은 흥천산 봉수를 제외하면 대부분 동-서 장축이다. 경기도 지역 내 유지(遺址)가 온전한 대부분의 연변 봉수[국경이나 도서 해안 등 변경에 자리한 봉수]의 장축 방향이 동-서를 기본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동-서 장축이 대응 봉수의 신호를 받기 위한 가장 접합한 장축 방향이었다고 보인다.

한편, 1831년 편찬된 『화성지』에는 화성 지역의 새로운 봉수로 건달산 봉수가 추가되었는데, 흥천산 봉수를 보조하기 위한 간봉[직봉에 들어가지 않는 보조 노선상의 봉수대]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흥천산 봉수는 원래 남쪽의 경기도 평택시 괴태곶 봉수에서 신호를 받아 북쪽의 염불산 봉수로 전달하는 역할을 하였는데, 19세기 들어 중요성이 더욱 커진 것으로 보인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