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200125
한자 大宮里
영어공식명칭 Daegung-ri
분야 지리/인문 지리
유형 지명/행정 지명과 마을
지역 경상남도 함양군 유림면 대궁리
시대 현대/현대
집필자 이미영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개설 시기/일시 1914년연표보기 - 대치마을·재궁마을·사안마을·성애마을을 병합하여 경상남도 함양군 유림면 대궁리 개설
변천 시기/일시 1914년 - 경상남도 함양군 예림면에서 경상남도 함양군 유림면으로 편입
대궁리 - 경상남도 함양군 유림면 대궁리 지도보기
성격 법정리
가구수 136가구
인구[남/여] 230명[남 100명, 여 130명]

[정의]

경상남도 함양군 유림면에 속한 법정리.

[명칭 유래]

대궁리는 대표 마을인 대치동(大峙洞)과 재궁동(才宮洞)의 이름을 따서 지어진 것이다. 대치마을은 사기소(沙器所)라는 작은 점촌마을이었으며 계곡에 터를 잡고 큰 재를 넘나든다 하여 대치(大峙)마을이라고 하였다. 또한 마을 뒷산의 모습이 물을 마시러 내려온 꿩의 모습을 닮아 대치 또는 한치(閑峙)라 하였다고 한다. 재궁마을은 두 개의 활이 놓여 있는 형상을 하고 있어 지어진 이름이라 전한다.

[형성 및 변천]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경상남도 함양군 예림면에서 경상남도 함양군 유림면으로 편입되었고 대치마을, 재궁마을, 사안마을, 성애마을을 병합하여 경상남도 함양군 유림면 대궁리가 되었다.

대궁리의 대치마을은 임진왜란 이후 밀양박씨가 단성 진태에서 피란처로 들어온 마을이며 조선 순조 때 밀양박씨가 단성에서 옮겨와 살았다. 재궁마을을 조선 선조 때 임진왜란 후 김녕김씨가 충청북도 영동군에서 지리산으로 피란 가던 중 이곳에 터를 잡고 개척한 것이라 전한다. 사안마을은 고려 말부터 마을이 형성되었다고 전해지며 조선 선조 때 임진왜란으로 인해 밀양박씨가 청주에서 내려와 왜구들은 막기 위해 남계천 하류 백사장 근처에 진을 구축하면서 사한(沙閑)이라 하였다고 한다.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주위의 수세나 산맥이 평사낙안(平沙落雁)이라 하여 사안으로 고쳤다고 한다. 성애마을은 1940년대 전국 각처에서 한센인들이 모여들어 집단촌을 형성하였고 1980년대에 사안마을에서 분동하여 성애마을로 개칭하여 독립된 마을이다.

[자연환경]

대궁리는 화장산[585.2m]의 북동쪽 사면에 있으며 북동쪽으로 뻗은 두 능선이 마을을 감싸고 있다. 화장산에서 발원한 하천들이 북동쪽으로 흐르면서 침식분지를 형성하였고, 대궁리의 동쪽 경계부에서 남강천과 합류하여 남쪽으로 흘러간다. 대궁리를 이루고 있는 4개의 마을 중 대치마을이 가장 상류부이며 그다음이 사안마을이다. 대궁리의 북쪽에는 성애마을이 남쪽에는 재궁마을이 남강 천변에 입지하고 있다.

[현황]

경상남도 함양군 유림면 대궁리의 동부지역으로 통영대전고속도로가 종단하듯 남북으로 달리고 있다. 지방도1034호선인 천왕봉로는 대궁리를 종단하듯 북쪽의 함양군 수동면함양군 수동면 화산리와 남쪽의 함양군 유림면 국계리를 이어주고 있다. 사안마을 동쪽으로 남강을 건너 함양군 수동면과 이어주는 수유교가, 성애마을 북쪽 경계부에 남강을 건너 함양군 수동면과 이어주는 성애교가 있으며 함양군 유림면 대궁리의 동쪽 경계부에 남강이 남쪽으로 흐르고 있다.

2018년 8월 말 기준으로 대궁리의 대치마을에는 32가구에 62명[남자 34명, 여자 28명]이, 재궁마을에는 35가구에 50명[남자 17명, 여자 33명]이, 사안마을에는 47가구에 80명[남자 30명, 여자 50명]이, 성애마을에는 22가구에 38명[남자 19명, 여자 19명]이 살고 있어 총 136가구에 230명[남자 100명, 여자 130명]이 거주하고 있다.

[참고문헌]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