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200751
한자 李叔蕃
영어공식명칭 Lee Sukbeon
이칭/별칭 백응,운정,안성부원군,충숙
분야 역사/전통 시대,성씨·인물/전통 시대 인물
유형 인물/문무 관인
지역 경상남도 함양군
시대 고려/고려 후기,조선/조선 전기
집필자 신은제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출생 시기/일시 1373년연표보기 - 이숙번 출생
활동 시기/일시 1393년 - 이숙번, 식년시에서 병과 7등으로 급제
활동 시기/일시 1398년 - 이숙번, 우부승지에 제수
활동 시기/일시 1417~1438년 - 이숙번, 경상남도 함양으로 유배
몰년 시기/일시 1440년연표보기 - 이숙번 사망
출생지 서울시 종로구 일원
부임|활동지 서울시 서대문구 안산
유배|이배지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화산리 까막섬 지도보기
묘소|단소 경기도 시흥시 금화로 353[산현동 산71]
성격 문신
성별
본관 안성
대표 관직 승정원 우부승지|좌군총제|지승추부사|지의정부사|참찬의정부사|중군총제|판의용순금사사

[정의]

조선 전기 경상남도 함양군에서 유배 생활을 한 문신.

[개설]

이숙번(李叔蕃)[1373~1440]의 자는 백응(伯應), 호는 운정(藝亭), 작호는 안성부원군(安城府院君)이다. 본관은 안성(安城)이다. 조선 태종의 복심으로 정사공신·좌명공신에 책봉되었으나 태종 말년에 경상남도 함양으로 유배되었다.

[가계]

할아버지는 이사정(李思正), 아버지는 이경(李坰)이다. 어머니는 영양남씨(英陽南氏) 남휘주(南輝珠)[1326~1372]의 딸이다. 부인은 첨서중추원사를 지낸 서원군(西原君) 정총(鄭摠)[1358~1397]의 딸이다.

[활동 사항]

이숙번은 1393년(태조 2) 문과에 급제하여 좌습유가 되었으나 외직으로 나가 지안산군사가 되었다. 1398년(태조 7) 지안산군사로 있으면서 안산군의 병력을 이끌고 왕자의 난을 이끌었다. 이후 승정원 우부승지에 임명되고 정사공신에 책봉되었다. 이후 태조 이성계의 넷째 아들 이방간(李芳幹)[1364~1421]이 거병하여 2차왕자의 난을 일으키자 이숙번이 군사를 이끌고 나가 진압하였다. 이어 좌군총제와 지승추부사가 되었다. 안변부사 조사의(趙思義)[?~1402]가 반란을 일으키자 도진무 자격으로 출정하여 진압하였다.

태종의 복심이던 이숙번은 태종 재위 동안 지의정부사·참찬의정부사를 역임하면서 중군총제·판의용순금사사 등 군부의 요직을 겸하였다. 그러나 1416년(태종 16) 이숙번이 무례하고 불충하다는 우의정 박은(朴訔)[1370~1422]의 상소 이후 대간과 형조에서 연이어 이숙번의 죄를 청하고 좌의정 유정현(柳廷顯)[1355~1426] 등이 이숙번을 탄핵하는 소를 올리자 태종은 이숙번의 공신녹권과 직첩을 회수하였다. 이후에도 대간과 형조가 거세게 탄핵하자 결국 1417년(태종 17)에 이숙번은 외방으로 안치(安置)되었다. 하지만 이숙번의 처벌을 요구하는 상소가 그치지 않자 태종은 이숙번을 경상남도 함양으로 유배보냈다.

이후 이숙번은 고향인 안산[지금의 서울 서대문구 봉원동 일대]에서 지내다가 1440년에 사망하였다.

[학문과 저술]

이숙번하륜(河崙)[1347~1416]과 함께 정도전(鄭道傳)[1342~1398]이 편찬한 『고려국사』의 개수 작업에 참여하였다.

[묘소]

이숙번의 묘는 경기도 시흥시 금화로 353에 있다. 묘소 앞에는 신도비가 세워져 있다. 비명은 ‘보국숭록대부(補國崇祿大夫) 의정부좌찬성(議政府左贊成) 안성군(安城君) 시충숙공(諡忠肅公) 안성이공휘숙번지묘(安城李公諱叔蕃之墓)’이다.

[상훈과 추모]

1398년(태조 7) 1차왕자의 난 때 공을 세워 정사공신에 책봉되었고, 1401년 태종이 즉위한 뒤 좌명공신에 책봉되었다. 사후 영의정에 추증되었고, 시호는 충숙(忠肅)이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