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200620 |
---|---|
한자 | 佔畢齋集 |
영어공식명칭 | Jeompiljaejip |
이칭/별칭 | 『점필재선생문집』,『필재』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경상남도 함양군 |
시대 | 조선/조선 전기 |
집필자 | 김현진 |
간행 시기/일시 | 1520년 - 『점필재집』 간행 |
---|---|
소장처 | 전남대학교 도서관 - 광주광역시 북구 용봉로 77[용봉동 300] |
성격 | 시문집 |
저자 | 김종직 |
편자 | 강중진|이만|김계현 |
간행자 | 강중진 |
권책 | 25권 9책 |
행자 | 10행 20자 |
규격 | 30.8×21.4㎝ |
어미 | 상하내향이엽화문어미 |
권수제 | 점필재집 원집 |
판심제 | 필재 |
[정의]
조선 전기 경상남도 함양군수를 지낸 유학자 김종직의 시문집.
[저자]
김종직(金宗直)[1431~1492]의 자는 효관(孝盥)·계온(季昷), 호는 점필재, 시호는 문충(文忠)이다. 본관은 선산(善山)이다. 아버지는 강호산인(江湖散人) 김숙자(金叔滋)[1389~1456]이다. 어머니는 밀양박씨(密陽朴氏) 사재감정 박홍신(朴弘信)[1373~1419]의 딸이다. 오늘날 경상남도 밀양시 부북면 제대리 한골마을[大洞]에서 태어났다. 1459년(세조 5) 과거에 급제하였다. 1470년(성종 1) 겨울부터 1475년(성종 6) 6월까지 함양군수를 지냈고, 형조판서·지중추부사 등을 역임하였다. 정여창(鄭汝昌)[1450~1504], 김굉필(金宏弼)[1454~1504], 김일손(金馹孫)[1464~1498] 등이 김종직에게 수학하였다. 조위(曺偉)[1454~1503]는 김종직의 처남이다.
[편찬/간행 경위]
초간본은 생질(甥姪)[누이의 아들] 강백진(康伯珍)[?~1504]·조위·정석견(鄭錫堅)[1444~1500] 등이 1495년(연산군 1)에 목판본으로 문집 1권, 1498년(연산군 4)에 목활자본으로 시집 5권을 각각 간행하였다. 경진본은 1520년(중종 15)에 생질 강중진(康仲珍)[1459~1510]이 선산군수의 도움을 받아 25권 8책의 목판본으로 간행하였다. 기축본은 1649년(인조 27)에 경상감사 이만(李曼)[1605~1664]이 밀양 예림서원(禮林書院)에서 간행하였다. 기유본은 보판(補板)으로, 1789년(정조 13) 이헌경(李獻慶)[1719~1791]의 서문과 김유(金紐)[1436~1490]가 지은 문인록을 교정하여 편입한 것이다. 기사본은 1869년(고종 6)에 13대손 김식(金埴)[1579~1662]이 간행한 것으로, 3차 중간본에 해당한다. 임진본은 보판이다. 1892년(고종 29)에 14대손 김창현(金昌鉉)이 간행한 것으로, 송병선(宋秉璿)[1836~1905]의 발문이 추가되었다. 정사본으로 1917년에 김기홍(金基鴻)이 대구에서 간행한 것으로, 임진본 책판을 인쇄한 것이다. 무인본은 1938년에 15대손 김태진(金泰鎭)이 발문을 추가하여 간행한 것이다.
[형태/서지]
『점필재집』은 총 25권 9책의 목판본으로, 반곽은 20.6×16.9㎝이다. 사주단변이고, 행마다 경계가 있다. 10행 20자이고, 주는 쌍행이며, 상하내향이엽화문어미이다.
[구성/내용]
시집은 모두 23권이다. 「학사루 아래 매화가 처음 피었으므로 병중에 두 수를 읊다[學士樓下梅花始開花 病中吟得二首]」 등을 비롯한 시가 실려 있다. 문집은 모두 2권이다. 권1에는 책문(冊文), 제문(祭文), 사(辭), 부(賦), 서(書), 서(序) 등이 실려 있다. 권2에는 설(說), 발(跋), 기(記), 도지(圖誌), 신도비명(神道碑銘), 묘지명(墓誌銘) 등이 실려 있다. 특히 1472년에 유호인(兪好仁)[1445~1494], 조위 등과 함께 함양에서 출발하여 지리산(智異山)[높이 1,915.4m]을 유람하고 돌아와 쓴 「유두류록(遊頭流錄)」이 실려 있는데 「유두류록」은 지리산 유산기의 최초 작품이다.
[의의와 평가]
『점필재집』은 경상남도 밀양 출신 유학자 김종직의 시문집이다. 김종직이 함양군수를 지낼 때 쓴 「유두류록」은 오늘날 함양군의 둘레길 스토리텔링과 문화 관광을 위한 마케팅 기초자료로 활용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