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목 ID | GC07200584 |
---|---|
한자 | 大笑軒逸稿 |
영어공식명칭 | Daesoheonilgo |
이칭/별칭 | 『대소헌집』 |
분야 | 역사/전통 시대,문화유산/기록 유산 |
유형 | 문헌/전적 |
지역 | 경상남도 함양군 |
시대 | 조선/조선 전기,조선/조선 후기 |
집필자 | 이영숙 |
[정의]
임진왜란 때 경상남도 함양군수를 지낸 조종도의 문집.
[저자]
조종도(趙宗道)[1537~1597]의 자는 백유(伯由), 호는 대소헌(大笑軒)이다. 본관은 함안(咸安)이다. 어려서 동산옹(東山翁) 정두(鄭斗)의 문하에 있었으며, 남명(南冥) 조식(曺植)[1501~1572]에게 배웠다. 1558년 생원시에 합격하였으며, 유성룡(柳成龍)[1542~1607]·김성일(金誠一)[1538~1593] 등과 교유하였다. 임진왜란 때 김성일과 함께 나라를 위하여 의병을 일으켰으며, 1596년에 함양군수가 되었다. 이듬해 정유재란이 일어나자 안음현감 곽준(郭䞭)과 함께 황석산성(黃石山城)을 수축하고 가족까지 이끌고 들어가 항전하다 전사하였다.
[편찬/간행 경위]
손자 조징성(趙徵聖)·조징천(趙徵天)[1609~1660]이 병화(兵禍)[전쟁으로 말미암은 재화(災禍). 전화(戰禍)]로 산실된 유문을 수집하여 이광정(李光庭)[1552~1627]이 교열하고 5세손 조화세(趙華世)가 편집하였다. 1769년 7세손 조휘진(趙輝晉)이 간행하였다. 1769년 조휘진의 요청으로 채제공(蔡濟恭)[1720~1799]이 지은 서문이 있으며, 1747년 조화세의 요청으로 이광정이 지은 서문이 있고, 1693년 조숙(趙璹)의 요청으로 유명천(柳命天)[1633~1705]이 지은 서문이 있으며, 조징성과 조징천의 요청으로 한몽삼(韓夢參)[1589~1662]이 지은 서문이 있다. 그러므로 문집이 편집되어 간행되는 데까지 1693년에서 1769년까지의 기간이 소요된 것으로 짐작해 볼 수 있다.
[형태/서지]
3권 1책의 목판본(木版本)이다. 전체 크기는 31.3×20.0㎝, 반곽(半郭)은 22.0×16.4㎝이다. 사주쌍변(四周單邊)에 10행20자이고 내향이엽화문어미(內向二葉花紋魚尾)가 있다.
[구성/내용]
3권 1책으로 권1에는 시 12제 13수, 간독(簡牘)[편지] 3편, 제문 2편, 묘표 1편, 부1편, 집책(執策) 1편, 잡저에 창의문(倡義文) 1편이 있다. 권2는 부록으로 행장, 시장(諡狀), 신도비명, 묘지(墓誌)가 1편씩 있다. 권3에는 만사, 제문, 「덕암서원봉안문(德巖書院奉安文)」, 「황암서원봉안문(黃巖書院奉安文)」, 상향문(常享文), 사제문(賜祭文), 「대소헌전(大笑軒傳)」, 「전후발(傳後跋)」, 「징비록중일단(懲毖錄中一段)」, 「황석산성사적(黃石山城事蹟)」, 「삼강행실속록(三綱行實續錄)」, 「정려명(旌閭銘)」, 「청시소(請諡疏)」가 있다.
[의의와 평가]
임진왜란 및 정유재란 시기의 의병장과 의병 활동에 관하여 상세하게 알 수 있는 자료가 되며, 당시의 시대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사료가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