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200326
한자 臨水驛
영어공식명칭 Imsuyeok
분야 역사/전통 시대
유형 제도/법령과 제도
지역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관북리
시대 조선/조선 전기,조선/조선 후기
집필자 김양훈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정 시기/일시 1438년 4월연표보기 - 임수역 설치
폐지 시기/일시 1896년연표보기 - 대한제국 칙령 제9호 ‘각 역 찰방 및 역속 폐지’
관할 지역 임수역 -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관북리 지도보기
법령과 제도

[정의]

조선 전기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에서 거창으로 이어진 역로에 있던 역참.

[제정 경위 및 목적]

경상남도 함양군과 경상남도 거창군의 왕래에 편의를 도모하기 위하여 1438년 4월에 설치되었다.

[관련 기록]

임수역에 관한 기록은 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1438년(세종 20년) 4월 9일 기사에서 “안음(安陰)에 신설한 역은 임수(臨水)라 일컫고[安陰新驛稱臨水]”라고 처음 확인된다. 이후 『신증동국여지승람』 경상도 안음현 역원에는 “임수역은 현(縣)의 동쪽 5리 지점에 있다[臨水驛 在縣東五里]”라고 기록되어 있다. 『여지도서』 안의현읍지, 『경상도읍지』 안의현읍지 역원에는 “임수역은 사근도에 속하며, 관아의 북쪽 2리에 있다[臨水驛 屬沙斤道 在縣北二里]”라고 각각 기록되어 있다. 『영남역지』 부사례(附事例)[이하 『영남역지』]에는 “안의 구화임수역은 안의관아 북쪽 30리에 떨어져 있다[安義仇火臨水驛在安義官北縣北三十里]”라고 기록되어 있다.

[내용]

임수역은 조선시대 경상우도 사근도에 소속된 15개역 중 하나이며, 경상남도 함양군에서 경상남도 거창군으로 이어진 노선 중 안의현 지역에 있었다. 조선시대 지리지에 따르면 임수역의 위치는 대체로 안의현 관아에서 3리 전후로 가까이에 입지하고 있다고 하였다. 그러나 『영남역지』는 달리 기록되어 있다. 『영남역지』보다 4년 늦게 간행된 『안의읍지』에는 현의 북쪽 2리에 있다고 기록되어 있으므로, 『영남역지』의 내용은 오기였을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임수역의 현재 위치는 경상남도 함양군 안의면 관북리 관북마을[역말]이었을 가능성이 높다.

1747년에 작성한 『사근도형지안(沙斤道形止案)』에는 역리 31명, 역노 44명, 역비 16명, 일수 4명, 보인 15명이 있었다고 기록되어 있다.

[변천]

임수역은 1438년 사근도의 17개역 중 하나로 새로 설치되었으며, 1896년(고종 33년) 1월 18일 대한제국 칙령 제9호 ‘각 역 찰방 및 역속 폐지’에 따라 사근도와 함께 사라졌다.

[의의와 평가]

임수역은 조선시대 역로 중 하나인 사근도와 함께 경상남도 함양과 거창 사이의 옛길 복원에 있어 중요한 자료로 평가된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