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렉토리분류

메타데이터
항목 ID GC07200269
한자 嶺南邑誌沙斤驛地圖
분야 역사/근현대,문화유산/기록 유산
유형 유물/서화류
지역 경상남도 함양군
시대 근대/개항기
집필자 김재현
[상세정보]
메타데이터 상세정보
제작 시기/일시 1871년연표보기 - 『영남읍지』 제작
현 소장처 규장각한국학연구원 - 서울특별시 관악구 관악로1[신림동 산56-1]
성격 역지|지도
관리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정의]

1871년에 편찬된 『영남읍지』 4책에 수록된 경상남도 함양군 사근역의 지도.

[형태 및 구성]

제목은 ‘동치10년10월일 사근도역지여선생안급지도(同治十年十月日 沙斤道驛誌與先生案及地圖)’로 되어 있다. 맨 앞에 「사근역지도(沙斤驛地圖)」와 「사근십오역도(沙斤十五驛圖)」의 지도 2장이 첨부되어 있다.

「사근역지도」는 사근도(沙斤道)의 본역인 사근역을 그린 지도이다. 사근역은 현재의 경상남도 함양군 수동면 화산리에 있었다. 사근도는 찰방이 임명되는 역도로서 관할 범위에 함양-산청-단성-진주-의령 방면의 역로(驛路)가 포함되었다.

「사근역지도」에는 연화산성(蓮花山城) 아래 집무를 보던 아사(衙舍)가 자리하고, 아사의 오른쪽에 마당(馬堂)이 보인다. 그 밖에 거창로, 산청로, 함양로, 안의로를 표시하였다. 「사근십오역도(沙斤十五驛圖)」는 산, 고개, 인근 고을, 도로 등을 그리고 사근역을 비롯한 사근도 소속 15역의 위치를 표시하였다. 사근도의 소속 역은 사근역(沙斤驛)[함양], 제한역(蹄閑驛)[함양], 임수역(臨水驛)[안의], 정곡역(正谷驛)[산청], 신안역(新安驛)[단성], 벽계역(碧溪驛)[단성], 유린역(有獜驛)[삼가], 신흥역(新興驛)[의령], 안간역(安磵驛)[진주], 소남역(召南驛)[진주], 정수역(正守驛)[진주], 율원역(栗元驛)[하동], 마전역(馬田驛)[하동], 횡포역(橫浦驛)[하동], 평사역(平沙驛)[하동]의 15개 역이다.

[특징]

역을 지칭할 때 “함양구화사근역(咸陽仇火沙斤驛)”이라고 하였는데, 『승정원일기』기사에서 “구화역이란 읍 가까이 있는 역으로, 명령을 전달하는 데 없어서는 안 된다[仇火驛云者, 近州治之驛也, 以此傳命令, 故不可無者][숙종 2년 3일자 기사]”라고 하므로, ‘함양군 공문서 담당 성현역’으로 풀이된다. 대부분의 역이 있는 고을의 구화역이다. 역별 기록 마지막에는 15역 전체 역속(驛屬), 마필, 위전·복호의 합계를 내었다. 본역과 속역의 역리(驛吏)·노(奴)·일수(日守) 숫자의 합계는 모두 964명이다. 이 가운데 신역을 직접 짓는 자는 481명이고 나머지는 매명에 2냥씩 내었다. 역아선생안(驛衙先生案) 항목은 역대 찰방 명단으로서 신미년(1871)에 갈린 이헌기(李獻耆)까지 기록하였다.

[의의와 평가]

역지(驛誌) 본문에 있는 소속 역과 각 역의 역속(驛屬), 마필, 위전·복호 등과, 봉름(俸廩), 역아선생안(驛衙先生案)을 확인할 때 좀 더 입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사근역지」 외에도 1895년 편찬된 『영남역지(嶺南驛誌)』에 수록된 「개국504년정월일사근도15참사례성책(開國五百四年正月日沙斤道十五站事例成冊)」이 있다. 이 책에는 찰방의 관황질(官況秩), 본역속, 마액, 위전·복호, 속역별 현황을 기록하였다. 두 역지를 비교하면 19세 말 사근도 운영의 변화상을 살펴볼 수 있을 것이다.

등록된 의견 내용이 없습니다.
네이버 지식백과로 이동